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학생의 상호문화 감수성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grade, gender, school record, economic level, academic's background of the parents, type of foreign friend, foreign travel experience, access to foreign internet sites, experience of discri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grade, gender, school record, economic level, academic's background of the parents, type of foreign friend, foreign travel experience, access to foreign internet site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desire of emigrating to the foreign country by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fact that "Intercultural Sensitivity" has been translated to Korean language, not being able to imply the exact meaning and to suggest using different Korean words that can deliver the exact meaning for the words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survey of this study is conducted by analyzing 219 students of 427 students who are in K middle school in Seoul. The collected data is processed with frequency distribu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 test by using SPSS win 20.2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ollowing: First, the overall average of frequency distribution was 3.44 out of 5.0. The average of ethnorelative step as 3.97 is higher than the average of ethnocentric step as 2.90. Among six categorie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highest one was Acceptance as 4.18 and followed by Adaptation, Minimization, Integration, Defense, Denial. Second, as the subcategory, gender, grade, access to foreign sites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did not show the difference. Academic's background of the paren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five categories. But it is hard to generalize as subcategory to make difference because of "I don't know" answer. Also the desire of emigrating to the foreign countr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five categories except Defense. Students who have the desire of emigrating to the foreign country tend to have curiosity towards new world, more voluntary motivation and highly challenges. It is natural result that they have higher intercultural sensitivity. School record as subcategory showed critical difference in four categories. Three categories of them included ethnorelative step. Third, in this research, various subcategories in intercultural sensitivity are discussed and proposed that many different intercultural sensitivity measurement tools should be developed to make various intercultural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This study has meaning for being the first analysis on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uggesting the accurate translation of the word "Intercultural Sensitivity".

연구는 Bennett의 상호문화 감수성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중학생의 상호문화 감수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상호문화 감수성의 6개의 하위 범주(부정, 방어, ...

연구는 Bennett의 상호문화 감수성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중학생의 상호문화 감수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상호문화 감수성의 6개의 하위 범주(부정, 방어, 최소화, 수용, 적응,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으로 학년, 성별, 학업성적, 경제적 수준, 부모의 학력, 외국인 친구 유형, 해외 여행 경험, 외국 사이트 접속 여부, 차별 유무, 해외 이주 의향을 선정하여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한 중학생 42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형식의 양적 연구이며 총 219명(중1:71명, 중2:82명, 중3:66명)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20.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하위 변인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 방법은 Scheff'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상호문화 감수성(Intercultural Sensitivity)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평균은 3.44점으로 측정되었다. 자민족 중심 단계(Ethnocentric step)와 민족 상대주의 단계(Ethnorelative step)를 비교해 보면 민족 상대주의 단계의 평균이 3.97점으로 자민족 중심 단계의 평균인 2.90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호문화 감수성의 6개의 하위 범주 중 문화 상대주의 단계의 초기 단계인 수용(Acceptance)단계가 4.18점으로 가장 높았고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보면 적응(Adaptation), 최소화(Minimization), 통합(Integration), 방어(Defense), 부정(Denial) 순이었다. 둘째, 중학생의 상호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배경 변인으로는 성별, 학년, 학업 성적, 경제적 수준, 부모의 학력, 외국인이나 이주민 친구 유형, 외국 여행 경험, 외국 사이트 접속 경험, 차별 유무, 해외 이주 의향으로 제시하였는데, 성별, 학년, 외국 사이트 접속 경험, 차별 유무 변인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부모의 학력 변인이 5개의 하위 범주(부정, 방어, 최소화, 수용, 적응)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하지만 잘 '모름'이라는 답으로 인해 각 하위 범주에서 일정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일반화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보기는 어려운 결과가 나왔다. 또한 해외 이주 희망 여부 변인은 방어단계만 제외하고 5개 하위 범주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해외 이주를 희망하는 학생의 성향이 새로운 세상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새롭고 나와 다른 것에 대한 두려움이 적으며 도전 의식이 강하고 자발적인 동기가 많은 것으로 본다면 그런 성향을 가진 학생일수록 상호문화 감수성이 높은 것은 가능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학생의 성적이라는 배경 변인은 4개의 하위 범주(부정, 수용, 적응, 통합)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민족 상대주의 단계의 3개의 하위 범주 모두에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배경 변인들이 상호문화 감수성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하나된 지구촌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상호문화 감수성을 배양하기 위해 다양한 상호문화 감수성 훈련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 첫 출발점으로 개인별 단계별 세부적인 한국의 상황에 맞는 상호문화 감수성 측정 도구를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Intercultural Sensitivity"라는 용어의 정확한 번역으로 "상호문화 감수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