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語 補助詞에 대한 敎授 方案 : '도', '까지', '마저', '조차'를 中心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보조사 '도', '까지', '마저', '조차' 학습의 현황을 분석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보조사 교수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

본 연구는 보조사 '도', '까지', '마저', '조차' 학습의 현황을 분석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보조사 교수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를 검토해 보면 보조사의 형태나 기능, 그리고 범위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종합의 노력에 맞추어져 왔으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그 만큼 많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보조사 '도', '까지', '마저', '조차'는 모두 '포함'과 관련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부분적인 유사성으로 같은 환경에서 쓰일 수 있는 반면에 교체해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고립어인 중국어에서 조사가 없기 때문에 중국어권 학습자한테 이에 대한 학습 및 사용이 난점 중의 하나가 된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우선 보조사의 특성과 학습자의 사용 양상에 대해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Ⅱ장에서는 보조사의 특성을 의미적 특성과 문법적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이에 대한 분석 결과가 효과 적인 교수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Ⅲ장에서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작문 자료를 통해 보조사 '도', '까지', '마저', '조차'의 오류 양상을 조사하였다. 이들이 쓰임에 있어서 나타난 오류를 누락, 첨가, 대치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오류 양상과 발생 원인을 정리하였다. 오류 조사의 결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전통 교수 방식대로 보조사를 가르치면 안 되고 이에 적합한 새로운 교수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기초적인 작업을 통하여 Ⅳ장에서는 학습자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는 의미 중심 형태 교수법을 토대로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에 대한 교수 모형을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충분히 유발할 수 있도록 교수 방안에서 드라마 대본을 활용하였으며, 보조사의 의미와 차이를 충분히 인지시키기 위해 중국어 대응 표현을 함께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교수 방안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tuation of learning the auxiliary particle, ‘do’, ‘ggaji’, ‘majuh’, and ‘jocha’ and to present the model to teach auxiliary Particle for exact understanding and use in the education of K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tuation of learning the auxiliary particle, ‘do’, ‘ggaji’, ‘majuh’, and ‘jocha’ and to present the model to teach auxiliary Particle for exact understanding and use in the education of Korean as foreign language.
Although the existing study has systematically analyzed and generalized the form, function and scope of auxiliary particle, the study relate to education of Korean as foreign language was rare. Checking the existing studies, auxiliary particle ‘do’, ‘ggaji’, ‘majuh’, ‘jocha’ are wholly grasped to have meaning related to ‘inclusion.’ While they can be used in the same environment due to such partial similarity, they cannot be used in alternate frequently. Since Chinese language, the isolated language has no auxiliary particle,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in the Chinese language circle to learn and use them.
To solve this difficulty,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property of auxiliary particle and the situation of learner’s use in the first place. In Chapter Ⅱ, the property of auxiliary particle is checked in division of semantic property and grammatical property. The result of such analysis will help presenting the effective teaching model.
In Chapter Ⅲ, the situation of error in auxiliary particle ‘do’, ‘ggaji’, ‘majuh’, ‘jocha’ were analyzed through composition of the advanced Chinese learners. The errors found in the use were divided into omission, addition and substitution to arrange the specific situation of error and cause of occurrence. Due to the result of error in postposition, it is possible to find the ground that auxiliary particle should not be taught in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 in the educational site of Korean, but new teaching model proper to situation should be found.
Based on this fundamental work, Chapter Ⅳ presented the teaching model of auxiliary particle ‘do’, ‘ggaji’, ‘majuh’, ‘jocha’ with pedagogy based on meaning to improve learners’ fluency and accuracy at the same time. Drama script was used in the teaching method to fully interest learners and to motivate them for learning. Further, the corresponding expression in the Chinese language was presented to make them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difference of auxiliary particle. Finally, they were applied to actual lesson so as to verify the effect of teaching model.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