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治期韓語資料の?究 : 『日韓英三??話』を中心として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research examines a Korean language textbook 『nikkan'eisankokutaiwa』published by Akamine Seitiro in 1892 from a lingual-cultural perspective. The research also examines several Korean language materials from the Meiji period such as 『kangon...

This research examines a Korean language textbook 『nikkan'eisankokutaiwa』published by Akamine Seitiro in 1892 from a lingual-cultural perspective. The research also examines several Korean language materials from the Meiji period such as 『kangonyu^mon』.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regard to 'Chosun language materials' as part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Japanese language. However, such an effort mostly focused on Korean literature 『syo^kaisingo』 and was mostly limited to the Edo period. It is equally important to illuminate use of Korean materials during the Meiji period, which was a transitional phase for the modernization of Japanese language. This supposition is further elaborated in Chapter 2.
Chapter 3 begins with examining purpose of writing 『nikkan'eisankokutaiwa』 and its value as research data. The publication can be seen as a 'textbook comparing three languages of Korea, Japan and America.' Akamine remarked that the book was written for a practical purpose of facilitating travel to the neighboring countries without major language barrier. The research examines characteristics of the book as a conversational textbook. Next, the structure and specific contents of the book are reviewed. In addition to the connection with Amenomori ho^syu^'s 『ko^rinsuti』, it was revealed that the book contributed to clarifying relationship of influence and continuity of Korean materials. Judging from Akamine's comment on 'kin relationship' between Japanese and Korean, it is clear that he studied language from a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nguistics.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Akamine considered ideological elements in studying a language in addition to pursuing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Chapter 4 examines Korean materials in the Meiji era through eight volumes: 『kangonyu^mon』『nikkanzenrintu^wa』『zituyo^kangogaku』『kango』『kangotu^』『kangobunten』『kangokenkyu^ho^』 and 『nikkankannitigengosyu^』. The cont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grammar-oriented and conversation-focused materials. All except 『kango』 were written by Japanese authors.
Chapter 5 opens with introduction of courteous expressions in Japanese language during the Meiji era,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found in 『nikkan'eisankokutaiwa』 with a focus on personal pronouns. The research also examines description of other Korean materials. It was found that, in basic principle, all the literature made effort to suggest corresponding phrases for courteous expression in Korean and Japanese.
Lastly, Chapter 6 examines how the literatures used postpositional words, in particular, 「ガ(ga)」and 「ハ(wa)」. In 『nikkan'eisankokutaiwa』, use of 「ガ(ga)」can be categorized in three groups corresponding to different Korean counterparts. (1) 「ガ(ga)」for 'i/ga (is)' in Korean (2) 「ガ(ga)」for 'uen/nuen (is)' in Korean (3)「ガ(ga)」for 「∅」 in Korean. Meanwhile, use of 「ハ(wa)」can be categorized in four groups corresponding to different Korean counterparts. (1)「ハ(wa)」for 'uen/nuen (is)' in Korean (2) 「ハ(wa)」for 'i/ga (is)' in Korean (3)「ハ(wa)」for 'eul/leul' in Korean (4)「ハ(wa)」for 「∅」in Korean. Akamine demonstrated that 'eun/neun' in Korea corresponds to 「ハ(wa)」 in Japanese, while 'i/ga' corresponds to 「ガ(ga)」. Similar uses could be found in other literatures as well.

본 논문에서는, 1892년 赤峯瀬一郎에 의해 발행된 한국어학습서인 『日韓英三国対話』를 들어 본 문헌에 대한 언어문화사적인 관점에서의 고찰을 시도했다. 그리고 『韓語入...

본 논문에서는, 1892년 赤峯瀬一郎에 의해 발행된 한국어학습서인 『日韓英三国対話』를 들어 본 문헌에 대한 언어문화사적인 관점에서의 고찰을 시도했다. 그리고 『韓語入門』을 시작으로 몇 개의 明治期에 있어서의 韓語資料에도 주목했다. 본 논문의 내용을 아래에 간단히 정리한다.
이른바 「朝鮮資料」에 대해서는 그 일본어사 연구에 있어서 유효성에 기대어 여러 가지 방면으로부터 고찰이 이루어져왔다. 단지, 그것은 『捷解新語』를 시작으로 하는 한국 측의 문헌에 집중된 일이 많았고, 그것도 시대적으로 江戸時代에 한정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韓語資料」에 주목할 때,
江戸時代뿐만이 아니라 일본어의 근대화의 과도기라고도 일컫는 明治時代의 모습도 분명해질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을 펼친 것이 본 논문의 제2장이다.
제3장에서는 우선 『日韓英三国対話』의 저술 목적 및 자료적 가치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본서는, <한·일·영 세 언어의 대조 학습서>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하며, 赤峯는, 꽤 현실적인 목적, 즉 이웃나라를 이해하고, 불편 없이 여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의 목적을 가지고 본서를 썼다고 밝혔다. 그리고 본서의 회화서로서의 성격도 탐구해보았다. 다음으로 본서의 구성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보았는데 雨森芳洲의『交隣須知』와의 관련뿐만 아니라, 韓語資料의 연속성 및 영향관계의 구명에 본서가 도움이 되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일본어와 한국어의 관계에 대해서 赤峯의「親族的関係」라는 등의 언급으로부터 그가 비교언어학적인 입장에서 양 언어를 취급했던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赤峯는 단지 의사소통의 편의를 꾀할 목적뿐만이 아니라, 이데올로기적인 요소도 염두에 두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明治期 韓語資料의 개관을 하였다. 『韓語入門』『日韓善隣通話』『実用韓語学』『韓語』『韓語通』『韓語文典』『韓語研究法』『日韓韓日言語集』의 8권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 그것이다. 여기에서 든 자료는 크게 문법중심의 자료와 회화중심의 자료로 나뉜다. 그리고 일본인 저자의 것이 거의 대부분으로 한국인 저자의 것은 『韓語』한 권이었다.
한편 제 5장에서는 明治期의 일본어 대우 표현에 대한 개관을 하고 인칭대명사를 중심으로 『日韓英三国対話』에 보이는 대우 표현의 특징에 대해서 고찰했다. 그리고 다른 韓語資料의 기술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본적으로는 어느 문헌에서도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우 표현을 일 대 일로 대응시키려고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 6장에서는 「ガ」「ハ」를 중심으로 조사의 문제에 대한 제 문헌의 취급법에 대해 보았다. 『日韓英三国対話』의 조사「ガ」는 그 한어의 대역에 의해 크게 3개로 나뉜다. 즉 (1) 「ガ」가 한어의 「이/가」로 나타나는 예, (2) 「ガ」가 한어의 「은/는」으로 나타나는 예, (3)「ガ」가 한어의 「∅」로 나타나는 예가 그 세 가지이다. 그리고 조사 「ハ」는 그 한어의 대력에 의해 크게 4개로 나뉜다. (1)「ハ」가 한어의「은/는」으로 나타난 예, (2) 「ハ」가 한어의 「이/가」로 나타난 예, (3)「ハ」가 한어의 「을/를」로 나타난 예, (4)「ハ」가 한어의 「∅」로 나타난 예가 그 예이다. 또한 赤峯는 한어의 「은/는」이 일본어의 조사 「ハ」에 해당하고, 「이/가」는「ガ」에 해당하는 것으로 취급했던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취급법은 다른 문헌에서도 찾아 볼 수 있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