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건관계 접속어미의 대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먼저 한국어 접속어미의 사용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학...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건관계 접속어미의 대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먼저 한국어 접속어미의 사용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오류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조건관계 접속어미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 그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의사소통 능력을 위해서는 언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언어 교육에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법교육을 중요하다. 한국어 조건관계 접속어미는 중국어와 달리 여러 가지 제약을 있다. 그래서 많이 중국인 학습자들이 어미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중급학습자들이 사용빈도 높고 오류 많이 발생하는 “-거든”과 “-다면”의 장기 기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때문에 조건관계 접속어미를 효과적인 가르치기 위해서 먼저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범위, 방법을 밝히고 한국어 교육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한 연구들을 접속어미에 한정하여 이제까지 이루어진 성과와 남아 있는 연구 과제를 정리한다.
2장에서는 두 가지를 나누어서 정리했다. 먼저 조건관계 접속어미의 정의 및 유형을 제시한다. 중국인 학습자가 오류 많이 발생하는 원인 중의 하나는 어미의 특성하고 어미간의 세부적인 차이 때문이다. 그래서 효율적 교육 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조건관계 접속어미간의 세부적인 차이 특성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학습자들의 접속어미 사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만들어내는 오류빈도와 오류발생률을 통계 처리하고 오류를 형태적 오류, 통사적 오류, 의미적 오류로 세분하여 구체적인 실례를 들어 원인을 규명하고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4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거든”과 “-다면”의 제시순서, 교육내용, 연습활동상황 등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앞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조건관계 접속어미 효율적이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학습자 중심, 형태적 중심, 나선형 배열중심 세 가지 한국어 교육원리를 알아보고 PPP모형은 변형해서 새로운 을 개발하였다. 모형을 이용해서 한국어 조건관계 접속어미의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한 후에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5장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에 교육현장에서 학습자 여러 가지 변인을 고려해서 의사소통중심의 문법교육을 제안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 대상으로 조건관계 접속어미 교육방안 모색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의 사용양상을 분석할 때 지역 제한이 있어서 좀 아쉬웠다. 앞으로 더 많은 지역에 사용양상 분석을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ient education method of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 in Korean language for Chinese learners. To begin with, the property of using conjunctive ending in Korean language was checked and the typ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ient education method of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 in Korean language for Chinese learners. To begin with, the property of using conjunctive ending in Korean language was checked and the types of errors learners made in the education site of Korean language were analyzed. Based on them, the efficient method to teach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 was prepared and its efficiency was verified.
Further, the fluency and accuracy of language is required for communication ability when learning Korean language. In this viewpoint, the grammar education that can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language education is important. Unlike Chinese language, the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s in Korean language is subject to many restrictions, which is why it is difficult for many Chinese learners to use ending. This dissertation tries to enable the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o memorize “-거든” and “-다면” which are used frequently with frequent errors.
To effectively teach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 the 1st Chapter, Introduction defines the objective, scope and method of study and arranges the result made so far and the residual task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by restricting the existing study for Chinese learners to conjunctive endings.
The Chapter 2 divides and arranges 2 matters. First, the definition and type of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 is presented. Chinese learners frequently make error because of property of ending and the minute difference between two endings. Thus, the minute difference in the property between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s is investigated to study efficient education method.
In Chapter 3, the frequency of errors learners make and occurrence rate of error is statistically managed to grasp the situation of learners’ using conjunctive endings and errors are divided into formative error, syntactic error and semantic error to clarify the cause with specific example. The 4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education site of Korean language is analyzed. The sequence to present “-거든” and “-다면”, contents of education, situation of exercise activity are investigated.
In Chapter4, the efficient method to teach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 in Korean language is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in the former chapter. To begin with, 3 educational 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are checked on the basis of learner, form & spiral arrangement. PPP model is transformed to develop a new model. The verification is to be done after suggesting the specific education method of teaching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 in Korean language by using model.
In Chapter 5, the discussion is arranged and the grammar education for communication is suggested by considering diverse variables of learner in the educational site of this study.
This study searches the method to teach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 for Chinese learners. It is somewhat regretful that analyzing situation of Chinese learners’ using the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 is subject to regional limit. It is expected that the situation of use in each region is to be further analyzed in the future.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