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내용을 평가할 때에 평가가 교육에 종속된 것처럼 생각했던 적이 있으나, 사실은 교육이 평가에 종속되었던 경우가 더 많이 있었다. 특히 개인과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고비중...
교육 내용을 평가할 때에 평가가 교육에 종속된 것처럼 생각했던 적이 있으나, 사실은 교육이 평가에 종속되었던 경우가 더 많이 있었다. 특히 개인과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고비중 평가(high-stake tests)는 교육내용을 평가한다는 차원을 넘어서서 학습자들과 교사들에게 학습해야 할 방향을 제시해주기도 하며 교육에 큰 영향력을 끼친다.
현재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고비중 시험으로 TOPIK과 KLPT가 대표적이다. 이 두 시험은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목적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TOPIK과 KLPT 모두 대학 입학 및 졸업, 취업 등의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한국어 학습과 평가의 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TOPIK과 KLPT 지침서에는 이 시험의 결과를 입학의 자료로 사용한다고 밝혔으나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두 시험으로는 학업 능력을 측정할 수 없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각 대학교에서 대학입학시험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다. TOPIK, KLPT, 외국인 대학입학시험은 고비중 시험으로서 수험자들의 한국어 학습 방향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수험자의 인생을 결정지을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의사결정 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평가 도구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듣기는 의사소통 능력의 네 가지 기술 가운데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발달되어야 할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듣기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평가 도구의 질을 높여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듣기 시험이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충실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즉, 평가 시험의 타당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평가 도구는 타당도, 신뢰도, 실용도가 갖추어져야 하는데 타당도는 검사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어떤 평가 도구가 신뢰도와 실용도가 갖추어졌다고 하더라도 평가의 타당도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그것을 근거로 추론한 결과는 신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험자와 그 결과를 사용하는 기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한국에서 치러지고 있는 고비중 시험이 믿을만한 근거를 가지고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OPIK, KLPT, 배재대학교 한국어학업능력평가를 분석하여 각 시험에서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찾아내고, 그것을 바탕으로 고비중 한국어 시험 설계의 타당도 확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Ι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방법과 범위를 기술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였다. 먼저 Weir(2005)의 Language Testing and Validation에서 제시한 타당도에 대한 개념을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그 내용을 기술하였다. 그 다음 TOPIK, KLPT, 배재대학교 한국어학업능력평가의 듣기 영역 현황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이론 기반 타당도와 문맥 타당도로 나누어 각 시험의 타당도를 분석하고 타당도 확보를 위한 시험 설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론 기반 타당도는 Bachman & Palmer(1996)에서 제시한 언어 능력 모형을 기반으로 분류하였고, 문맥 타당도는 Weir(2005)가 제시한 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지시사항, 평가의 목적, 반응 형태, 평가 항목들의 순서, 소재, 기능, 대화자 변수(속도, 성) 총 7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고비중 시험의 설계 방안을 결과 사용의 합목적성, 실제성, 다층적인 능력 측정 등의 세 가지로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한국어 시험들의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시험을 설계할 때 필수적이며 근본이 되는 타당도 확보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In testing educational achievement, it sometimes seems that testing is part of education. More frequently, however, education seems subordinate to testing. In particular, high-stakes tests, those that can have a great influence on individuals and soc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