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및 골밀도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level of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adult women and to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Ultimate go...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level of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adult women and to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osteoporosis prevention program.
Method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adult women over 18 years of age or older. The date were collected using osteoporosis Quiz, (Ailinger, Howard, & Braun, 2003), Osteoporosis self-efficacy scale (Horan, Kim, Gendler, Froman & Patel, 1998), Osteoporosis health promoting behaviors scale (Eunjoo Youn, 2001). The Data on bone mineral density(BMD) was obtained from the subject's medical record. For BMD, the mean of T-scores between L1 and L4 of the spinal column was retrive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SPSS WIN 14.0 .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Subjects'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s among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and bone density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differences of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by subject's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using t-test or ANOVA. Also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were examin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subjects(N=312) was 43.4(±9.67) and 91% were married. About 70% had menarche at the age of 14 to 16, 76.3% were not menopaused, 68.9% had given 1 to 2 childbirth. The mean scores(SD) of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 were 13.2(3.09), 77.6(22.32), 47.1(6.75) respectively. With regard to bone mineral density, 13 subjects (4.2%) showed bone loss and the mean T-score was -1.780. One subject(0.3%) had osteoporosis wth T-score of -2.950. The knowledge of osteoporosis and self-efficacy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r=.290, p<.001). Also self-efficacy and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426, p<.001). When compared by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mean score of osteoporosis knowledge of osteoporosis differ by age (t=4.055, p<.05), osteoporosis education (t=2.135, p<.05)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age, history of fracture, osteoporosis education, number of medication, and number of chronic disease were entered into regression model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24.7% variance of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1)
Conclusion : 1)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on osteoporosis including strategies to correct some misunderstandings such as risk factors, recommended daily allowance, calcium sources, effect of hormone-therapy on post-menopausal women, and possible treatment after onset of osteoporosis. 2) Self-efficacy on exercise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n calcium-intake. Henc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xercise educational program would be required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on exercise. 3) To promote the practice of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with provision of useful information and advice on the diet to prevent osteoporosis from their earlier life. Tailored educational intervention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and this eventually can enhance them to practic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연구는 성인 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정도를 파악하고 골밀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

연구는 성인 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정도를 파악하고 골밀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서울 및 대전 소재의 E종합병원과 제주 소재의 J병원에서 종합검진을 시행하는 18세 이상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다공증 지식은 Ailinger, Howard, & Braun (2003)이 개발한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는 Horan, Kim, Gendler, Froman & Patel (1998)이 개발한 것으로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골다공증 예방 건강증진행위 측정은 윤은주(2001)가 개발한 골다공증 예방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골밀도는 Lunar사의 PRODIGY Advance(2006년) 장비를 이용하여 요추 L1-L4사이의 T-score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정도, 골밀도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대상자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과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정도, 골 밀도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 지식,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t-test, ANOVA를 이용하여 차이를 분석 및 사후분석 하였다.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은 평균 43.4(±9.67)세였고 기혼이 91%였다. 초경연령은 14세에서 16세사이가 70%로 가장 많았으며, 폐경 유무 및 시기에서는 대상자의 연령이 대체로 낮아 폐경 안됨이 76.3%였고, 출산횟수로는 1-2회가 68.9%로 많았다. 골다공증 지식은 평균 13.2(3.09)점이었고,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77.6(22.32)점,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은 47.1 (6.75)점이었다. 골밀도 분석에서 골감소증 소견을 보이는 대상자가 13명(4.2%)으로 T-score의 평균은 -1.780이었고, 골다공증 소견을 보이는 대상자는 1명(0.3%), T-score는 -2.950(.0)이었다. 골다공증 지식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r=.290, p<.001)와,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와의 상관관계에서(r=.426,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골다공증 지식 정도에서는 나이(t=4.055, p<.05)와 골다공증 교육(t=2.135, p<.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24.7%설명력을 나타났다(p=<.001).
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은 낮은 편이었고 대상자들이 그릇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던 저체중과 골다공증의 발생, 우유의 칼슘함유량에 따른 일일 섭취량, 폐경 이후에 호르몬 치료효과, 가족력과 골다공증의 발병요인 관련성, 골다공증 발병 이후의 치료 가능성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교육하여야 하며,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골다공증에 관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골다공증 자기효능감에서는 특히 운동 수행 자기효능감이 칼슘섭취 자기효능감보다 낮아, 적극적으로 운동-건강증진행위를 도모하는 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골다공증이 발생하기 전에 대상자 교육을 통하여 지식수준을 높여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식이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간호 중재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을 도모해야 하겠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