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流 현상과 담론에 관한 연구 : 중국의 韓流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n interest for Korean popular culture such as films, soap operas and pop has been largely increased in Great China based on China from 1990s, and so called, Korean Wave phenomenon has distinguished by 2005. During the period, Korean Wave raised Korea...

An interest for Korean popular culture such as films, soap operas and pop has been largely increased in Great China based on China from 1990s, and so called, Korean Wave phenomenon has distinguished by 2005. During the period, Korean Wave raised Korean image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of letting acceptors know about Korea by increasing intimacy and goodwill for Korea including Korean people, Korean enterprises, Korean products and Korean language, and largely contributed to improving Korean competitiveness. However, anti-Korean Wave from the end of 2005 is making people in and researchers on Korean Wave reflect on problems of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at have taken place from old times, and causing discussion on how Korean Wave should be continued. Most of discussions until now put a focus on national profit or economic viewpoint. Systemic discussions on Korean Wave were not well realized since the Korean Wave culture interested, scholars and contents manufacturers related to Korean Wave have kept respectively their own opinion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phenomena of Korean Wave and anti-Korean Wave based on China, to analyze the existing discourses on sustainability, prospect in the future and proposal of directions, to suggest problems of their common recognition structure and to make an overall analysis on Korean Wave by making a fundamental question of 'Should Korean Wave be continued?'. The study carried out the above analysis with contents of the Chinese press and the Korean press for 4~5 years, writings of related specialists and contents of interview with local specialists for the most part.
With regard to Korean Wave, the study examined what position China, the fountainhead of Korean Wave, kept, and groped evaluation on and prospect of it and furthermore our attitude in the future. To make a sincere Korean Wave, all paradigms having been carried out with culture until now should be changed, a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cademic understanding and importance of other social culture with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more in-dep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the masses in other countries, not development of short-term cultural goods. It is also necessary to move toward two-way exchange and private exchange beyond industrial viewpoint and to make a fundamental conversion of cultural viewpoint, throwing away an attitude of cultural hegemonism. In addition, Korea should find common contents that all people in Asia can sympathize in cooperation with the Asian market including Japan with abundant capital and China with a lot of human resources by forming a theoretical foundation based on a new frame of recognition and constructing related infrastructure, and should go on globalizing them. Korea should also strive to make Korean Wave to be a communication language of the East Asia through cultural contents with emphasis on universality than extreme Korean contents, development of Asian culture mixed as Bibimbab (boiled rice with assorted mixtures) and development of global culture with universal emotion that all people can sympathize.

90년대 후반부터 중국중심으로 중화권 지역에서 영화, 드라마, 가요 등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크게 급증하여 2005년까지 이른바 韓流 현상이 활기를 띄었다. 이 시기 韓流는 국가 이...

90년대 후반부터 중국중심으로 중화권 지역에서 영화, 드라마, 가요 등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크게 급증하여 2005년까지 이른바 韓流 현상이 활기를 띄었다. 이 시기 韓流는 국가 이미지 제고와 함께 한국인, 한국기업과 한국 제품 그리고 한국어 등 韓流 수용자들에게 한국이란 국가에 대한 친근감과 호감을 증가시켜주어 한국을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동시에 국가의 경쟁력 향상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2005년 말부터 시작된 ‘反韓流(嫌·抗韓流)’ 현상은 최근에 韓流 관련 종사자들과 연구자들에게 기존 韓流 현상의 문제점을 성찰하게 만드는 동시에 과연 韓流는 어떻게 지속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이루어진 논의의 대부분은 주로 국가 이익이나 경제적 관점에 중점을 둔 논의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韓流와 관련된 문화종사자와 학자들 그리고 콘텐츠 제작자들 간의 입장이 서로 달라 韓流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그동안의 韓流 및 反韓流 현상에 대해 중국을 중심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韓流의 지속가능성과 향후 전망 그리고 방향 제시에 대한 기존 논의들의 담론분석을 시도하면서, 이들이 지닌 공통된 인식틀에 문제를 제기하고 “韓流는 과연 지속되어야 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韓流에 대한 총체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분석은 주로 최근 4, 5년간의 중국과 한국의 언론보도 내용과 아울러 관련 전문가의 글들 그리고 현지 전문가와의 인터뷰 내용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통해 韓流라는 현상에 대해서 그것의 진원지인 중국에서는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는지까지 살펴봄으로써 그것에 대한 평가와 전망, 나아가 향후 우리의 자세를 함께 모색해보고자 한다. 진정한 韓流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문화를 바라보고 행해왔던 모든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하며, 단기적인 문화상품 개발이 아니라, 타국의 대중에 대한 보다 심층적 이해와 분석을 위한 인력 양성과 함께 타 사회문화에 대한 학문적 이해의 중요성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문화적 패권주의 의식을 버리고 산업적 관점을 넘어 쌍방향교류, 민간교류를 지향하며, 더 나아가 문화를 바라보는 관점의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 더불어 韓流에 대한 새로운 인식틀에 기반한 이론적 기반조성 및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여 자본이 풍부한 일본과 인재가 많은 중국 등 아시아 시장과 협력하여 아시아인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공통분모(콘텐츠)를 찾아 세계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지나치게 한국적인 것보다는 보편성을 강조한 문화콘텐츠, 비빔밥처럼 섞인 아시아류, 나아가 모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정서를 지닌 ‘세계류’의 문화개발을 통해 韓流가 동아시아 소통의 언어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