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현대 공연예술에서 <춘향전> 모티브가 어떻게 변용되어 생성되고 수용되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연예술에 나타난 <춘향... 이 연구는 현대 공연예술에서 <춘향전> 모티브가 어떻게 변용되어 생성되고 수용되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연예술에 나타난 <춘향전> 모티브의 현대적 변용양상을 살펴보고, 특히 현대 무용극에 나타난 <춘향전> 모티브 극적 변용 및 표현기법양상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예술에서의 <춘향전> 모티브의 현대적 변용 양상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여성주의적 측면, 수용자 측면, 창작자 측면으로 구분된다. 먼저, 여성주의적 측면은 <춘향전>의 정절과 열녀의 모티브, 신분타파 모티브, 고난극복 모티브를 변용하였다. 그리고 창작 작품에서는 해석을 중요시 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인물을 투입시키는 양상이 나타나며, 창작자 측면에서의 변용은 표현 기법을 달리하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둘째, 현대 무용극에서의 <춘향전> 모티브 극적 변용 및 표현기법 양상이다. 구체적으로 국립무용단 <춤, 춘향>, 정동극장의 <미소-춘향연가>, 춤다솜 무용단의 <Kiss the 춘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춘향전> 작품의 일부 모티브에 집중한 대표적인 작품은 국립무용단의 <춤, 춘향>과 정동극장의 <미소-춘향연가> 이다. 국립무용단의 <춤, 춘향>은 <춘향전> 모티브 중에서도 정절과 열녀로서의 표상 모티브에 집중하고, 이를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시련과 고난의 장면을 더욱 심화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고난과 역경을 극복한 결과, 권선징악 모티브의 강화로 극적 긴장감이 해소된다. 정동극장의 <미소-춘향연가>는 춘향의 세계화를 목표로 삼은 만큼 영원한 보편성의 상징인 ‘낭만적 사랑(Romantic Love)’의 모티브와 신분타파와 해방의 모티브를 통해 관객들에게 한국의 전통적이며 민중의 시대성을 가진 한국판 러브스토리의 감성을 표현해 공감을 이끌어 냈다. 반면, <Kiss the 춘향>은 앞의 두 작품이 여성주의적 모티브로 <춘향전>을 재해석 한 것과 달리, 수용자과 창작자측면에서 <춘향전>을 재해석하고 대중화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 작품의 중심인물을 방자와 이방을 합친 캐릭터인 방이로 전환시키고, 배경적 요소와 분위기를 현대적 시공간과 지속적으로 교차시킨 표현에서 이러한 양상은 두드러진다. 앞의 두 작품과 달리 과거와 현재의 몽룡과 춘향, 변학도로 양분하여 시공간을 교차시키면서도 과거와 현재에도 변함없이 이루어지는 낭만적 사랑의 모티브를 통해 낭만적이지만 숭고한 사랑의 모티브와 함께 모든 것이 돈으로 대변되는 현 사회를 리얼하게 풍자하고, 고난극복의 모티브와 권선징악의 모티브를 최상으로 끌어내어 관객들과 함께 호흡하였다. 이렇게 <춘향전>은 다양한 장르를 통해 파생되어 대중과 호흡하여 고전으로 영속성을 유지하였다. 이는 고전 텍스트와 수용자의 다양한 해석을 통해 현대적 의미를 확보하며 한국문화의 원형의 지키는 데서 비롯된 면모이다. 전통은 역사의 유동적 흐름과 함께 열린 공간 속에서 전형성을 확보하여 진보하며 역사적 의미를 재창조한다. 그렇기에 전통의 과거의 답습이 아닌 동시대성을 확보할 때 진정한 의미의 예술작품이 탄생할 것이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