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아파트 단지 중심의 고층화, 고밀도의 개발이 지속되었다. 주거 유형이 아파트로 획일화 되어감에 따라 주거단...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아파트 단지 중심의 고층화, 고밀도의 개발이 지속되었다. 주거 유형이 아파트로 획일화 되어감에 따라 주거단지 내에서는 개인주의가 심해졌고 커뮤니티가 단절되고. 고립화가 진행되는 등 주거환경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지 내 주민들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 기반시설은 부족한 실정이다. 커뮤니티의 필요성은 여러 사람들에 의해 논의되어 왔음에도, 실제 거주하는 거주자들 간의 공동체 형성은 되지 않았으며, 점차 감소하였다. 기존의 방식에서는 지역문화발전과 공동체의식 함양을 목적으로 문화센터, 주민센터와 같은 공공성을 가진 기반시설,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만드는 시도가 많았으나, 이는 관공서의 부속시설일 뿐이었다. 주민들이 중심이 되지 못했던 시도들은 주거환경문제를 해소하기에 역부족이었다. 서울시에서는 재개발 방식 중 전면철거방식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기존의 방식을 지양하면서, 저층주거지 보전관리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저층주거지 보전관리사업은 원주민의 보호와 주민 간 커뮤니티생성, 유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노력도 적지 않다. 저층주거지 밀집지역에서는 기반시설과 공유공간을 확충하여 점진적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주거와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마을공동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주민이 중심이 되는 커뮤니티로서, 주거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남현동 예술인마을은 앞에서 설명한 지역 중 한곳이다. 1971년 서울시와 예술인단체가 예술인아파트 단지를 조성하면서 남현동 일대는 예술인 마을로 불리기 시작했다. 30년을 넘긴 이 시민아파트는 노후로 인한 위험시설물로 지정되어 2003년에 철거되었다. 남현동 예술인마을은 이름만 남게 되었고 그 흔적은 마을 내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최근 몇몇 예술인들이 돌아와 창작 활동을 시작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커뮤니티 공간의 형성과 마을공동체의 활성화는 주거환경문제의 해결, 임대료 상승에 의해 밀려나는 예술인들의 문제 해결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거점으로서의 문화예술창작소를 계획하여 지역주민과 예술인의 소통을 통해 마을공동체를 회복하는데 있다. 지역주민은 일상생활 속에서 예술을 향유할 수 있고 예술가는 보다 나은 창작 여건을 가지게 되며 예술을 교류할 수 있다. 유휴공간이 되어버린 장소에 예술가와 지역주민이 함께 공유하는 문화시설을 계획하여 주거환경의 개선과 마을공동체 회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