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RS를 활용한 DMZ일원 민북지역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원격탐사(RS)를 이용하여 민북지역의 효율적인 산림관리를 위한 토지피복 모니터링과 분포특성 및 발생요인 파악, 미래의 산림변화 예측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원격탐사(RS)를 이용하여 민북지역의 효율적인 산림관리를 위한 토지피복 모니터링과 분포특성 및 발생요인 파악, 미래의 산림변화 예측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계열(2004년, 2010년, 2016년)의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하여 민북지역 토지피복의 시·공간정보의 구축 및 변화탐지를 실시하였으며, 경관지수를 이용한 토지피복의 구조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핫스팟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산림의 변화지에 대한 분포패턴 및 발생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하여 미래의 산림변화를 예측하였다. 민북지역의 토지피복 분석결과, 농업지역과 산림지역, 나지는 시계열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시가화건조지와 초지는 증가하였다. 또한, 수역을 제외한 모든 토지피복은 경계부에서 변화가 높았다. 권역별 분석결과, 서부해안과 중부내륙지역은 농업지역의 비율이 높고, 도시화의 영향을 받아 토지피복의 변화가 높았으며, 동부해안 및 산악지역은 군 전술도로 주변의 산림훼손이 높았다. 경관지수를 이용한 분석결과, 산림지역과 농업지역은 지속적인 파편화가 진행되었으며, 시가화건조지와 초지는 새로운 패치가 지속적으로 생성되었다. 나지는 패치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경계가 명확하고 단순한 형태로 변화하였다. 산림변화지의 분석결과, 산림지역의 변화 핫스팟은 마을이나 농업활동(논과 밭)의 분포가 높은 강화군, 김포시, 파주시, 연천군, 철원군에서 발생분포가 높았다. 산림지역의 변화는 농업활동 및 개발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 발생분포가 높았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산림지역의 변화요인 분석결과, 산림지역 변화에 영향을 주는 간접요인으로는 접근성요인, 지형적요인, 사회·문화적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높았으며, 직접요인은 접근성요인 중 건물과 도로 접근성이 산림지역의 변화에 영향력이 높았다. 산림감소면적의 예측결과, 건물기준의 SRW는 실제산림감소면적과 일치도가 가장 높았으며, Chi-Square 검정결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건물기준의 SRW는 거리별 산림감소면적의 재현성 및 미래의 산림면적 변화를 예측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방법은 GIS와 RS정보를 이용한 민북지역에 대한 토지피복에 대한 현황파악과 변화의 예측이 가능하였으며, 민북지역의 산림경영계획 및 정책수립을 위하여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onitor land cover, examin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changes in land cover, and predict future forest changes for effective forest management at the northern area of the civilian control li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onitor land cover, examin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changes in land cover, and predict future forest changes for effective forest management at the northern area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of DMZ, by using GIS and RS. It was established temporal and spatial information of the land cover at the northern area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of DMZ and detected changes within those area by using remotely sensed data, and also quantitatively evaluated structural changes in the land cover by using landscape indices, during three periods: 2004, 2010 and 2016. In addition, an distribution patterns and factors related to changes in forest areas was examined by using the hotspot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future changes in forest area were predicted by using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Land covers at the northern area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of DMZ showed that cropland, forest and bareland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ime series, while settlements, and grassland were increased. In addition, all land covers except for water were highly changed at boundaries. By regions, the ratio of cropland was high and the land cover was distinctly changed due to urbanization in west coastal areas and central inland, while forests around military roads were largely damaged in east coastal areas and mountainous areas. Landscape indices showed that forest and cropland have been continuously fragmented, and new patches for settlements and grassland were incessantly increased. As the sizes of patches have been increased, the bareland was shaped into simple forms with definite boundaries. The hotspot in forest area often occurred at Ganghwa-gun, Kimpo-si, Paju-si, Yeoncheon-gun and Cheolwon-gun, where villages or agricultural lands (fields and paddy fields) were intensively distributed. Changes in forest were high at areas in which agricultural and developmental activities were actively promoted. Indirect factors that affected the changes in forest were accessibility, topography and socio-cultural factors in order, while direct factors were accessibility from buildings and roads. An estimation of reduced forest area showed that the SRW of building criterion most highly corresponded to actual reduced forest area, and the results of Chi-Square test were the best. Thus, using the SRW of building criterion, it would be possible to estimate reduced forest area by distance and forest area in the near futur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