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신념모델에 따른 치매 선별검사 시행 관련 요인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서울시 일부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 선별검사 시행 관련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건강신념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 일부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 선별검사 시행 관련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건강신념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일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노인 인구를 임의 표출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일대일 면담 방식으로 시행하였고, 총 121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한 자료에는 일반적 특성, 치매 관련 지식, 치매 선별검사 건강신념 및 자기효능감, 치매 선별검사 시행 관련 행동의 계기가 포함되었다. 치매 관련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조현오(1999)가 개발한 치매 지식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치매 선별검사 건강신념 및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Galvin 등(2006)이 개발한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카이제곱검정, t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61.2%, 평균 연령 77.26(±6.30)세 였고, 치매 선별검사 시행군 58.7%, 미시행군 41.3%이었다. 성별은 시행군의 경우 여자가 74.6%로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고 미시행군의 경우 남자가 58.0%로 여성보다 비율이 높았다(p<.001). 치매 선별검사 미시행군의 음주율이 시행군보다 높았으며(p<.05), 흡연율 또한 미시행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p<.01).
2. 대상자의 치매 관련 지식 정도는 전체 평균 9.29±2.81점(점수 범위 0-16점)으로 나타났으며 치매 선별검사 시행군 9.77±2.76점, 미시행군 8.60±2.75점으로 시행군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3. 치매 선별검사 건강신념은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의 경우 시행군과 미시행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치매 선별검사 자기효능감은 시행군에서 27.97±4.14점, 미시행군에서는 24.64±5.51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4. 행동의 계기는 주변에 치매 선별검사를 시행한 가족 또는 친구의 유무에서 시행군의 42.3%, 미시행군의 18.0%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5. 치매 선별검사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주변에 치매 선별검사를 시행한 가족이나 친구의 유무, 치매 선별검사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치매 선별검사를 시행할 확률이 높았고(OR=4.922, p<.01), 치매 선별검사를 시행한 가족이나 친구가 있는 경우에 높았으며(OR=4.599, p<.01),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검사 시행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OR=2.850, p<.01).
이상의 연구 결과는 노인의 치매 선별검사 시행율을 높이기 위하여 가족 또는 친구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접근과 치매 선별검사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교육 및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치매 선별검사 시행 영향 요인을 파악한 주요 결과를 통해, 향후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 선별검사 시행율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프로그램 구축과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dementia screening test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To obtain the data needed for this study, a convenient sample of the adults aged from 65 and older residing in the community w...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dementia screening test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To obtain the data needed for this study, a convenient sample of the adults aged from 65 and older residing in the community was sele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assessing knowledge of dementia,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cue to action for dementia screening. Study participants were 156 older adults and data from 121 of them was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χ2)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77 years old, and 58.7% of them received dementia screening test. Bivariate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associations of a dementia screening test with gender(p<.001), alcohol drinking(p<.05), and smoking(p<.01).
2. The average score of dementia knowledge among participants was 9.29±2.81 points(score range 0-16 points). The score of the knowledge among participants who received dementia screening test was 9.77±2.76 points, while the score of those who did not receive dementia screening test was 8.60±2.75 points,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p<.05).
3. Dementia screening health beliefs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oweve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on dementia screen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p<.001). The self-efficacy was 27.97±4.14 points in those who received screening test, and 24.64±5.51 points in those who did not received screening test.
4. In terms of the cue to action,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considering there was a presence of family or friends who underwent dementia screening test(p<.01).
5.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dementia screening test were found to be gender, self-efficacy on dementia screening, and the presence of family or friends who underwent dementia screening test. Older adults who were female(OR=4.922, p<.01), had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on dementia screening(OR=2.850, p<.01), and had family members or friends underwent dementia screening test(OR=4.599, p<.01) were more likely to receive dementia screening test.
This study shows that education and program enhancing the self-efficacy on dementia screening test and utilizing the network of family or friends are necessary to increase the rate of dementia screening test.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