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내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일본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이에 따른 스트레스,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경제적 성장에 따라 여성들의 사회진출...

본 연구는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이에 따른 스트레스,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경제적 성장에 따라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증가하였고, 그 결과, 결혼 및 출산 기피 현상이 늘어 저출산, 고령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 간의 국제결혼이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문화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언어·의사소통 문제, 경제적 문제, 가족갈등 및 가정폭력, 자녀 양육·교육 문제, 차별과 편견 등 다양한 문제들을 안고 있으며,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여러 스트레스를 겪고 있고, 그로 인하여 정신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큰 집단이다. 이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대안과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 집단 중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에 한하여 일반적 특성, 문화적응 유형,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족관계 스트레스, 그리고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전신건강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이론,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실태와 사회적 문제점 및 정책,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기존 논의를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검토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수도권 지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이문화 수용, 대인관계 등 사회문화적 특성이 파악되었고, 특히 한국인과 가족관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일반적 특성 및 문화적응, 정신건강 실태와 각 변인 간의 연관성이 파악되었다.
4장에서는 선행연구 검토와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타국가출신 여성결혼이민자들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는 문화적응 유형 중 통합과 분리 유형이 많았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는 높은 수준은 아니었으나, 가족관계 스트레스의 경우 표준편차가 넓어 개인 차이가 큰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문화적응 유형,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족관계 스트레스, 정신건강 각 변인 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문화적응 유형 중 분리와 주변화 유형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고, 정신건강 상태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간에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가 많지 않아 일반화하기에 더 많은 검토와 조사, 분석이 필요하나,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에 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mental health of Japanese female immigrants living in Korea who are married to Korea. Due to economic development, recently in Korea increasing number of women enters the society 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mental health of Japanese female immigrants living in Korea who are married to Korea.
Due to economic development, recently in Korea increasing number of women enters the society and as a result, they tend to avoid marriage and childbirth, causing serious low fertility late and aging society. This lead to an increased number of Korean male married to foreign women and studies and policies to help female immigrants married to Korean male adapt to Korean culture have been conducted.
Women married to Korean male have various issues including language and communication issues, economic problems, conflicts in family, domestic violence, problems in rearing and educating children, discriminations, and prejudice and experience a lot of stres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Korean society, which could lead to a problem in mental health. Advance research on this issue has discussed alternatives for various matters, and the stress and mental health problems of female immigrants married to Korean. This study investigated female immigrants from Japan who are married to Korean, their general features,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in cultural adaptation and family relation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ental health.
On Chapter 1, the author examined cultural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stress in cultural adaptation, and prior studies in metal health.
On Chapter 2, theories on the cultural adaptation and the stress of female immigrants, social status, social problems and policy, and discussions o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immigrants were examined.
On Chapter 3, to find out the reality of cultural adaptation of Japanese female immigrants and their mental health, prior studies were examined and a survey was carried out.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54 Japanese women living in capital areas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married to Korean guys. As a result, sociodemographic and sociocultural features of Japanese female immigrants were apprehended such as acceptance of different culture and personal relations and especiall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n Koreans and family relations. In addition, the survey suggests general features, cultural adaptation, mental health status of Japanese female immigra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variable.
On Chapter 4, by analyzing prior studies and the survey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draw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insufficient number of studies on the features of Japanese female immigrants.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Japanese female immigrants compared to other female immigrants from different country. Third, a lot of Japanese women married to Korean belong to the type of combination and separation among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While the stress due to cultural adaptation and family relations is not high, standard deviation regarding family relations is vast, suggesting huge individual difference.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in cultural adaptation and family relations, and each variable of mental health. Fifth, those belong to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types showed high level of stress due to cultural adaptation and family relations and did not have good level of mental health. Moreover, there are positive (/) correlations between stress in cultural adaptation and family relations.
While further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his study can be an indicator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Japanese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ultural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