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표는 장자의 인간 본성에 관한 관점을 바탕으로 장자 철학의 덕 획득 방식을 ‘인간 본성의 보존’으로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인간 본성과 덕 획득에 관한 두 모델인 ... 본 논문의 목표는 장자의 인간 본성에 관한 관점을 바탕으로 장자 철학의 덕 획득 방식을 ‘인간 본성의 보존’으로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인간 본성과 덕 획득에 관한 두 모델인 ‘발달 모델(development model)’과 ‘발견 모델(discovery model)’를 비교분석하여 장자 철학의 덕 획득 방식을 명료화할 것이다. 발달 모델은 인간 본성을 발달 가능한 능력으로 보며, 이 능력의 발달을 덕의 획득 과정으로 본다. 반면 발견 모델은 인간 본성을 발견 가능한 항구적 성향으로 파악하며, 이런 성향의 발견을 덕의 획득 과정으로 주장한다. 본 논문은 장자 철학의 덕 획득 방식인 인간 본성의 보존을 발견 모델로 주장하며, 이를 증명하기 위해 먼저, 발달 모델의 덕 획득 과정을 ‘본성(발달 가능한 기본적 능력) → 수양(본성의 양육·성장) → 덕 획득(특정 행동 및 자질의 결과)’ 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 다음 발견 모델의 인간 본성의 특징인 1) 항구적 성향 2) 숨겨진 상태를 장자 외편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1) 발견 모델의 항구적 성향은 장자의 상성(常性)에 해당하며 이는 인간의 타고난 자연적 성향을 의미하며, 2) 발견 모델의 숨겨진 상태는 장자 철학에서 사회·문화적 체계에 의해 숨겨진 본성에 해당함을 밝힐 것이다. 결론적으로 발견 모델의 덕 획득 과정은 ‘본성(발견 가능한 항구적 성향) → 수양(본성 방해물 제거) → 덕 획득(진정한 본성 보존)’으로 정리할 것이다. 또한, 앞서 분석한 인간 본성의 보존을 통한 장자 철학의 덕 획득 방식은 내편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장자 내편은 장자 본인의 저작으로 인정되고 장자 철학에서 중요한 철학적 위치를 차지한다. 그러므로 발견 모델의 관점으로 내편을 해석하여 내편과 외편을 포괄하는 덕 획득 방식을 해명하기 위해 1) 인간의 타고난 본성 보존 2) 인간 본성을 숨기는 방해요소 비판 부분을 내편에서 덕과 직접 관련한 부분으로 한정하여 검토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1) 인간의 타고난 본성 보존 방식은 ‘재전(才全)’과 ‘진(眞)’에 해당함을 분석할 것이며, 2) 인간 본성 보존을 방해를 암시하는 ‘유가적 덕(德)’,‘명(名)과 지(知)’관한 분석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