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난도별 어휘 학습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s foreigners increasingly want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there are heated discussions about how to educate i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basis of the language ability is vocabulary. So far, vocabulary lists required for Korean education h...

As foreigners increasingly want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there are heated discussions about how to educate i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basis of the language ability is vocabulary. So far, vocabulary lists required for Korean education have been selected based on frequency. However, whether it is effective for foreign learners who learn the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o acquire highfrequency words first of all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ile teaching foreigners Korean for years, this researcher found that it was not easy for them to acquire vocabulary, and considered it necessary to come up with new descriptive and efficient learning methods in consideration of not only frequency but other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readability of vocabulary,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what affected vocabulary's degree of difficulty. Specifically,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Ewha Women's University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degree of difficulty of nouns included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2002)'s investigation into the frequency of the modern Korean language, which was conducted as a pilot study to select vocabularies necessary for Korean education. Besides, whether the nouns were homonyms, compounds or abstract words was considered, as those words seemed to be elusive for foreign Koreanlanguage learners, and the number of syllables was taken into account as well.
To confirm how foreign learners actually felt about the vocabularies' degree of difficulty, Chinese students who learned Korean at International Language Institute in Kyungdong University were examined. To what extent they were aware of the vocabularies of different difficulties was checked.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 high-frequency vocabularies, single words, concrete words and vocabularies with less syllables were better acquired than the low-frequency vocabularies, compound words, abstract words and vocabularies with more syllables.
Based on the results, vocabulary lists that would be appropriate for beginner's,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rses were presented. After vocabularies were extracted by this researcher from the elementary vocabulary list of Kim Gwang-hae(2003)'s Level-Based Vocabulary Lists for Korean Education based on Kim Ha-su(2007)'s Korean Compound Word Dictionar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1999)'s Great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Hancom Dictionary, vocabularies that seemed to be appropriate at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difficulty presented in this study.
The vocabularies were categorized into different stages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difficulty scores given by this researcher. To what extent foreign Korean-language learners found it easy or difficult to learn the vocabularies was represented by giving marks to their degree of difficulty. The degree of difficulty was evaluated in consideration of frequency, number of syllable and whether they were abstract words, compound words or homonym(polysemy).
The grammatical roles and contextual meaning of Korean vocabularies depend on inflection that is elusive for foreign learners.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verb and adjective as well as noun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vocabulary education. Although this study aimed to present efficient vocabulary learning methods for different levels of learners, the scope of the study was just confined to noun, and this study had limitations in that regard.
Vocabulary education is not everything of language education, but that is definitely integral part of it. Being aware of vocabularies doesn't simply mean to understand their key meaning. Language ability cannot be perfect without understanding the diverse meaning and usage of vocabularies, and teachers should provide vocabulary education in a way to suit learners' level and satisfy their nee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improve vocabulary education, and is expected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that.

최근에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이 급증하면서 한국어를 교육하기 위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 구사 능력의 기본은 어휘 습득이다. 지금까지 한...

최근에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이 급증하면서 한국어를 교육하기 위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 구사 능력의 기본은 어휘 습득이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필요한 어휘목록을 선정할 때는 빈도수에 초점을 맞추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빈도수가 높은 단어를 우선적으로 습득시키는 것이 효율적인가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 연구자가 지난 몇 년간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외국인 학습자가 어휘를 습득하는 데 따른 어려움을 직접 확인하면서 빈도수 이외의 여러 요인이 추가된 기술적이고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는 판단으로 이 연구에 착안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어휘의 가독성과 난도 개념, 그리고 어휘의 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에 근거하여 이화여대의 한국어 교재 <말이 트이는 한국어Ⅰ-Ⅴ>에서 다루고 있는 어휘 중 명사를 대상으로 난이도를 분석하였다. 난이도 분석의 기준은, 빈도면에서는 국립국어원에서 2002년도에 실시한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조사)」를 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외국인이 제2의 언어로 한국어를 배울 때 어렵게 느끼는 요인이라고 여겨지는 동음이의어, 복합어, 추상어, 그리고 음절수를 고려하여 난도 등급을 설정해 보았다.
이렇게 분석된 어휘가 실제 학습자에게도 체감되는 난이도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경동대학교 국제어학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난이도 등급에 따른 어휘를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그 인지도를 알아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빈도수가 많은 어휘가 빈도수가 적은 어휘보다, 단일어가 복합어보다, 구체어가 추상어보다, 그리고 음절수가 적은 어휘가 음절수가 많은 어휘보다 더 잘 학습된다는 자료를 확보하였다.
이렇게 분석, 검증한 자료를 바탕으로 초 중,고급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다. 어휘 목록의 작성은 김광해의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2003, 박이정)에서 선정한 초급 어휘 목록을 표제어로 하여, 김하수의 『한국어연어사전』(2007, 커뮤니케이션북스)과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1999, 두산동아), 그리고 한컴사전을 참고로 하여 관련되는 어휘를 연구자가 선정한 뒤, 본 연구의 결과물인 난도 점수를 부여하여 초, 중, 고급 수준에서 제시되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어휘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단계별 확장 어휘로 나눈 근거는 연구자가 본 논문에서 부여한 난도 점수이다. 연구자가 정의한 ‘난도 점수’란 한국어를 제2의 언어로 학습하는 외국인들에게 ‘쉽고, 어려운 정도’를 점수로 환산해 본 것이다. 이 때 어휘의 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빈도순, 음절수, 추상어, 복합어, 동음이의어(다의어)를 난도 점수로 각각의 기준에 맞추어 부여하였다.
한국어는 어미의 변화에 따라 어휘의 문법적 역할이나 문맥상 의미가 달라진다. 또한 어미의 변화가 외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러므로 명사 이외에도 동사나 형용사도 어휘 교육에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은 명백하다. 본고의 연구 목적이 “한국어 학습자 수준에 맞춘 효율적인 어휘 제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명사만을 대상으로 한 점이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되는 문제일 것이다.
어휘 교육이 언어 교육의 전부라고 할 수는 없지만 매우 중요한 부분임에는 틀림이 없다. 어휘를 인식하는 것은 단순히 그 중심 의미를 이해한다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어휘의 다양한 의미와 쓰임에 대한 이해 없이는 자연스러운 언어 구사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추어 적절하게 어휘 지도를 할 타당성이 따른다. 본 연구는 그러한 필요성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미숙하고 실험적이나마 그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