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단기거주 귀국아동들의 영어 학습 실태 및 영어능력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study analyzes the English pro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stayed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about grammar, listening, and reading in order to find Korean children's present practices to learn English in English-speaking ...

The study analyzes the English pro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stayed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about grammar, listening, and reading in order to find Korean children's present practices to learn English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 extent of improvement in English proficiency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ir sta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the retention or loss of English proficiency in Korea where English is a foreign language.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research subjects are selected from the students of the B elementary school in Busan, Korea. The 22 fifth and sixth graders of the B elementary school are those who have stayed abroad for more than 6 months and less than 26 months and have come back to Korea within the past 12 months.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study, 22 subjects are compared with their counterparts in the K elementary school in Busan. 10 students in the returnee class of the K elementary school are those who have stayed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for more than 4 years. The case study includes the analysis on the English tests about grammar, listening and reading in September, 2007 and February, 2008 respectively as well as the exploration of the surveys researching the existing practices of English learning. The analysis on the first test finds the English proficiency level affected by the length of students' stay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students' developmental state in time of students' staying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learning environments for English learning.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first and second tests' result finds the patterns of the change in English proficiency under the Korean- speaking context(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ontext) in the relations with students' grade; periods of their sta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elapsed time after their returning to Korea; and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to four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commitment of intensive time and effort for English learning through private institutes or tutorials in both Korea and the foreign country characterizes English learning patterns of the the students with shoir-trum risidence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Second, sixth graders' English proficiency about the grammar, listening, and reading is superior to that of the fifth graders'(from the analysis on the English proficiency of the student with short-trem residence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refore, regarding English learning, the fifth graders are benefited by their sta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better than the fourth graders.
Third, although the overall English proficiency of the the students with short-term residence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is found to be inferior to that of the students with long-term residence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both groups show similar English proficiency level about grammar, listening, and reading as the six graders with short-term residence in the English speaking countries are regrouped by their length of stay for more than 12 months to less than 26 months. Therefore, length of students' sta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students' developmental state in time of their staying abroad are two important variables under the condition that intensive learning for English is continued.
Fourth, the loss of English is not noticeable if intensive English learning is implemented after students' returning to Korea. Neither the length of staying-abroad periods nor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affects the loss of English.
The findings confirm thre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First,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earch subjects' English proficiency and learning practices with those of students who have never stayed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but achieve superior English proficiency will provide th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ffective English learning.
Second, rather than the extension of research periods, exploration of the change i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nd the learning environments of various students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second language retention and loss.
Third, the inclusion of the research subjects with wider age span will provide detailed and extensive data for sensitive periods.

본 연구는 언어 연수를 목적으로 해외에서 단기거주경험이 있는 귀국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영어 학습에 관한 자세한 실태 조사와 영어권 국가에서 습득한 영어능력의 정도, 그 ...

본 연구는 언어 연수를 목적으로 해외에서 단기거주경험이 있는 귀국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영어 학습에 관한 자세한 실태 조사와 영어권 국가에서 습득한 영어능력의 정도, 그 영어능력이 한국어 상황에서 어떻게 유지 혹은 상실되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그들의 영어능력을 문법과 듣기 읽기 영역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귀국 후 경과시간이 1년 이내이며 해외 거주경험이 6개월에서 2년 2개월 사이인 부산시 남구 B초등학교의 5, 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2명과, 비교연구를 위하여 부산시 금정구 K초등학교 귀국반의 장기거주 귀국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듣기, 문법, 읽기 검사지를 통하여 2007년 9월, 2008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그들의 영어 능력을 알아보았으며, 설문지를 통해 영어 학습에 관한 자세한 실태를 파악하였다. 1차 실험을 통해 해외거주기간, 해외거주시기, 해외 거주 시 학습 환경에 따른 영어능력을 분석하였으며, 1차 실험과 2차 실험의 결과를 함께 분석하여 한국어 상황에서의 영어능력이 학년, 해외거주 기간, 귀국 후 경과 시간, 영어능력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보이면서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최근 영어습득을 목적으로 해외에 단기간 거주 하였다가 귀국하는 아동집단의 학습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자들은 해외 현지에서와 귀국 후 사설학원이나 개인교습을 통해 강도 높은 영어 학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단기거주 귀국학생들의 영어능력을 분석해 본 결과 6학년 학생의 영어능력이 5학년 학생의 영어능력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우수하게 나타나 5학년 시기에 해외에서 거주한 경우가 더 4학년 시기에 거주한 경우보다 영어습득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해외거주기간 2년 2개월 이하의 단기거주 귀국학생들의 영어능력은 전반적으로 장기거주학생들과 비교하여 모든 영역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1년 초과 2년 2개월 이하 거주한 6학년 단기거주 집단의 경우 장기거주 집단과 비슷한 수준의 듣기, 읽기, 문법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영어습득에 있어서 연구 대상자들처럼 강도 높은 영어 학습을 병행할 경우 해외거주 기간과 동시에 해외 거주시기가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어 능력의 손실을 살펴본 결과 연구 대상 집단처럼 강도 높은 영어 학습을 귀국 후에도 계속 할 경우 영어의 손실은 적으며 거주기간이나 영어능력에 따른 영어 손실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아동의 조기언어연수는 아동의 전인적인 발달을 돕는 방향으로 득과 실을 심사숙고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또, 학교 교육에서 영어사용국가의 영어 환경을 완벽하게 제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그에 대체할 만한 다양하고 풍부한 언어 자료를 장기간 제공하는 것은 아동들의 영어 교육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활용하는 교사들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하다.
둘째, 해외 체류 경험 없이도 귀국학생 못지않은 영어능력을 가진 학생들과 귀국학생들의 영어능력과 구체적인 학습 실태를 함께 비교 연구 한다면, 효율을 높인 영어습득을 위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며, 장기적인 실험 기간 동안 보다 여러 학생의 언어능력변화와 학습상황을 함께 분석해 보는 것도 제2언의 습득과 손실을 연구하는데 유익할 것이다. 또한 연구대상 연령의 폭을 넓혀 연구한다면 제2언어습득에 있어서의 민감한 시기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