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한국에서 부상되고 있는 중국 소비자들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중국과 관련된 많은 학문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최근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80후 신세대를 대...
최근 들어 한국에서 부상되고 있는 중국 소비자들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중국과 관련된 많은 학문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최근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80후 신세대를 대상으로 SPA 브랜드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국 80후 신세대 여성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한국 SPA 브랜드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로서 기업적 측면이나 학문적 측면에서 그 의미는 크다고 자료된다. 특히, 한류문화가 중국 여성 소비자와 한국 SPA 브랜드의 인지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통해 중국 신세대 여성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소비 성향을 이해하는 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SPA 브랜드 업체들의 향후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전략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국에 이미 진출했거나 앞으로 중국 진출을 계획하는 한국 의류업체들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도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설문조사에서 인구 통계적 특성으로는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은 30세 이하의 미혼으로 대학교 재학 중인 학생(66.3%)이 가장 많았다. 월 평균 가계 총수입은 5천-1만원(90만-180만)이 가장 높았으며 한 달 의복 구입비는 300원(5만원) 미만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한국 방문 횟수는 처음, 6회 이상, 2회-3회, 4회-5회 순으로 나타났다.
먼저 중국 80후 여성 소비자들의 패션 및 유행에 대한 가치관, 그리고 SPA 선호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80후 여성 소비자들은 유행추구, 유명 브랜드 선호, 계획적 구매요인에 대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활에서 패션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패션 정보는 주로 친구나 패션잡지를 통해 얻고 있다.
셋째, 그러나 제품 구입은 예산안에 맞춰 실용성, 할인매장을 선호하는 합리적 구매형태로 나타났듯이 계획적인 소비를 하지만 유행을 추구하기 위해 비싸더라도 유명 브랜드를 구매하기도 한다.
넷째, 글로벌 SPA 브랜드의 선호실태로는 ZARA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H&M, FOREVER21, UNIQLO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SPA 선호요인으로는 실용성, 경제성, 유행성, 독특성 모두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독특성, 실용성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류문화 이미지와 한국 브랜드 인지도 등의 요인 분석 결과는 한국어 배우는 글로벌문화, 한국 브랜드 선호, 한류문화 영향요인에 대해 설득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이미지와 구체적 행동에서는 모두 한국여행, 유학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로서 한국을 상당히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브랜드 인지도의 경우 실제 옷 구매를 통해 한국 브랜드를 매우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한국 브랜드가 우수하다는 평가를 하였다.
셋째, 한류이미지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한국 스타패션과 스타일에 관심이 매우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한류 분야별 선호도로는 한국가요, 한국드라마 한국영화 순으로 나타나 한국 대중문화관심이 일본대중문화관심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연예인 옷을 구입하거나 패션에 직접적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 SPA 브랜드의 선호실태에서 가장 선호하는 브랜드는 SPAO이었고 그 다음은 Codes Combine, BASIC HOUSE, WHO.A.U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SPA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인식의 결과는 ‘유행하다’가 가장 높으며 그 다음은 ‘캐주얼하다’, ‘심플하다’, ‘우아하다’, ‘여성스럽다’, ‘귀엽다’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 SPA 브랜드 선택 요인으로는 색상과 유행성이 있는 디자인이 높게 나타나고 가격요소가 적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한국 SPA 브랜드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으로는 소재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디자인, 가격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SPA 브랜드 선택 요인으로는 다양한 색상감각과 브랜드 마케팅(스타마케팅, 드라마 영화 마케팅, 온라인 마케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유행성(트렌드, 스타패션, 드라마패션, 한류열풍), 매장이미지(분위기, 서비스, 판매촉진 등), 관리의 용이성(세탁, 다림질) 등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한국 SPA 브랜드의 구매횟수로 결과는 1년에 1회 구매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2-3달에 1회 이상, 한 달에 1회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80후 여성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한국 SPA 브랜드의 의복 구입비율로 결과는 10%이하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20%-40%, 50%-60%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한국 SPA 브랜드가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결과는 한국 SPA 브랜드가 중국에 입점하면 구매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 SPA브랜드가 보완했으면 하는 점으로 결과는 PR아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소재, 디자인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한국 SPA 브랜드가 입점할 경우 선호하는 매장디자인으로 결과는 ‘한류이미지’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컬러이미지’, ‘판매사원 및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 신세대(80후) 여성 소비자들의 소비 특성에 따라 유행을 추구하고 유명 브랜드 구입하는 계획적인 소비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한류문화가 한국 SPA 브랜드 선호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국 SPA 브랜드 선호도를 높일 수 있도록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