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gery consent form is a document that provides the patient with overall information on the surgical treatment involved and shows he or she is giving an informed consent based on such information. This document is of importance especially from a le... A surgery consent form is a document that provides the patient with overall information on the surgical treatment involved and shows he or she is giving an informed consent based on such information. This document is of importance especially from a legal point of view, as it can be used as evidence in court in case the surgery is not successful. It can also prevent a potential medical dispute. Thus, translating a surgery consent form into another language requires a method befit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er of the treatment and the purpose of the document. This study analyzes the use of the medical terminology and the textual forms in Korean-into-English translation of surgery consent forms in the light of the genre conventions of the source and target cultures and the skopos theory. Prior to reviewing the concept of genre conventions and the terminology used in a dental profession, it examines some surgery consent forms with the legal and the linguistic issues in view. For textual analysis, this study chooses three sets of texts: the Korean surgery consent forms (ST?/ST?), the English translations of the Korean surgery consent forms (TT?/TT?), and the surgery consent forms originally written in English (ST?). Based on these texts, this centers upon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medical terminology used in the texts and the variations in the formal aspect of the surgery consent forms. Another focus of this analysis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expository section of the consent forms under discussion and the remainder of the document that is designed to obtain an informed consent from the pati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variations between ST?/ST? and TT?/TT?, and between TT?/TT? and ST? in the use of professional terminology, and the textual form and content.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terminology used in ST?/ST? and TT?/TT? has been found to be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the terminology in ST?. Second, unlike the ST?/ST? and TT?/TT? that emphasize the expository aspect of the text by omitting the party who gives the surgical treatment involved and the party who receives it, ST? contained frequently the textual segments that mention the two parties explicitly as the sentential subject before asking for a consent. To target receivers who are used to both the target culture and the target language, and who have no knowledge of the professional terminology, the surgery consent forms may be difficult to understand. For this reason, when a text that belongs to a genre whose conventions are much different in the two cultures involved, the target text needs to be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textual conventions of the target culture, not the source culture.
수술동의서는 수술 전 환자에게 수술과 관련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가 자기결정권을 가지고 선택하여 수술에 동의함을 나타내는 문서로, 의료분쟁 발생의 사전적 예방 차원에서,... 수술동의서는 수술 전 환자에게 수술과 관련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가 자기결정권을 가지고 선택하여 수술에 동의함을 나타내는 문서로, 의료분쟁 발생의 사전적 예방 차원에서, 그리고 발생 사후적 법적 효력의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수술동의서를 다른 언어로 번역할 때는 수신자의 특성과 수술동의서의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치과에서 사용되는 수술동의서의 한영 번역 시 나타난 전문어와 텍스트 형식 양상을 원천문화와 목표 문화의 장르 관습 및 스코포스 이론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 수술동의서의 한영 번역 시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수술동의서가 법적?언어학적으로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원천 문화와 목표 문화의 장르관습, 전문어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번역 시 텍스트의 수신자가 외국인 비전문가 환자로 특정되고 수술동의서라는 특수한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스코포스 이론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한국어 수술동의서(ST?/ST?), 이를 영어로 번역한 수술동의서(TT?/TT?), 그리고 처음부터 영어로 작성된 수술동의서(ST?)의 대조 분석을 통해, ST?/ST?에 사용된 전문어가 TT?/TT?에서는 어느 정도의 난이도로 번역되었는지를 알아보고, ST?에서는 어떤 난이도의 용어가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전문어 난이도의 객관적 파악을 위해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일반인(미국인) 세 명에게 수술동의서에서 추출한 단어의 난이도를 물어 통계를 냈으며, 텍스트 별로 해당 전문어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단어 층위 이상의 텍스트 형식은 수술 내용을 설명하는 설명적 텍스트와 환자의 동의를 구하는 텍스트의 특징을 고려하여 대조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어 사용과 텍스트 형식 및 내용에 있어 ST?/ST?, TT?/TT?와 ST? 간에 차이가 있었다. ST?/ST?와 TT?/TT?에서 사용된 전문어의 난이도가 ST?보다 대체로 더 높은 편이었다. 텍스트 형식에 있어서도 수술을 제공하는 주체와 수술을 받는 주체를 주로 생략함으로써 텍스트의 설명적 측면을 강조하는 ST?/ST?나 TT?/TT?와는 달리, ST?는 수술을 제공하는 주체와 수술을 받는 주체를 자주 주어로 언급하고 동의를 요구하는 텍스트의 비중이 높았다. 수술동의서에 있어 한국과 미국의 장르관습이 뚜렷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고려할 때, 목표문화에 익숙한 목표언어 사용자이며 전문어에 익숙하지 않은 수신대상자들에 있어 그들이 속한 것과 다른 장르관습을 따르거나 전문어를 많이 포함한 텍스트는 아무리 목표언어로 생산되어 있더라도 이해가 어려울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 간 장르 관습이 다른 텍스트를 번역하는 경우, TT는 원천문화권이 아니라 목표문화권의 장르관습을 고려하고 반영할 필요가 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