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재를 시대별로 구분하고 각 시대별 교재의 특성을 통해 한국어 교재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교재 변천사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의 발...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재를 시대별로 구분하고 각 시대별 교재의 특성을 통해 한국어 교재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교재 변천사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의 발전 과정을 기술하는 데 있다. 한국어 교재 변천사는 한국어 교육의 발전 과정을 함축적으로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사 안에서 교재의 변천 과정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변천 과정을 시대별로 개괄하고 각 시대의 한국어 교재가 갖는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대상 및 방법, 선행연구에 대해 고찰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한국어 교육의 시대 구분에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지 못하고, 주로 외적인 기준을 적용해 시대적 상황이나 정책 등을 근거로 시대를 분류한 것과 달리 교재와 같은 내적인 기준을 근거로 한국어 교재 변천사를 고찰할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사의 시대 구분을 살펴보고, 시대 구분의 필요성과 이 논문에서 정한 시대 구분의 기준을 약술하였다. 교재를 중심으로 시대를 구분할 경우 내적 기준에 충실하고 외적인 영향을 고려한 시대 구분이 가능하다는 점을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역학 중심 교육기’를 설정하고, 근대 이전에 간행된 어휘 자료를 중심으로 당시의 한국어 교육을 고찰해 보았다. 또 이를 통해 근대 이전의 어휘 중심 한국어 자료들이 근대 이후의 한국어 교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근대 태동기’를 통해 최초의 한국어 교재의 특징과 이전 시대 및 다음 시대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근대 이전의 자료들이 어휘 항목이나 분류 방법 등에 있어서 이 시대 교재와 공통된 부분이 있으며, 이 시대에 편찬된 문법서들이 편제 방식과 내용 면에서 다음 시대 교재와 비교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5장은 ‘양적 팽창기’로 이전 시대에 비해 확연히 증가한 한국어 교재의 증가 원인이 시대적, 정치적 상황과 관련이 있다는 점과 단원 편성에 있어 이전 시대와 차이가 있다는 점을 교재 분석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6장에서는 ‘현대 교재의 도약기’를 설정하고 현대적 의미의 한국어 교재가 탄생하기까지 이전 시대에서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시대는 단원 구성에서의 차이뿐만 아니라 ‘연습’, ‘활용’을 교재에 삽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 시대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7장에서는 ‘현대 교재의 발전기’를 설정하고, 이 시대 한국어 교육의 대외적인 변화와 함께 대학 기관 중심으로 편찬된 한국어 교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 시대의 교재가 대학의 언어 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편찬되었고, 각 교육 기관의 특징을 반영해 교육 시간이나 수업 방법, 학습자 측면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점을 교재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8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세계화 시대’를 설정하고 이 시대의 특징을 ‘세계화’와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이 시대 교재의 주요 특징으로 정부 기관과 대학 기관의 협력 교재가 편찬되기 시작했으며, 학습자를 고려한 다양한 주제의 교재와 각 영역별 세분화 된 교재가 제작되었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끝으로 9장에서는 이 논문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고, 남은 연구 과제를 제기하였다.
3장부터 8장까지의 과정을 통해 이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밝히고자 한 부분은 한국어 교재의 점진적인 변화 과정이었다. 100년이 넘는 한국어 교재의 편찬 역사에서 이전 시대의 영향을 받지 않은 시대는 없었으며,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사실을 이 논문을 통해 살피고자 하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