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first, locate the use of honorifics as a means of face strategy in Korean language and set a strategy in using honorifics which reflects face strategy; second, thereby contribute to enhancing and fostering the capac...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first, locate the use of honorifics as a means of face strategy in Korean language and set a strategy in using honorifics which reflects face strategy; second, thereby contribute to enhancing and fostering the capacity of strategic use of honorifics in users by investigating into actual use of this language system; and third, establish education contents for honorifics which consider linguistic culture of the Korean language. Current education contents including the 2009 Reformed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and guides were critically assessed in detail to build the theoretic foundation for the suggested honorifics education. In the assessment, it was discovered that the existing honorifics education was focused on delivering grammatical knowledge and was de-culturalized. ‘Honorifics education focused on face strategy’ is expected to complement these issues because it is suggests workable use of honorifics and offers grammatical pedagogy based on Korea’s linguistic culture. Politeness theory and the theory of facework, and how these two theories have been appli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the focal points in preliminary review in constructing this research’s argument in the honorifics education and its relation to face strategy. Actual conversations were analyzed before setting a new strategy for honorifics. Meta-analysis was employed in selecting the target research materials and conversation data, which were analyzed then categorized in scopes of speech-act typology, conversational scenes, speaker-listener relationship, grammatical category of honorifics, grammatical units, and face. Conversations were scrutinized on terms of positive and negative face and the strategies for each face is employed to maintain face, threaten face and decrease the threat to face. This analysis allowed comprehending how honorifics was used based on face strategy as is presented in section D of chapter III. Positive face strategies mainly used to ‘build intimacy by gaining distance on the listener’ were the use of fictive kinship terms, and the use of honorifics before registering informal style of language. Negative face strategies which ‘establish independence through keeping distance’ were using honorifics in terms of address, and using honorifics before registering formal tone of language. The research illustrated in chapter III enabled to locate the interface between face strategy and honorifics, and to materialize and categorize this interface in setting how honorifics was used to apply face strategy. In chapter IV, specific objectives and contents are presented to suggest a new pedagogy for honorifics use in relation to face strategy by reflecting on the actual use and linguistic culture of honorifics while embracing conventional education in honorifics. The pivotal goal in outlining the new pedagogy is to enable the subject of this education to experience how conversation can be produced and accommodated beyond learning grammatical knowledge of honorifics. The education is designed so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the composition of honorifics in specific scenes of conversation, analyze the compositional units of honorifics in the context of the conversation, and select and apply face strategies respective to the change of scenes. In addition, meta-texts were presented so that the learners can perceive the cultural sensitivity in relation to the use of honorifics. This study aims to build a pedagogy which can assist learners to experience pragmatic practice of a linguistic system, learn to strategically use language, and reflect linguistic culture in their use of language. In achieving these objectives, it materializes and suggests an extended modification to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use of honorifics focusing on face with analyses on actual conversational uses of honorifics. The meaningful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lies in its attempt to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face’ in politeness theory by relocating honorifics beyond its conventional position as a grammatical system, and to do that for the concept of ‘face’ in Korean cultural context. This study hopes that its analyses and suggestions offer a method for evaluation and growth in honorifics education and further grammar education, and also in education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체면 관련 전략을 중심으로 국어에서의 높임법 실현 양상을 밝히고, 체면 관련 전략이 반영된 높임법 사용 전략을 설정하는 데에 있다. 이를 통해 둘째, 실제적 언어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체면 관련 전략을 중심으로 국어에서의 높임법 실현 양상을 밝히고, 체면 관련 전략이 반영된 높임법 사용 전략을 설정하는 데에 있다. 이를 통해 둘째, 실제적 언어 탐구를 통한 전략적 언어 사용 능력의 향상과 전략적 언어 사용 주체의 양성에 기여하고 셋째, 한국어의 언어문화를 반영한 문법교육 내용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체면 관련 전략을 중심으로 한 높임법 교육의 이론적 전제를 마련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지도서를 면밀히 살펴 기존 높임법 교육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존 높임법 교육이 문법 지식 중심, 탈문화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점을 확인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교육 내용인 ‘체면 관련 전략 중심의 높임법 교육’의 중요성을 첫째, 실제적 언어 탐구를 통한 전략적 언어 사용, 둘째, 언어문화를 반영한 문법교육으로 들어 강조하였다. 이어서 공손성 이론과 체면 개념을 검토하고, 국어교육에서 공손과 체면이 어떻게 다루어져왔는지 검토하여 높임법 사용 기제로서의 체면 개념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대화 분석을 통한 체면 관련 높임법 사용 전략을 설정하였다.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이 되는 연구물 및 대화 자료를 선별하였으며, 대화 분석 및 유형화의 틀을 화행의 종류, 장면, 화자-청자 관계, 높임법 문법 범주, 문법 단위, 체면을 바탕으로 마련하였다. 대화 분석은 체면을 중심에 두고 적극적 체면과 소극적 체면으로 나누어 각각의 전략을 세부적으로 체면 존중, 체면 위협, 체면 위협 완화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Ⅲ장 D절에서 체면 관련 높임법 사용 전략을 설정하였다. 적극적 체면 관련 전략으로는 ‘거리 좁히기를 통한 친밀감 형성하기’를 설정하여 의사친족호칭어 사용, 비격식체로의 말 단계 조절로 높임법이 실현됨을 밝혔다. 소극적 체면 관련 전략으로는 ‘거리 두기를 통한 독립성 확보하기’를 설정하여 높임의 호칭어 사용, 격식체로의 말 단계 조절로 높임법이 실현됨을 밝혔다. Ⅲ장의 작업을 통하여 체면 관련 전략과 높임법 간의 접점이 어디에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접점을 구체화하고 유형화하여 체면 관련 높임법 사용 전략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기존 높임법 교육 내용을 포괄하면서도 실제적 언어 사용 능력과 언어문화를 중점에 둔 높임법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목표와 내용을 구체화하여 높임법 교육을 설계하였다. 체면 관련 전략을 중심으로 한 높임법 교육의 설계에서의 핵심은 단지 문법 범주로서의 높임법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장면에서 사용 주체가 담화를 생산하고 수용하는 경험의 장을 열어주는 것이다. 학습자가 특정 장면에서 높임법 관련 구성 요인을 이해하고, 담화에서 구성 요인을 분석해내고, 장면에 따라 체면 관련 높임의 전략을 선택하고 적용하도록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또한 메타적 텍스트를 주어 높임법 사용을 둘러싼 문화적 이해를 강화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적 관점에서 실제적 언어 사용 경험, 전략적 언어 사용, 언어문화의 반영이라는 목표를 두고 대화 분석을 통해 체면 관련 높임법 전략이라는 확장된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문법 범주로서의 높임법에서 한발 나아가 화법 영역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공손 이론에서의 ‘체면’이라는 개념과 한국 문화에서의 ‘체면’이라는 개념을 높임법에 맞게 재개념화하고 높임법 교육에의 새로운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 앞으로 높임법 교육, 더 크게는 문법 교육의 내용과 체계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방향으로의 활발한 모색, 교육 연구의 발전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