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준제 태평무의 계승·발전에 관한 연구 : 한영숙류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master's dissertation is to seek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background of creation and the aspect of succession of Tae-Pyeong-Mu(especially Han, Young-Suk type) which...

This master's dissertation is to seek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background of creation and the aspect of succession of Tae-Pyeong-Mu(especially Han, Young-Suk type) which is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s. It is originated by Han, Seong-Jun in 1930s, passing through the era of Han, Young-Suk, and handing down to the group of her disciples. I tried to review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ver time. There are two categories in Korean traditional dance: One is traditional dance and the other is creative dance. In particular,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dance is significant. Since it expresses Korean emotion and beauty, i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s that underlie in the shapes and forms to preserve and develop cultural heritages. Tae-Pyeong-Mu, which is becoming more sophisticated, passed down over 80 years after its first appearance in 1930s. I consider that Tae-Pyeong-Mu is a very useful object of study in terms of seeking direction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o briefly explain the course of study, I tried to find the changes up until Han, Young-Suk typed Tae-Pyeong-Mu's course of formation and succession over time after searching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its succession. Through the review of lifetime of Han, Seong-Jun, the fouder of Tae-Pyeong-Mu(a duet dance), and reality of the time, I realized his philosophy for dance. In other hand, I searched the lifetime and a viewpoint of art of Han, Young-Suk, granddaughter of Han, Seong-Jun, who established Tae-Pyeong-Mu as a solo dance and compared her with Tae-Pyeong-Mu of Kang, Sun-Young, a disciple of Han, Seong-Jun. Based on that, I respective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two schools of Tae-Pyeong-Mu.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mission aspect of Tae-Pyeong-Mu which is ongoing in the group of disciples of Han, Young-Suk, I made full use of the literatures and had a face-to-face talk. I tried to figure out the way to develop Korean traditional dance in a right direc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I could see that the artistic and aesthetic value of Tae-Pyeong-Mu(Han, Young-Suk style) has been developed as it handed down from Han, Seong-Jun to Han, Young-Suk, and to the group of her disciples. As time passes by, each transmitter revised and developed Tae-Pyeong-Mu with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 while maintaining its unique characteristic. There is a concept called an original form(through simplification of clothes) which comprises of core elements of Tae-Pyeong-Mu. For the case of Park, Jae-Hee and Jeong, Seung-Hee among disciples, They have developed Tae-Pyeong-Mu in a sophisticated way, reshaping clothes, music, and dance. For Jeong, Jae-Man's case, he tried to restore Han, Seong-Jun's Tae-Pyeong-Mu rather than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 Young-Suk's Tae-Pyeong-Mu, taking good advantage of his gender. There is a new concept called a revised form which is first mentioned in the act of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Based on the concept introduced above, This has brought me an opportunity to think which category should be considered as more flexible than the original form. In short, Han, Seong-Jun's Tae-Pyeong-Mu is passed down to Han, Young-Suk and Kang, Sun-Young, handing down to their disciples. Through the course of genealogy formation, Korean traditional dance should not be understood only in the view of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By examining the detailed aspect of change of transmitted dance, We could understand what the characteristics to each element are and extract how actually the change has been made. I made the conclusion that the in-depth study above would help Korean traditional dance to be developed and transmitted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본 논문은 한국 전통무용 중의 하나인 태평무(특히 한영숙류)의 생성 배경 및 전승 양상의 고찰을 통하여 전통무용의 계승·발전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1930년대 한성준...

본 논문은 한국 전통무용 중의 하나인 태평무(특히 한영숙류)의 생성 배경 및 전승 양상의 고찰을 통하여 전통무용의 계승·발전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1930년대 한성준에 의해 형성된 후 한영숙을 거쳐 현재 그 제자 세대로 맥이 이어지고 있는 한영숙류 태평무에 대해 시대적 흐름을 좇아서 생성 배경 및 특징 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무용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전통무용과 창작무용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한국무용의 분류 중에 특히 전통무용의 계승발전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전통무용이 한국적 정서와 미의식을 표현하는 기반적 역할을 하는 것이기에 전통 문화유산의 보존과 발전이라는 차원에서 그 형태나 형식의 기저에 깔려있는 본질 및 특성을 유지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그것을 더욱 계승·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전통무용 중에 특히 태평무는 1930년대에 모습을 드러내어 80여 년이라는 세월동안 전승되어 오는 가운데, 춤이 더 세련되어지고 예술적으로 발전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춤이기에, 본 연구자는 전통무용 계승·발전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어 태평무(특히 한영숙류)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되었다. 간략하게 그 연구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전통무용의 의의와 전통무용의 계승이 가지는 의미에 관해 살펴보고, 다음에는 본 연구의 주대상인 한영숙류 태평무의 생성 및 전승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즉 태평무(2인무의 형식)를 창안한 한성준의 생애와 당대의 시대적 현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그가 추구하였던 무용철학을 인식하는 한편, 한성준의 2인무 형식의 태평무를 홀춤(1인무)으로 확립시킨 그의 손녀 한영숙의 생애와 예술세계를 살펴본 다음, 같은 한성준의 제자인 강선영의 태평무와의 비교를 통해서 두 유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현재 한영숙의 제자 세대에서 진행되고 있는 태평무의 전승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 혹은 직접 대면을 통하여 그들의 태평무를 살펴본 후, 그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가 전통무용의 계승·발전을 위해서 시사 받을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있다면 어떠한 것인지를 추출해 보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진행한 결과 한성준에서 한영숙으로, 또 그 제자 세대로 이어지는 한영숙류 태평무는 각 전승자가 한성준제 태평무의 고유한 본질적 특징은 그대로 유지하는 가운데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자기의 개성을 살려 새롭게 다듬어 감으로써 태평무에 대한 미학적, 예술적 가치가 점점 더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한영숙류 태평무의 전승에 있어 태평무의 가치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별 특징(예컨대 복식의 간결화를 꾀하여 원삼과 한삼을 제외시킨 것 등)을 이른바 원형이라고 지칭한다면, 제자 세대 중 박재희와 정승희의 태평무는 한영숙 태평무의 문화적 원형을 유지하는 가운데 복식과 음악, 춤사위 등을 더욱 가다듬어 예술적인 세련화를 통해 발전시키려고 하였고, 정재만의 경우는 남성이라는 이점을 살려 한영숙류 태평무의 핵심 요소별 특징을 유지하려고 하기보다 오히려 그 이전에 있던 한성준의 태평무를 복원하려는 방향으로 진전시키려고 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무형문화재의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서 새로 도입된 ‘전형’이라는 개념을 기준으로 할 때, 어느 범주까지 종전의 원형 개념보다 탄력적으로 적용되는 전형성에 합치된다고 볼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심도있게 고민해 보는 계기가 주어졌다고 생각한다. 한마디로 축약하면 한성준제의 태평무는 한성준에서 한영숙과 강선영으로, 그리고 그 제자 세대로 이어지고 있는 이른바 계보 형성과정을 통해서 단순히 전통무용의 보존 및 전승이라는 시각으로만 이해할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전승된 춤의 구체적인 변모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그 춤의 가치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별 특징이 무엇이고, 그것이 실제로 어떻게 변모되었는가를 추출하는 것이 우리나라 전통무용의 진정한 의미의 계승·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