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교실수업 모형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공익광고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공익광고가 그 사회와 언어를 배우려는 학습자에게 유용한 학습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본 논문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공익광고를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공익광고가 그 사회와 언어를 배우려는 학습자에게 유용한 학습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공익광고의 특징과 교육적 유용성을 살펴본 뒤 공익광고를 활용한 바람직한 한국어 교실수업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Ⅰ장에서는 광고를 활용한 외국어 교육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다. Ⅱ장에서는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광고의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고 그 중에서 공익광고가 갖는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광고 활용 교육 전반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공익광고 활용 교육의 현황과 공익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가능성 및 교수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견해를 묻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대학교,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 4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본격적으로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실수업 모형을 만들기에 앞서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 공익광고협의회에서 제작된 공익광고를 수집, 분석하였다. 공익광고 분석은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전체 공익광고의 주제 및 주제별 제작편수를 알아보기 위해 공익광고가 처음 시행된 1981년부터 2007년 6월 현재까지의 방송광고 280편을 분석하고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방송광고를 선택한 것은 공익광고의 매체집행이 TV와 라디오를 기본으로 하고, 인쇄 및 기타 매체는 매체 전략에 따라 보조매체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공익광고의 또 다른 분석은 비교적 최근에 제작된 21세기 광고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한국어 교사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용 가능한 교육용 광고를 자료(Database)화하기 위한 것으로, 방송 및 인쇄 광고를 분석하고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공익광고 분석에 이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네 권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이유는 한국어 교재가 교실 수업의 근간이 되며, 교재의 주제를 살펴봄으로써 공익광고의 활용 정도를 짐작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Ⅴ장에서는 공익광고 수집 방법 및 선정 기준을 살펴보고 주제를 중심(Theme-based)으로 한 교실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실수업 모형은 환경, 양보와 배려, 저출산·고령화 사회, 바른 언어생활, 나눔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언어 기능을 통합하는 교수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이제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one of Korean teaching methods using Public Advertisements and it has a goal to provide teachers with the right instructional mode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using Public Advertisements. They can be used for use...

This study is about one of Korean teaching methods using Public Advertisements and it has a goal to provide teachers with the right instructional mode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using Public Advertisements. They can be used for useful learning materials for students who would like to learn Korean, Korean culture and the society.
In the first chapter, previous researche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which are used by advertisements is reviewed and the purpose, need and method of this study for Korean teaching method are presented.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is study is presented. Firstly, the definition and the feature of Public Advertisements are reviewed and especially educational value is presented when Public Advertisements are used for Korean teaching method.
In the third chapter, I made questionaires to korean education teachers with regard to all about teaching method using advertisement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research was progressed to ask teachers for their opinion about Korean teaching method using Public Advertisements and obtain real status whether they have experienced to use Public Advertisements before in class or not.
The research was done by 48 teachers in Kyonggi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the fourth chapter, prior to making practical instructional mode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ollected and analyzed Public Advertisements producted in 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KOBACO). To find out subjects of those advertisements and frequencies per subject, 280 broadcasting advertisements producted from 1981 until now were analyzed and divided into subjects. The reason that I analyzed broadcasting advertisements is not only the best basic advertising medium but also people can easily contact them.
I also collected recent TV and news advertisements made in 21st century and made charts in order to obtain data of the advertisemen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analysis of Public Advertisements, I analyzed four textbooks('Korean'-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at Kyunghee University, 'Sogang Korean'-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at Sogang University, 'Korean'-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Pathfinder in Korean'-Ewha Language Center at Ewha Womans University) which are currently used in classes and teaching materials are basic in classes and focused that Public Advertisements can be one teaching method with other teaching materials.
In the fifth chapter, standard choice and collecting method of Public Advertisements are reviewed and some instructional mode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Theme-based are presented.
The instructional models are producted by four linguistic function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included Theme-based things which are environment, public morality, service, linguistic habit, etc.
In the last chapter, I summarized all of cases and studies and presented meaning of this study and a problem awaiting solution.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