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중 한자음에 나타난 구개음화 과정을 각각 살펴본 후 상호관련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총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장과 5장은 각 서론과 결론 부분에 ...
본고는 한중 한자음에 나타난 구개음화 과정을 각각 살펴본 후 상호관련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총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장과 5장은 각 서론과 결론 부분에 해당된다. 2장 3장에서는 여러 운서나 문헌자료에 근거하여 시기별로 중국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 자음체계를 고찰하여 특히 구개음화와 관련된 舌音系와 齒音系, 牙喉音系를 위주로 성모체계를 다뤘다. 이를 바탕으로 구개음화 현상이 시기별로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를 정리해봤다. 4장에서 2, 3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양 나라 언어 간의 구개음화 대응양상이 어떤지, 한중음 구개음화 현상이 어떤 관련이 갖고 있는지를 밝혔다.
2장에서는 구개음과 관련된 중국의 성모체계 변화에 대해 다루었다. 중국 上古時代의 성모체계를 살펴보면, 舌音系에서 舌上音이 아직 舌頭音으로부터 분화되지 않았다. 中古前期의 唐末에 이르러서야 설상음이 설두음에서 분화된 것이다. 中古後期에는는 설두음에서 분화된 설상음계 자음 두 가지 중의 하나 즉 知2[t]는 파찰음화하여 구개음ʨ에 합류하게 되었다. 近代前期 14세기에는 구개음으로서 ‘ʧ, ʧ‘, ʃ’가 있다가 15세기에 들어 捲舌音에 합류되어 사라졌다. 近代後期 성모체계에서 다시 구개음이 생겼다. 한 가지는 牙喉音系에서 분화된 것이고 또 하나는 齒音系 捲舌音에서 분화된 것이다.
3장에서는 한국 한자음의 구개음화 양상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마찬가지로 이 부분에서도 먼저 여러 시기를 대표할 수 있는 문헌이나 자료를 근거하여, 각 시대의 자음 체계를 분석하여 고찰함으로써, 구개음화 현상에 관련된 자음에 대한 분석을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한자음 구개음화에 관련하여 선택된 운서나 문헌자료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대한국어에 대하여 강신항의 연구 성과를 받아들일 것이며 12세기의 한자음 자음체계를 분석하기에 계림유사를 중심으로 할 것이다. 15세기 한국한자음의 성모체계는 동국정운에 반영된 23성모를 위주로 이루어질 것이며 현실 한자음은 언해를 통하여 고찰할 것이다. 다음에 18세기에 들어 구개음화의 출현시기가 나타나 화동정음통석운고(1747), 삼운성휘(1751), 규장전운(1796), 주해천자문(1752) 등 운서나 자서류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구개음화의 실례를 정리하고 분석할 것이다. 19세기 이후의 구개음화 현상은 운서로 이용할 수 없으므로 주로 이 시기에 나온 문헌이나 자전을 이용하여, 20세기의 구개음화 반영은 주로 전자자료인 20세기 초에 나온 신소설과 신자전을 이용한다.
4장에서는 앞의 2장, 3장에서의 시기별 중국과 한국 한자음 성모체계의 변화와 각 시기의 구개음화 양상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의 구개음화 현상의 대응 양상이 어떤지를 밝힌다. 그 중에 중국과 한국 한자음의 구개음의 시기별 대응양상이 어떤지, 그리고 중국과 한국 한자음의 구개음의 환경별 대응양상이 어떤지로 나누어 고찰할 것이다. 또한 환경별 대응양상에서 다시 무조건변화와 조건변화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에 중국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의 구개음화의 상호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여 결론을 내린다.
첫째, 한ㆍ중 구개음화는 개념상으로는 일치된다. 하나는 음소 자체 안에서의 변화이고 바로 치음의 구개화음이 되는 현상이다. 또 하나는 구개음화 조건환경 하에 일어난 구개음화 현상이다. 즉 i, y앞에 놓일 때 비구개음이 구개음으로 구개음화가 되는 현상이다.
둘째, 한국 한자의 설음계에서 설상음과 설두음의 구개음화 시기가 다른 것은 중국 근대음의 영향 때문이다. 즉 설상음은 설두음보다 전부 일찍 구개음화된 것은 중국 한자음의 변화를 제시하여 영향을 입었기 때문이다. 결국 설두음에만 정음을 향한 의식에 의해 설상음보다 20세기 초반의 문헌들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ㄷ, ㅌ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아후음계에서 한어음 구개음화 모두 일어난 반면에 중앙어 한자음에서 구개음화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이점은 한국어 한자음 아후음계의 비구개음화는 한어음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한국어 한자음 내적인 변화로 봐야 한다.
넷째, 설두음의 구개음화를 보면 중국 한자음에서 전혀 비구개음화의 상태이고 한국 한자음에서는 일부분이 구개음화되었다. 이 원인을 따져보면 한국 한자음 설두음계 4등자와 1등자에서만 구개음화가 일어난 이유는 한어음의 영향을 받은 게 아니라 한국어 한자음 설상음계에서 전부 일찍 구개음화된 것에 영향을 받아 일부분 설두음도 구개음화된 것이다. 즉 구개음화 조건인 i, y는 설상음에서 적용된 다음의 시기에 와서 한자음 일부분 설두음에도 적용되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