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자도 공동체 의례의 전승기반과 특성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 논문은 추자도 공동체 의례의 연행 양상을 면밀하게 기록하였다. 또한 전승 현황, 공동체 의례에 담긴 주민들의 의식과 주변 환경에 대한 적응 양상 등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추자...

이 논문은 추자도 공동체 의례의 연행 양상을 면밀하게 기록하였다. 또한 전승 현황, 공동체 의례에 담긴 주민들의 의식과 주변 환경에 대한 적응 양상 등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추자도의 도서성과 공동체 의례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재 의례의 연행 양상을 기록한 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에, 현장조사와 현지조사를 통해 파악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연행과 변화 양상을 치밀하게 기록했다. 그리고 각 마을별로 연행되는 공동체 의례는 성격별로 구분하였다. 추자도 공동체 의례는 17ㆍ18세기에 전남 내륙에서 이주한 사람들에 의해 새롭게 창출되고 전승된 민속이다. 이 의례는 추자도의 주민들이 내외적 환경에 적응하면서 함께 지속되고 변화하였는데,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내외적 환경을 인문ㆍ생태 환경 및 생업 활동의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인문환경은 사람이 만들어낸 환경, 시설, 문화, 산업 등을 의미한다. 추자도의 인문환경은 한 마을에 편중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이 때문에 마을 간의 갈등과 인구 편중 등이 야기되었다. 이로 인해 공동체 의례가 지속되거나 단절되기도 한다. 생태환경은 주민들이 생업을 영위하는 공간으로서 바다가 그 대상이다. 추자도의 바다는 변화가 심하여 잦은 해난 사고가 발생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주민들은 바다를 ‘생업을 영위하는 공간’과 ‘죽음이 도사리고 있는 공간’으로 인식한다. 이것이 공동체 의례가 전승될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환경적 요소 외에 생업 활동과 관련하여서도 공동체 의례는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생업 활동의 변화에 따라 제일이 변화하고 신격이 바뀌는 등 공동체 의례의 변모가 보이는 대서리의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추자도의 공동체 의례는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적응 양상에 따라 함께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 변화 양상을 총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먼저 추자도에서 모셔지고 있는 인물신인 최영 장군과 처녀신의 수용과 신격의 변화 양상이다. 이들의 변화 양상은 환경의 변화에 대한 주민들의 탄력적인 대응과 역동성을 보여주는 현상으로서 추자도의 도서성임을 밝혔다. 둘째, ‘고기부르기’와 ‘헌석제’가 가지는 추자도만의 독특한 의례의 성격을 각각 살핀 결과, 이들 의례에서 주민들의 바다에 대한 관념이 표출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셋째, 추자도 공동체 의례는 경제적 변화에 따라 함께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를 산신제와 해신제의 단절, 대서리와 영흥리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넷째, 추자도에서 연행되는 ‘참굴비 대축제’에 풍어제와 용왕제 그리고 해신제가 편입되어 연행되는 모습과 각 마을에서 관광 산업의 일환으로 당(堂)을 관광자원화하여 경제적 활로를 찾는 모습을 통해, 공동체 의례의 종교적 기능은 약화되고 사회적 기능이 강화되고 있으며, 축제와의 연계를 통해 외연이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예초리에서 연행되는 해녀고사는 죽음의 공포로부터 공동체를 지키고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창출된 의례이다. 또한 여성 주체의 의례가 전무한 추자도에서 최초로 창출된 여성 중심의 의례라는 점에서 환경의 변화와 공동체의 요구에 탄력적인 대응을 하는 추자도의 도서성을 재확인할 수 있는 문화 현상임을 밝혔다.

This study carefully records the practices of the Chuja-do community ritual. In addition, we examined the status of tradition, the consciousness of the residents in the community ritual and the adaptation pattern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

This study carefully records the practices of the Chuja-do community ritual. In addition, we examined the status of tradition, the consciousness of the residents in the community ritual and the adaptation pattern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rough this, this study is to clarify characteristics of island character and community ritual. Since there is very little data on the current practices of ritual, we have carefully documented patterns of implementation and change based on data obtained from field surveys and location surveys. And community rituals conducted by each village were classified by characteristics. The Chuja-do community ritual is a folklore newly created and handed down by people who emigrated from Chonnam inland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is ritual was continued and changed with the people of Chuja-do adapting to the inner and outer environment. In order to analyze this, the inner and outer environment was examined in three aspects of humanity, ecology environment and business activity. The human environment means the environment, facilities, culture, and industry created by man. The human environment of Chuja-do shows a tendency to be prevalent in specific one village, which has led to conflicts in the villages and a bias in population. This may cause community rituals to persist or be disconnected. The ecological environment is the space where residents live their lives and the sea is the object. The sea of Chuja-do is subject to frequent changes in the marine accidents. Inhabitants living in such an environment recognize the sea as a space for 'living' and 'a space of death'. This served as a basis for community rituals to be handed down. In addition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community rituals also show changes in relation to business activities.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ase of 'Daeseo-Ri' where the transformation of the ritual of communities such as change of the date of the memorial day and change of the deit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business activity. The community ritual of Chuja-do shows a characteristic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adapt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change of environment. The change patterns are summarized in five. First, it is a change in the acceptance and the deity of the person-god General Choi Young and the virgin god who are being taken in Chuja-do. These changes show the resilience and dynamics of the residents'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which was proved to be the island characteristics of Chuja-do.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 of Chuja-do's unique ritual of 'calling fish' and 'heonsukje', it is confirmed that the idea of the sea created by the residents adapting to the island is expressed in these rituals. Third, Chuja-do community rituals are changing with economic change. This is analyzed through the disconnection of the Sanshinje and Haesinje, and the cases of 'Daeseo-Ri' and 'Yeongheung-Ri'. Fourth, through the status that 'Yongwangje' and Haesinje are incorporated in the "Chamgulbi Great Festivals" carried out in Chuja-do and finding a economic way to make '堂(Dang)' tourism resources as part of the tourism industry, it can be known that function of community rituals is weakened and social functions are strengthened, and it is found that the outreach is expanding through connection with festivals. Fifth, the 'Haenyeo Gosa' is a ritual created as a means to protect and maintain the community from the fear of death. It is also a cultural phenomenon that can reaffirm the character of Chuja-do, which is a resilient respons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the demands of the community, as it is the women-centered ritual, which was first created in Chuja-do.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