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tries to research on Hyunsoon who played multifarious parts as a methodist church minister in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and Korean Commison to America and Europr. Hyunsoon was of the parentage of ChunRyung-hyun who was famous for an ...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on Hyunsoon who played multifarious parts as a methodist church minister in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and Korean Commison to America and Europr. Hyunsoon was of the parentage of ChunRyung-hyun who was famous for an official interpreter. The parentage of ChunRyung-hyun was in the forefront of receiving modern culture, belonging to middle class in Seoul. For this ancestral peculiarity, Hyunsoon was able to learn English at Educational Park of a government English school, and went to Japan for study. During the years of study in Japan, Hyunsoon was converted to Christianity, and returning from study abroad, left for Hawaii to work as an interpreter in a plantation there. After returning to Chosun with this experience, Hyunsoon received an ordination and got down to the pastoral duties. The Christianity he recognized was 'the religion of competency and action'. Hyunsoon hoped that Christianity would enable the Korean people to be competent and recover national rights. So, Hyunsoon strived to concentrate on educational activities in Sunday school of church, Paejae school, Sang-dong youth school, etc. It was at the point of time to plan the 3·1 movement that Hyunsoon got well-known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He had a just cause of being a minister, whereby he could escape from the superintendence of Japanese imperialism. Then, as a correspondent, he went to Shanghai with Independence Declaration to tell about the Samil movement, because he was good at speaking a foreign language. While planning to establish a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Hyunsoon took the office of a foreign deputy manager and got to participate in foreign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his office of a foreign deputy manager he worked as Seung-man Lee's correspondent, and had conflict with Chang-ho Ann's group. Hyunsoon moved to Korean Commison to America and Europr, and continued the foreign independence movement. There, he got in discord with Jae-peel Seo, Han-kyung Jung, etc., for the leadership in Korean Commison to America and Europr. He campaign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legation, but Jae-peel Seo, Han-kyung Jung, and Seung-man Lee's group in the United States opposed to it, and he was forced to give it up. Eventually, he left for Hawaii, and after a short stay there, went to Shanghai again. Hyunsoon, who failed to establish a legation in the United States, returned to Shanghai and tried to grope for a new direction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his was the very independence movement using socialism. He participated in 'the First Conress of the Toilers of the Far East', and said that a union with Russia would bring out Chosun's independence. There are 4 general reasons why Hyunsoon could accept socialism. The first is the process of Hyunsoon's growing up. The second is the context that Hyunsoon should break away from the foreign independence movement and find a new direction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third is the new alternative of Russian socialism which was widely spreaded in Shanghai. The fourth is the influence of Chang-sik Choi, Heon-young Park whom he had a personal acquaintance with. Hyunsoon thought that Chosun's independence should be fulfilled through the values of 'equality' and 'revolution'. That is, Hyunsoon, who could accept Christianity whereby he became competent for Chosun's independence, could also accept the socialistic values of 'equality' and 'revolution' for it. Hyunsoon argued that the Christian gospel would make it possible to overcome the vices and inequality of materialism and have competency to achieve Chosun's independence. And he dreamed that the socialistic values of 'equality' and 'revolution' would lead to the independence through the people's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Consequently, he believ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appropriately unite Christianity with socialism for Chosun's independence. In this regard, Hyunsoon can be considered as a Christian socialist. Hyunsoon left for Hawaii after the First Conress of the Toilers of the Far East, and got well-known as a Korean leader doing the pastoral duties there until 1937. After retiring from the pastoral duties, he played as 'a Christian socialist' an active part in socialistic groups, and strived for the independence.
본 연구는 감리교 목사로서 상해임시정부와 구미위원부에서 다양한 활동을 했던 현순에 관한연구이다. 현순은 역관으로 유명한 천령현씨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천령현씨 가문은 서울의 중... 본 연구는 감리교 목사로서 상해임시정부와 구미위원부에서 다양한 활동을 했던 현순에 관한연구이다. 현순은 역관으로 유명한 천령현씨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천령현씨 가문은 서울의 중인계급으로 근대문화수용의 선두주자였다. 이런 가문의 특성 상 현순은 관립영어학교인 육영공원에서 영어를 배웠고,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기도 하였다. 현순은 일본 유학시절 기독교로 개종을 하였고, 유학해서 돌아오자마자 하와이 농장 통역관으로 떠나게 된다. 이때 경험으로 현순은 조선으로 돌아와 목사 안수를 받고 본격적인 목회 활동을 시작한다. 현순이 인식하고 있었던 기독교는 ‘실력의 종교’, ‘실천의 종교’였다. 현순은 기독교를 통해 우리 민족이 실력을 키워 국권을 회복하기 희망했다. 그래서 현순은 교회 주일학교, 배재학교, 상동청년학원 등에서 활발한 교육활동에 매진했다. 이런 현순이 독립운동에서 이름을 나타내게 된 것은 3·1운동이 계획되는 시점이었다. 현순은 감리교를 대표하는 목사로 성장하고 있었다. 그는 목사로 일제의 감시를 피할 명분이 있었고, 외국어를 잘한다는 이유로 상해로 3·1운동을 알리는 통신원으로 가게 되고,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상해로 가게 된다. 현순은 상해에서 임시정부 수립을 계획하면서 외무차장을 맡는 등 외교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된다. 현순은 외무차장으로 있으면서 이승만의 통신원의 역할을 하면서 안창호 계열과 갈등을 일으키게 된다. 현순은 구미위원부로 옮겨가게 되었고, 그곳에서 외교독립운동을 계속 하게 된다. 현순은 그곳에서 서재필, 정한경 등과 구미위원부의 주도권을 가지고 갈등을 일으키게 된다. 현순은 공사관설립운동을 하지만 서재필, 정한경, 그리고 미국내 이승만 계열의 반대로 무산된다. 현순은 결국 하와이로 떠나게 되었고, 하와이에서도 오래있지 못하고 다시 상해로 가게 된다. 미국에서 공사관설립의 실패로 현순은 새로운 독립운동으로의 모색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것이 바로 사회주의를 이용한 독립운동이었다. 현순은 ‘극동민족대회’에 참여하게 되었고, 그곳에서 러시아와의 단결이 조선의 독립을 가져올 것이라 하였다. 현순이 사회주의를 받아드릴 수 있었던 이유는 크게 4가지 정도 있다. 첫째, 현순의 성장과정, 둘째, 현순의 외교독립운동에서 벗어나 새로운 독립운동으로 모색을 해야하는 상황, 셋째, 상해에 널리 퍼져있었던 러시아 사회주의라는 새로운 대안, 넷째, 개인적인 친분이 있었던 최창식, 박헌영 등의 영향이다. 현순은 ‘평등’, ‘혁명’의 가치로 조선의 독립을 이룩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즉 조선의 독립을 위해 실력을 키울 수 있는 기독교를 받아드렸고, 또한 조선의 독립을 위해 사회주의의 가치인 ‘평등’, ‘혁명’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현순은 기독교의 복음으로 물질문명의 폐단과 불평등을 극복하고, 실력을 쌓아 독립을 이룩해야한다고 했다. 그리고 사회주의에서 말하는 ‘평등’과 ‘혁명’의 가치로 민중해방을 통한 독립을 꿈꿨다. 결국 기독교와 사회주의 두 사상을 적절히 혼합하면서 조선의 독립을 위해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결합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현순을 ‘기독교사회주의자’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현순은 ‘극동민족대회’ 이후 하와이로 떠나게 되고 1937년까지 목회활동을 하면서 하와이 한인 지도자로 떠오른다. 그는 목사 은퇴 이후 ‘기독교사회주의자’로서 사회주의 계열의 단체에서 많은 활동을 하고, 독립을 위해 힘을 쓴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