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학습자의 한국어 장애음 발음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이집학습자가 한국어 어두 장애음을 조음하는 특성과 인지하는 특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첫번째 목적은 이집학습자의 어두 장애음이 실현 양상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

본 논문은 이집트 학습자가 한국어 어두 장애음을 조음하는 특성과 인지하는 특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첫번째 목적은 이집트 학습자의 어두 장애음이 실현 양상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인이 이집트 학습자의 발음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실험하고, 발화에서 드러나 특징과 관계하여 해석한다. 우선, 발화 실험을 통해 이집트 학습자의 발음을 주요 음향 변수로 포착했다. 이집트 남성 학습자 6명, 여성 학습자 6명을 대상으로 녹음을 하여, 한국어 어두 파열음과 파찰음의 VOT와 F0, 마찰음의 소음길이, F0, 무게중심 값을 측정하고, 통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번째로 한국인 21명에게 이집트 학습자 12명의 한국어 발음을 돌려주고 가장 가까운 한국어 음성과 그의 적합성을 선택하는 것으로 시행하였다. 그 결과, 발화 실험에서 뚜렷이 구분하여 조음되지 않은 음성은 한국인에게도 구별되지 않았다. 이집트 학습자의 평음과 경음은 VOT 값으로 구분되지 않았고, F0 값에 대해서는 평음, 경음, 격음 모두 구분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은 한국인의 청취 실험 결과에서 반영되었다. 이집트인이 발화한 마찰음 평음과 경음은 무게중심 값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한국인이 마찰음을 들었을 때, 평음과 경음의 차이를 포착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두번째 목적은 PAM 모델 내에서 한국어와 아랍어 간의 음성 인지 거리를 측정하고 이집트 학습자가 한국어 어두 장애음을 어떻게 범주화하는지 밝히는 것이다. 이집트 학습자 18명에게 한국어 발음을 돌려주고 가장 가까운 아랍어 음성과 그의 적합성을 선택하는 것으로 시행하였다. 이집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장애음 인지 결과는 PAM의 6가지 음성 범주화 유형 중 3 가지 유형에 속했다. Two-Category(TC)로 음성 범주화된 장애음 쌍은 /ㅈ, ㅉ/, /ㅅ, ㅆ/, /ㄷ, ㅌ/, /ㅂ, ㅍ/, /ㄲ, ㅋ/, /ㅃ, ㅍ/, /ㅉ, ㅊ/이며 PAM의 예측과 달리 “좋다” 및 “안좋다”의 적합도를 받았다. Single-Category(SC)로 음성 범주화된 장애음 쌍은 /ㅈ, ㅊ/, /ㅂ, ㅃ/, /ㄷ, ㄸ/, /ㄱ, ㄲ/이며 대립 쌍은 동등하게 “보통”이나 “안좋다”의 적합도를 받았다. Category-Goodness(CG)로 음성 범주화된 장애음 쌍은 /ㄱ, ㅋ/, /ㄸ, ㅌ/, /ㄷ, ㅌ/이며, 두 음성이 동일한 아랍어 장애음으로 인지되었으나 한 음성은 “좋다”의 적합도를 받고 다른 음성은 “안좋다”의 적합도를 받았다. 그러므로 PAM 모델은 한국어와 아랍어의 SC, CG로 범주화되는 장애음을 설명하는데 성공하였으나 TC로 범주화되는 대립 쌍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TC 음성범주화의 예측에서 “안좋다”의 적합도를 허용하도록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itgate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word-initial obstruents by Egyptian learner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word-initial obstruents produc...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itgate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word-initial obstruents by Egyptian learner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word-initial obstruents produced by naïve Egyptian learners of Korean and to observe Koreans’ perception of Egyptians’ productions. First, the acoustic data was collected from 12 Egyptian learners of Korean; the selected participants were residents of Egypt and none of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 studying in Korea. For the 3-way contrast in Korean plosives and affricates, VOT and F0 of the following vowel were measured. For Korean fricatives’ two-way contrast, noise duration, F0 of the following vowel, and center of gravity values were measured. Second, the recordings of the Egyptian participants were also used as data for an identification test performed on 21 Korean subjects. Subjects were asked to identify the Korean obstruents produced by Egyptian learners in terms of the closest-sounding Korean word and rate each token for goodness-of-fit. For the production of Korean plosives and affricates, the analysis showed that Egyptian learners do not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fortis and lenis forms by VOT and that the 3-way contrast is not made by F0 of the following vowel. As for Korean fricativ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gyptian learners are unable to produce the fortis and lenis forms differently in terms of center of gravity.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at of the identification test performed on Korean subjects. Koreans could not identify the 3-way contrast of Korean plosives and affricates, and the 2-way contrast of Korean fricatives produced by Egyptian learners.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how Egyptian learners of Korean perceive Korean onset obstruents as an instance of some Arabic consonant category and rate for goodness-of-fit in terms Best’s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PAM). Data was collected from 18 Egyptian learners. The results showed that Egyptians assimilate Korean obstruents as an instance of Arabic in 3 different phonetic categories. Korean /ʥ, ʨ˭/s, s˭/, /d, th/, /b, ph/, /k˭, kh/, /p˭, ph/, / ʨ˭, ʨh/ contrasts showed two category(TC) assimilation with “good” and “poor” fit indices. These results, however, are inconsistent with PAM predictions for TC assimilation. /ʥ, ʨh/, /b, p˭/, d, t˭/g, k˭/ contrasts were consistently assimilated into a single Category(SC) as either “good” or “poor” examples of Arabic consonants. And finally, Egyptian learners displayed Category-Goodness(CG) assimilation of /g, kh/, /t˭, th/, /d, th/ contrasts, where one phoneme is accepted as a “good” example of an Arabic phoneme and the other is rated as a “poor” example of the same Arabic phoneme. PAM model succeeded in accounting for SC and CG assimilation but not TC assimilation. Therefore, PAM should be modified in order to allow “poor” rates for TC assimilation.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