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무는 오랜 역사 속에서 우리 민족의 사상과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져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인 궁중정재이다. 사악한 것을 쫓고자 하는 벽사와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한 민족의 삶과 정서... 처용무는 오랜 역사 속에서 우리 민족의 사상과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져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인 궁중정재이다. 사악한 것을 쫓고자 하는 벽사와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한 민족의 삶과 정서가 반영된 처용무는 하나의 전통 무용의 기능을 넘어 당대의 문화와 사상을 반영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산물로 전해지고 있다. 처용무는 역사적·연희적·음악적 측면이 결합된 가·무·악 종합예술임에도 불구하고 학교 교육에서는 문학적 측면의 설화와 무용적 측면의 춤, 음악적 측면의 수제천 감상 지도에 치중되고 있어 종합예술로서 처용무의 본질적인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처용무의 전통성과 예술성을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주제를 선정하고 지도내용을 연구하였다. 먼저 처용무의 종합예술적 특성에 의해 ‘처용설화와 처용가’, ‘전통사상과 처용무’, ‘음악과 처용무’의 세 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각 주제별로 지도내용을 연구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주제 중심의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첫 번째 ‘처용설화와 처용가’에서는 ‘문헌 속의 처용설화’, ‘설화 속의 처용가’, ‘『악학궤범』소재 처용가’를 중심으로 지도내용을 연구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처용설화를 통해 신라 말기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고 향가 처용가의 의미와 기능을 파악한 후 설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이 되어 향가의 노랫말을 지어 불러보는 활동을 구성하였다. 두 번째 ‘전통사상과 처용무’에서는 ‘벽사진경과 처용무’, ‘음양오행과 처용무’를 중심으로 지도내용을 연구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벽사진경과 음양오행의 의미와 두 가지의 사상이 구현된 처용무의 춤동작을 익히고 반주음악인 수제천의 피리 가락에 따라 춤사위를 표현해 보는 활동을 구성하였다. 세 번째 ‘음악과 처용무’에서는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처용가’, ‘현행 처용무의 처용가’, ‘처용무의 반주악대’를 중심으로 지도내용을 연구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조선시대의 <기사사연도>와 <이원기로회도> 및 <평양감사환영도>를 통해 처용무의 연행 모습과 반주악대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현행 처용무 반주악대에 사용되는 악기를 살펴본 후, 처용가 ‘신라성대 소성대’의 노랫말을 창작하여 가곡 언락의 장단에 맞추어 불러보는 활동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처용무가 역사·문화적 맥락 안에서 가·무·악 종합예술로서 이해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한 민족의 정서와 삶이 반영된 소중한 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식하고 나아가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보존 및 전승이 이루어지도록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