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 감정의 확장을 위한 인물표현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rnold Hauser says that it is the purpose and content of art to treat life's significance, human condition, and the value of existence that is associated with man as important issues. Although the work of an artist has been initiated by the triggering...

Arnold Hauser says that it is the purpose and content of art to treat life's significance, human condition, and the value of existence that is associated with man as important issues. Although the work of an artist has been initiated by the triggering of internal emotions by personal events, the moment a work is transformed into a medium of art; it has a more philosophical sense of telling the meaning of life and the value of human existence. I think that when we start to verbalize what art can contain, it will close the possibilities of the effect the art can evoke. The artist can’t predict or control where the influence of art will head for. In this , I do not want to make a definite assumption about what my work means. Although this may make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ambiguous, I also intended to reveal my propensity for irregularity and coincidence. My attitudes that are covered in this are formed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several acts of funeral and rituals. The objects expressed in the paintings are the actual relatives of mine attending the ritual of my maternal grandmother. Having passed the situation of death and the feeling of sadness, the relatives who returned to their daily life came back together naturally on the anniversary of their maternal grandmother. I was able to read their natural emotional changes made by the passage of time. The death is a state without the physical body that has not yet come, but can come anytime to the existing being, and is a depressing, sad, and fearful event that deprives me of life and consciousness. What is important in expressing the feelings the death gives to the people in the picture is not the emotion of the object drawn but the sense of futility of life and death made by a series of events. The attitude of futility in the painting is expressed by the secular and everyday acts of life in contrast to the death, which is the minimum human response to the inevitable process of death. The ritual is the socio-cultural ceremony for the farewell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Since the ritual is a social and religious ceremony, it is conducted according to strict procedures. The ritual in my work has more modern and free atmosphere. The solidarity function of the ritual in the family society to which I belong gives a positive strength to the somewhat cynical attitude held by the sense of futility. The attitude of futility is also embodied in the distinctive and vague emotional expressions. The ambiguity of the implemented personality expression leads to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 in terms of appreciation of the work, thereby leaving room for empathy. My emo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characters are sublimated into the various emotions of the audience, resulting in a new emotional interpretation. My work is mainly composed of character expressions, among which there are many expressions of enlarged faces. The Oriental figure paintings were recognized as great works only when they did not only express the outward portrayal of the person but also the inner mental portrayal. The mental expression of the figure is embodied by various elements of the face, among which the eye is regarded as the core of the mental expression. The gaze of the figure in my painting is deliberately removed for the purpose of portraying my thoughts and attitudes toward death, and the disappearance of gaze also has a unique meaning of silence. The expression of the ambiguous and fuzzy form and color which are manifested in the work is an expression to visualize the emotion of futility. The expression of the sense of futility, though not clearly expressed yet definitely present, is the sadness that has not completely disappeared and also a vitality of life that has not been lost.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logically summarize my emotions expressed in my work. In addition, I will look at the ways of embodying the paintings to express these emotions to develop the artistic creation works in the future.

인생의 의미와 인간 조건 및 인간에게 어울리는 현존의 가치를 중요한 문제로 다루는 것이 예술의 목적이자 내용이라고 아르놀트 하우저는 말한다. 예술가의 작업이 개인적 사건에 의한 내...

인생의 의미와 인간 조건 및 인간에게 어울리는 현존의 가치를 중요한 문제로 다루는 것이 예술의 목적이자 내용이라고 아르놀트 하우저는 말한다. 예술가의 작업이 개인적 사건에 의한 내적인 감정의 촉발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하더라도 예술의 매체로 전환되는 순간 작품은 인생의 의미와 인간의 현존의 가치를 이야기하는 보다 철학적인 의미를 가진다. 예술이 담을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 언어화 하기 시작하면 예술이 환기하는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닫아버린다고 생각한다. 예술의 영향력이 어디로 향할지 예술가는 예측할 수도, 통제할 수도 없다. 본 논문에서 본인의 작업이 의미하는 것에 대해서 단정짓고 완벽히 확정 짓지는 않으려고 한다. 그로 인해 작업의 해설이 모호성을 띌 수 있지만 그것 또한 비정형과 우연을 선호하는 본인의 성향이 드러난 것임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태도는 본인이 몇 차례의 장례와 제의 행위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림 속에 표현되어진 대상들은 외조모의 제의에 참석한 본인의 실제 친족들이다. 직접적인 죽음의 상황과 슬픔의 감정이 지나가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와 생활하던 친족들은 외할머니의 기일에 자연스레 다시 모였다. 본인은 그들에게서 시간의 흐름이 만들어 준 자연스러운 감정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죽음이란 상태는 존재하는 이에게 아직 찾아오지 않은, 언제든 찾아올 육체적으로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상태, 나에게서 생명과 의식을 앗아가는 사건, 우울하고 슬프고 두려운 일이다. 죽음이 주변인에게 주는 감정을 그림 속에 표현함에 있어 중요한 것은 그려지는 대상의 감정이 아니라 일련의 사건들로 만들어진 본인의 삶과 죽음에 대한 허무(虛無)의 태도이다. 그림 속 허무의 태도는 죽음과 대조적인 삶의 세속적이고 일상적인 행위들에 의해 표현되는데, 이는 죽음이라는 필연적 과정 앞 인간이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대응이다. 제의는 죽은 이와 산 이의 작별인사를 위한 사회 문화 의례이다. 제의는 사회적이고 종교적인 의식이므로 엄격한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데 본인의 작업 속에서 나타나는 제의는 보다 현대화되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띈다. 본인이 속해있는 가족 사회 속에서 제의가 가지는 연대적 기능은 허무의 감정이 가지는 다소 냉소적인 태도에 긍정적인 힘을 부여한다. 허무의 태도는 또한 특유의 희미한 감성적 표현으로 구현된다. 구현된 인물 표현의 모호성은 작품 감상의 측면에서 관객의 주관적 해석을 유도하여 감정이입의 여지를 남긴다. 인물을 대하는 본인의 감정과 태도는 관객의 다양한 감정으로 승화되어 새로운 감정적 해석을 낳는다. 본인의 작업은 인물 표현이 주를 이루는데 그 중에서도 확대된 얼굴 표현이 다수이다. 동양의 인물화는 인물의 외양적인 묘사 뿐 아니라 내면의 정신적인 묘사까지 이뤄내야 훌륭한 작품으로 인정받았다. 인물화의 정신성 표현은 얼굴의 여러가지 요소로 구현되는데 그 중에서도 눈은 정신성 표현의 핵심으로 치부되었다. 본인 인물화의 시선은 죽음에 대한 본인의 생각과 태도의 묘사를 위하여 의도적으로 제거되었으며 시선의 소멸은 또한 침묵이라는 고유한 의미를 가진다. 작품에 현현되는 모호하고 희미한 형과 색의 표현은 허무의 감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표현이다. 선명하게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분명히 그 곳에 존재하는 허무한 감정의 표현은 완벽하게 사라지지 않은 슬픔이면서 잃지 않은 삶의 활력이기도 하다. 본인은 본 연구를 통해 작품에 표현된 본인의 감정을 논리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그림의 구체화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의 예술창작 활동에 발전을 얻고자 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