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과 연계한 자기일과 계획하기 교수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일과 계획하기 및 자기주도활동 수행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Everyone has the right to express what one prefers and to make choices that affect each area of ​​everyday life. Nonetheles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ack an opportunity to practice these abilities, and are living on choi...

Everyone has the right to express what one prefers and to make choices that affect each area of ​​everyday life. Nonetheles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ack an opportunity to practice these abilities, and are living on choices of others rather than on their own choices. Man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attend adulthood with only instructions from the teacher or parent, without knowing how to choose what they like or how to spend free time given to them.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in order to have autonomy and control over their lives. Since self-determination power is generated and developed throughout life,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instructions on how to improve self-determination from childhood. Self-scheduling is one way to develop self-determination. This refers to self-directed Activities by choosing one's preferred daily activities and acting with autonomy.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self activity planning has focused primarily on adolescents and adults and in the case of a small number of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mainly limited to study or intervention related to problem behavior (eg, increase in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and decrease in problem behavior through the activity schedule, increase in the rate of task performanc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o spend free time such as relative time of rest or lunch time. In addition, although family interactions are important because interventions for self-determination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family culture,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related to family.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improve their self-determination ability to acquire self-control and autonomy of daily life by acquiring methods and techniques to spend fun and useful free time in school and in connection with home. As such,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structed to plan their daily activities in relation to home by choosing three of their favorite activities, and to plan their own work and lead them to action in a self-directed wa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with medium-level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5th grade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ttending special schools. Based on intermittent baseline design among subjects, the effect on self-scheduling, self-directed activities, and self-determination behaviors at the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stages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participants showed low performance in their self-scheduling during the baseline period. Through self activity planning instructions in connection with home, self activity planning performance improved over baseline and improved self-scheduling performance rem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Second, all of the participants showed low performance in self-directed activities during the baseline period. Through self-directed activities instructions in connection with home, self-directed activities performance improved over baseline and improved self-directed activities performance rem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Third, all of the participant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self-determination behavior score after intervention compared with before intervention through instructions on self-scheduling in relation with home. The results showed that self-scheduling instructions in connection with hom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scheduling, self-directed activities and self-determination behavior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not only used self-work planning diary tp record their activities that they could do during their free time and plan their own work in the order of importance and chronology and conducted them, they chose activities with higher preferences to allow autonomous decisions and activities. In addition, opportunities for practice in self-care, planning, and self-directed activities through home-based interventions also influenced these positive outcomes. This study is significance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d their free time productively and practiced self-directed activities in relation with home through self-scheduling.

모든 사람들은 자기가 선호하는 것을 표현하는 능력과 삶의 각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을 할 권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적장애 학생들은 이런 능력을 실천해 볼 기회 자체가 많...

모든 사람들은 자기가 선호하는 것을 표현하는 능력과 삶의 각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을 할 권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적장애 학생들은 이런 능력을 실천해 볼 기회 자체가 많이 결여되어 있어 자신의 선택보다 타인의 선택에 의존하여 삶을 살아가고 있다.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많은 지적장애 학생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거나 나에게 주어진 자유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대한 방법을 모른 채 교사 또는 부모의 지시만 따르며 성인기에 접어든다. 그러므로 지적장애학생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자율성과 통제력을 갖기 위해 자기결정력을 증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기결정력은 전 생애에 걸쳐 발전하므로 어린 시절부터 자기결정력을 증진할 수 있는 교수를 제공해야한다. 자기일과 계획하기는 자기결정력을 기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자신의 일과를 자신이 선호하는 활동으로 선택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자기일과 계획하기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청소년과 성인의 가정 또는 공동생활가정에 집중되어 있고, 소수이나 초등학생이 연구의 대상인 경우는 주로 학업이나 문제행동관련 중재(예: 활동 스케줄을 통한 수업 참여 행동 증가 및 문제 행동 감소, 과제 수행 행동 비율의 증가)에만 국한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쉬는 시간이나 점심시간과 같이 자유 시간을 어떻게 보낼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자기결정을 위한 중재가 가족의 문화를 고려해야 하므로 가족의 협력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가족과 연계한 연구 또한 부족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은 가정과 연계하여 학교 일과 내 자유 시간을 재미있고 유용하게 보내는 방법과 기술을 습득하여 일상생활의 자율성과 통제력을 스스로 갖는 자기결정력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초등학생이 자신이 좋아하는 세 가지의 활동을 선택하여 일과를 계획하고 계획한 일과를 자기주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정과 연계한 자기일과 계획하기를 교수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학년 1명, 6학년 2명의 지적장애학생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에서 자기일과 계획하기 및 자기주도활동 수행 자료를 수집하고, 중재 전과 후에 자기결정행동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가정과 연계한 자기일과 계획하기 교수의 중재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 모두 기초선 기간 동안 자기일과 계획하기에서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나 가정과 연계한 자기일과 계획하기 교수를 통해 자기일과 계획하기 수행이 기초선보다 향상되었고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향상된 자기일과 계획하기 수행이 유지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 모두 기초선 기간 동안 자기주도활동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가정과 연계한 자기일과 계획하기 교수를 통해 자기주도활동 수행이 기초선 기간 보다 향상되었고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향상된 자기주도활동 수행이 유지되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 모두 가정과 연계한 자기일과 계획하기 교수를 통해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에 자기결정행동 점수가 향상되는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가정과 연계한 자기일과 계획하기 교수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일과 계획하기 및 자기주도활동 수행, 자기결정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구 참여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자기일과 계획판을 활용하여 학교 일과 중 자유 시간에 할 수 있는 활동을 기록하고 활동의 중요도와 순서에 알맞게 계획한대로 자기일과를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나의 선호도가 반영된 활동을 선택함으로써 보다 자기주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지적장애 초등학생에 대한 자기일과 계획하기 교수의 중재효과를 확인했다는데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