This thesis aims at publishing alternatives to textbooks of 『Korean history』 for Korean students who live oversea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Foundation for Koreans Abroad". Educational objectives, narrative systems, and chro...
This thesis aims at publishing alternatives to textbooks of 『Korean history』 for Korean students who live oversea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Foundation for Koreans Abroad". Educational objectives, narrative systems, and chronological declaratives and so on are introduced and analyzed in terms of some specific conditions that overseas Korean students are lack of their mother tongue and cultural background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not only are some supplements on Korean history teaching in the foundations suggested, but how to compose alternative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them is introduced in this thesis.
In spite of some efforts to approach them with familiar materials, existing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discouraged them from learning Korean history owing to a construction of excessive simplification of the medieval history, larger unit method, and chronological order in historically political issues. There are additional problems such as monotonous composition in the textbooks and parsimonious explanation in teachers’ guides. In the analysis of chronologically narrative systems and contents in the texts, several deficiencies are also found in sequential description on political aspects, oversimplified details on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and the relevance with overseas society in which students reside.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improve schemes on 『Korean history』 textbooks. In order to solve the mentioned problems, there are some requirements of transformation from larger to less large units to prompt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exploratory activity, additionally supplementary narration on Buddhism and socio-cultural Middle ages, introduction to a new unit on formation and developments of overseas societies, organically systematic constitution on textbook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key themes, and translation guide from Korean language borrowing from Chinese to English. As for declarative system and contents in times, moreover, political topics relating with socio-economic aspects and the large proportion of cultural characteristics in ages are more emphasized in this for better actions. Finally, some guidance and instruction models for lesson plans appropriate in topics are presented to teachers who are not majoring in history.
On the basis of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these studies have been done on publishing alternative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overseas students. Considering specific conditions that learners live abroad, curriculum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level of awareness on Korean culture are designed with the emphasis on fostering Korean national identity. Besides, the construct as line of development and theme instruction in the textbook is proposed for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s the first stage in history teaching. In the editing system, various ways are shown to provide overseas students with learning materials and activities to prompt their curiosity including letter formation, pictures, and narratives. Cultural and modern historical features in Korea are more enhanced in narrative realm. It is presupposed that this thesis deals with not so much all the domains of Korean history as the purpose of rai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national identity.
There are, on the other hand, some limits due to the fact that this study is devoid of analyzing overseas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texts, since it proceeded only with textbook analysis. I hope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prompting the development of history textbooks led by government for students who live abroad.
본 연구는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The Educational Foundation for koreans Abroad)의 『한국사』를 연구하여 재외동포 청소년용 『한국사』교과서 편찬의 대안을 모색하였다.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기반...
본 연구는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The Educational Foundation for koreans Abroad)의 『한국사』를 연구하여 재외동포 청소년용 『한국사』교과서 편찬의 대안을 모색하였다.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기반이 취약한 재외동포 청소년들의 특수한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는가를 기준으로 삼아 교육 목표, 서술 체제, 시대별 서술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한국사』의 보완점을 제시하고, 나아가 새로운 『한국사』 교과서 편찬의 대안을 제안했다.
『한국사』교과서는 재외동포 청소년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려는 여러 시도가 엿보이지만 중세사의 지나친 간략화, 대단원 중심 체제, 정치사 중심의 통사적(chronological history) 구성으로 학습 의욕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단조로운 페이지 구성과 교사용 지도서의 설명 부족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각 시대별 서술체계와 내용 분석에서는 대체로 정치사 중심의 나열식 서술과, 사회사와 문화사 서술의 간략화, 재외동포 사회에 대한 서술 등이 부족하였다.
이상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한국사』교과서의 몇 가지 보완점을 제안하였다. 학습 의욕과 탐구활동을 자극하는 주제 중심 중단원 체제로의 전환, 불교 및 사회사와 문화사의 서술을 보강한 중세사 서술 강화, ‘재외동포 사회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단원의 신설, 핵심 주제의 이해를 돕는 유기적 페이지 구성, 한자어 이해를 돕는 영어 번역본을 나란히 서술하는 노력 등이 필요하다. 또한 각 시대별 서술체계와 내용 대해서는 사회·경제적으로 의미가 있는 정치적 주제를 집중도 있게 서술 것과 문화사의 서술 비중 확대를 제안하였다. 나아가 비전공 교사를 위한 교사용 지도서도 단원 주제에 적합한 수업 모형을 교수·학습 지도안 형태로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문제점과 보완점을 토대로 재외동포 청소년을 위한 새로운『한국사』교과서 편찬의 대안을 연구해 보았다. 교육 목표는 ‘재외동포’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민족 정체성 함양에 강조점을 두고 역사의식과 한국문화 인식 수준을 고려한 단계별 교육과정을 설계했다. 또한 교육 과정의 첫 단계인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한국사』입문 교과서의 구성으로 발전계열법(line of development)과 주제(theme)학습법에 입각한 구성을 제안하였다. 편집 체제는 학습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학습 자료와 학습 활동을 제시하고 편지 형식 구성, 삽화 중심 체제, 이야기 문체 등을 제안하였다. 영역별 서술 측면에서는 문화사와 근현대사 서술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편찬 대안의 기본 전제는 모든 역사적 장면을 다 서술하겠다는 욕심을 버리고 학습자의 학습 욕구 증대와 민족 정체성 형성이라 목표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오로지 교과서 분석만으로 진행되어 실제 『한국사』교과서로 수업을 받은 재외동포 학생들의 교과서 만족도에 대한 분석이 결여된 한계점이 있다. 부족한 점이 많은 본 연구가 재외동포 청소년들을 위한 『한국사』교과서의 연구의 출발점이 되어 정부 주도의 교과서 개발에 자극제가 되었으면 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