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 Jik, Lee is a representative of Korean-Japanese first generation, and he wrote the novel in Korean language as an ethnic Korean that live in Japan. He was nominated for his novels such as 'Stream' and 'Wave"in the 10th Akutagawa competition, and h...
Eun Jik, Lee is a representative of Korean-Japanese first generation, and he wrote the novel in Korean language as an ethnic Korean that live in Japan. He was nominated for his novels such as 'Stream' and 'Wave"in the 10th Akutagawa competition, and his literature ability were ranked very high.
Even though he is very much in the foreground as an ethnic Korean that live in Japan, research on him is very rare, compared to contemporary writers. Previous study only focused on partial work of his literature, and presented a quick background of each. Besides, there is no a master's thesis about him. In this sense, I sincerely desire to study his literatures, aiming to examine his works carefully, because the fruition of previous studies is poor. This study is going to get significance in terms of examining and studying of Korean-Japanese ethnic history of literatures.
Unlikely the overseas Korean that emigrated voluntary, Korean-Japanese were separated in defiance of Japanese coercion.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Japanese had to be suffered from Japanese's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nd be despised. Moreover, they had to be confused about their national identity because of the divided nations, and had to be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Japan without any belongings. Those historical characteristics could be criterion to understand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s. Thu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un jik, Lee's literatures, historical background has to be studied first.
In this sense, I desire to study Eun jik, Lee's literature with historical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this will has great significance to understand Korean-Japanese literatures. On the first chapter, I focus on his longing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in his books, and specifically 1) aiming for North Korea and idolization of Kim Il Sung, 2) South Korea criticism and anti-American sentiment, 3) longing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and rebuilding a nation. Through these research, I'm going to examine the meaning of longing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and the justification of aiming for North Korea in his literatures.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his social action and organized activities which are a representative of his national consciousness. I divide into three parts which are 1) aiming for social activities and brotherly love, 2) fulfilling of ethnic education, and 3) establishing own independence and national consciousness. The literatures that accentuate the importance of ethnic education will be centered, and we can get a sense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through his writing.
On the third chapter, we discuss the his identity as a Korean that lives in Japan and his overcoming against the situation. We divide 1) his life as a Korean that lives in Japan, 2) be confused about his identity, and 3) overcome the "living in Japan" through his national consciousness. we focus autobiographical novels which describe the real lives of Korean-Japanese. We examine the process that Korean-Japanese overcome their national identity and reality, and take a look the meaning of those.
The study of Korean-Japanese literatures have focused on novels created by Japanese language, and the research of novels that were written by Korean are very rare in a real life. Eun Jik, Lee is a representative of Korean-Japanese first generation, who really sticked to writing Korean novels in order to build national consciousness and identity.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Japanese had to be suffered from Japanese's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nd be despised. Thus studying Eun Jik, Lee's literatures has great impact on understanding the Korean ethnic literatures deeply.
이은직은 재일 1세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재일조선인으로서 처음으로 국문 소설을 발표하였고, 「흐름」(「물결」)으로 제10회 아쿠타가와 상 후보에 올라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은 역량 있는...
이은직은 재일 1세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재일조선인으로서 처음으로 국문 소설을 발표하였고, 「흐름」(「물결」)으로 제10회 아쿠타가와 상 후보에 올라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은 역량 있는 작가이다. 재일 한민족 문학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놓여있는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동시대의 다를 작가들에 비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그간의 연구는 몇몇 작품에 대한 연구가 단편적으로 이루어졌을 뿐, 그밖에는 모두 단 몇 줄 정도로 짧게 언급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학위 논문 또한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필자는 이은직의 작가적 역량에 비해 연구 성과가 매우 부진하다고 판단하여 이은직의 문학 세계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작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재일 한민족 문학사를 연구·검토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어 중요한 의의를 가질 것이다.
자발적으로 이주하여 형성된 재외동포들과는 달리 재일동포는 일제의 강압에 의해 이주하여 형성된 이산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또한 해방 후에도 식민지 종주국에서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 식민지인과 다름없는 억압과 차별을 감내해야 했다. 뿐만 아니라 조국의 분단으로 인해 모국은 같으나 국적은 모두 제각각인 혼란을 겪어야 했으며, 어디에도 귀속되지 못한 채 남과 북, 일본으로부터 모두 배척당하는 경계인으로 살아가야 했다. 이러한 재일동포의 역사적 특수성은 재일동포 문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척도가 된다. 따라서 이은직 문학을 연구하기에 앞서 재일동포가 지닌 역사적 특수성을 당시 시대적 배경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역사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이은직의 문학을 연구하고자 하며, 이러한 연구는 재일동포 문학을 이해하는 데 일조하는 중요한 의의를 지닐 것이다. 첫 번째 장에서는 이은직 문학에 나타난 북한 지향성과 ‘조국’ 통일에 대한 강한 염원을 드러내는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세부적으로는 1) 북한 지향과 김일성 찬양, 2) 남한 비판과 반미 사상, 3) ‘조국’의 통일 염원과 국가건설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이은직 문학에 나타난 북한 지향의 정당성과 ‘조국’ 통일에 대한 강한 염원이 지닌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이은직 작품에 그려진 조직 활동과 조직 활동을 통해 민족의식을 강조하는 작품을 중심으로 1) 조직 활동과 동포애 강조, 2) 민족교육의 실천의식, 3) 민족의 주체성 자각과 민족의식 강조,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민족교육의 중요성을 피력한 작품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민족교육의 선구자였던 이은직의 작가적 의식을 엿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세 번째 장에서는 재일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재일’의 현실 극복이라는 주제를 갖고 1) 재일 조선인으로서의 삶, 2)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 혼란, 3) 민족의식을 통한 ‘재일’의 극복,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며, 당시 재일동포들의 삶을 핍진하게 묘사하고 있는 자전적인 특징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정체성의 혼란을 겪어야 했던 재일동포들이 ‘재일’의 현실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지닌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재일 한민족 문학 연구는 일본어로 창작된 문학작품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한국어로 창작된 작품들에 대한 연구는 점차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더라도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은직은 ‘재일’의 현실에서 식민지시대의 억압과 차별을 받으면서도 민족적 정체성을 지키고 민족의식을 고취하고자 한글 창작을 고수한 재일 1세대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해방 후에도 식민지 종주국에서의 차별과 억압, 민족적 멸시를 견디며 살아야 했던 재일 동포들의 투쟁의 현장과 역사적인 삶의 과정을 그리고 있는 이은직의 작품을 연구하는 것은 재일 한민족 문학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일조하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