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in the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and narrative writing -With Two Creative Works Including The Florida- This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and literary internalization through narra... ABSTRACT A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in the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and narrative writing -With Two Creative Works Including The Florida- This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and literary internalization through narratives and characters in the author's novel <Florida> by studying how the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is important in contemporary novels. This study focuses on the function of story as an essential property of novel and interpre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arrative of modern novel and the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by taking my novel as an example. As a way of defining 'narrative' and 'internalization' that can tell the story of the novel which is the root of the novel, you can use jeonsangguk’s 'You can write a novel', Kimyongseong’s ‘ Contemporary fictional techniques’, George Lukaci's "Theory of Novels," and other s, and how to define the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and how to acquire it. In my two novels, Florida, where I have attached texts, I have been discuss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multiple speakers and utilizing various stories to bring about the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while the other, Through the story of one central figure and psychological changes, we examine whether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is achieved. Also, if my inner workings were made through my sleepiness, I will als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Florida>, where the multiplexer appeared, and <Wednesday>, which introduced the first-person observer viewpoint speaker. In my work, Florida, about 20 speakers appear, each giving a story to each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how they are linked to each other, and how connected stories build a world Check to see if this story alone can be faithful to a novel function.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author 's work <Wednesday>, the diversity of approach to the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through the gaze as one observer of the central character and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 s subtle situation change or psychological change on the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And, if s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novels centering on narrative - centered creativity and novels focused on individual changes. The way in which the narratives narrated by the two creative works are realized in a novel, a genre of literature, and the way in which they lead the story through the appearance of various characters, and how they lead to the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I would also like to reflect on whether the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fictional attributes of a story are combined with the characters in the story to form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and whether this review can be called literary internalization. Key words: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narrative, central character, birth of novel, novel character, space in novel, viewpoint, narrative sentence.
국문요약 본 논문은 현대 소설에 있어서 중요시 되고 있는 문학의 내면화 게오르크 루카치는 그의 저서 ‘소설의 이론’ 중에서 ‘소설의 내적범위’를 설명하며 ‘소설은 처음과 끝 사... 국문요약 본 논문은 현대 소설에 있어서 중요시 되고 있는 문학의 내면화 게오르크 루카치는 그의 저서 ‘소설의 이론’ 중에서 ‘소설의 내적범위’를 설명하며 ‘소설은 처음과 끝 사이에 자신의 총체성의 본질적인 것을 포함한다. 소설은 그럼으로써 한 개인을, 그의 체험을 통해 하나의 전체적 세계를 창조해야 하고 또 그렇게 창조된 세계의 균형을 잡아야 하는 인간을 무한한 높이로 고양시킨다.’고 말했다. 이 글이 곧 문학적 내면화를 설명한 글이라 생각한다. 게오르크 루카치, 소설의 이론, 김경식 옮김, 문예출판사, 2014, p 95 를 어떤 방식으로 이끌어 낼 것인가에 대한 연구로 필자의 창작품 『플로리다』외 1편에 등장하는 서사 ‘서사는 일차적인 의미로 ‘사건의 서술’을 뜻한다. 서사의 형식은 다양하고 그것이 의존하는 매체 역시 그러하다. 즉 서사의 종류는 소설, 서사시, 극, 신화, 전설, 역사 등의 언어적 서사물뿐만 아니라 영화, 연극, 발레, 오페라 등의 비언어적 서사도 아울러 포괄한다. 그러나 이 말의 관례화된 용법은 언어 매체에 의존하는 심미적 서사-곧 문학적 서사에 국한다.’ 소설학 사전, 한용환, 푸른사상, 2016, p 258 와 인물들을 통해 서사와 문학의 내면화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소설에 있어서 내면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들은 다양하고 정해진 틀이 있다고 볼 수 없지만 필자의 소설에서는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는 속성인 이야기로서의 기능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필자의 소설을 예로 들어 현대 소설의 인물과 공간이 문학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문학의 내면화로의 상관관계를 해석해보도록 한 것이다. 소설의 근본인 이야기를 달리 말할 수 있는 ‘서사’와 ‘내면화’를 정의 내리는 방법으로는 전상국의 『당신도 소설을 쓸 수 있다』, 김용성의 『현대소설작법』, 한용환의 『소설학 사전』, 게오르크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 외에 여러 논문 등을 활용하였으며 문학의 내면화를 어떻게 정의 내려야 하는지, 또한 어떻게 획득해 나가야 하는 지 등에 대해서도 이들 서적들을 통해 연구해 본다. 텍스트로 첨부한 필자의 창작품은 모두 두 편으로 중편소설인 <플로리다>에서는 다중의 화자들을 등장시켜 다양한 이야기를 활용해도 문학의 내면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시키며 다른 한편인 『웬즈데이』를 통해서는 한 명의 중심인물의 이야기와 심리적 변화 등을 통해 문학의 내면화가 이루어지는가를 점검한다. 또한 필자의 졸고를 통해 내면화가 이루어졌다면 다중화자를 등장시킨 『플로리다』와 1인칭 관찰자 시점 화자를 등장시킨 『웬즈데이』와 어떤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서도 점검해본다. 필자의 창작품인 『플로리다』에서는 20여명의 화자가 등장을 하는데, 소설 속의 인물들 각자에게 각각의 이야기를 부여해 이 이야기들이 어떤 방식으로 서로에게 연결이 되며, 연결된 이야기들이 어떤 세계를 구축하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해 이 이야기만으로도 소설적 기능에 충실할 수 있는가를 확인해 본다. 반면 필자의 창작품 『웬즈데이』를 통해서는 한 명의 중심인물의 관찰자로서의 시선을 통해 문학의 내면화로 다가가는 방법의 다양성과 이야기로서의 서사보다는 인물의 미세한 상황 변화나 심리 변화를 통해 문학의 내면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만약 영향을 미쳤다면 서사성 중심의 창작품과 한 개인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 소설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찰해보도록 한다. 두 편의 창작품이 말하고 있는 서사가 과연 문학의 한 장르인 소설에서 어떤 식으로 구현됐으며 다양한 인물의 등장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방식과 한 인물을 중심으로 이끌어 나가는 방식으로 문학의 내면화를 이루는 데에 어떤 방식을 통해 접근했는지에 대해서도 성찰해본다. 본 논문은 이야기의 소설적 속성이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개방된 공간 혹은 닫힌 공간과 결합하여 문학의 내면화를 이루는 방식들에 대한 고찰과 이 고찰이 과연 문학의 내면화라 말할 수 있는 지에 대해 고찰해 본 연구라 할 수 있다. 주요어 : 문학의 내면화, 서사, 중심인물, 소설의 탄생, 소설의 인물, 소설에서의 공간, 시점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