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창작스튜디오 실내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제주이주민 조사실태 현황에 따르면 이주로 인해 유입되는 연령층 및 이주유형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과거 장년층 이상의 귀농귀촌 이주민 중심에서 점차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으며 적...

제주이주민 조사실태 현황에 따르면 이주로 인해 유입되는 연령층 및 이주유형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과거 장년층 이상의 귀농귀촌 이주민 중심에서 점차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으며 적극적인 문화융성 정책으로 젊은 문화예술인들의 유입이 크게 늘고 있다. 이러한 문화이주자들은 서귀포 바닷가 또는 중산간 지역에 분포하여 카페, 게스트하우스, 대안공간·창작공간(창작스튜디오) 등을 만들며 다양한 활동으로 제주 문화예술계의 새로운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창작스튜디오의 경우, 빈집과 빈창고와 같은 지역의 유휴공간이나 폐시설을 활용한 곳으로써 관에서 지원하는 빈집프로젝트, 레지던시 사업 등에 힘입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문화이주민들은 안정적인 정착과 지역민과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이곳에서 다양한 활동을 벌이며 지역민과 소통하고 있으며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에 대한 고찰과 분석이 선행되지 않은 채 진행되어 또다시 죽은 공간으로 버려지는 경우가 있으며 소규모의 운영으로 프로그램이 제한적이고 지속적인 유지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제주 지역의 현실에 맞는 제주형 창작스튜디오가 요구되고 있다. 지역에 대한 이해와 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와 전략, 자연스러운 교류와 소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창작스튜디오에서 지역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제주 고유의 특수성을 공간에 접목하고 문화이주자의 재능기부와 지역민의 정보공유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시너지가 발휘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역 커뮤니티 공간으로 진일보한 창작스튜디오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으로 제주의 지역성에 대해 알아보고 지역 커뮤니티와 창작스튜디오의 고찰을 통하여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창작스튜디오의 특성화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내, 해외 창작스튜디오의 현황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했으며 공간계획연구대상으로 제주 동문시장 상가건물을 선정하여 디자인 연구를 진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창작의 근본 개념으로써 지역성을 적용한다. 둘째, 지역민이 자유롭게 드나들기 위해 개방성을 표현한다. 셋째,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 판매시설 및 공공공간을 구성한다. 넷째,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공공공간의 다양화를 구현한다. 다섯째, 복합성과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가변적 공간을 마련한다. 여섯째, Space Program의 다양화를 구현하고 그에 부합하는 운영 컨텐츠를 적용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창작스튜디오가 지역문화의 중심지로써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에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주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창작스튜디오 공간을 만드는 과정에서 본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According to the survey of Jeju immigrants, the ages and immigration types flowing in due to immigration have been rapidly changing. The ages have gradually become lower from over elderly persons based on immigrants returning to the farm, and due to t...

According to the survey of Jeju immigrants, the ages and immigration types flowing in due to immigration have been rapidly changing. The ages have gradually become lower from over elderly persons based on immigrants returning to the farm, and due to the positive culture prosperity polity, the inflow of young cultural artists has been increasing. These cultural immigrants, who reside in the Seogwipo coast or middle mountainous areas, make cafes, guest houses, alternative and creative space (creative studio) and shows a new flow of the Jeju culture and art world from various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creative studio that utilizes the unused area of an empty house or empty warehouse, closed facilities, tends to increase thanks to the empty house project and residency busines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In order to secure stable settlement and narrow the gap with the existing residents, the cultural immigrants have various activities in the area and communicate with the residents and utilize as a community space. However, due to the progress without preceding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space, the space becomes inactive many times, and its small scale operation causes the program restricted and consistent maintenance cannot be guaranteed. Therefore, the Jeju-oriented creative studio in compliance with the reality of the Juju area i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diverse programs for natural exchanges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systematic preparation and strategies for understanding the area and space is urgent.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suggests a creative studio space that advances to a sustainable local community space that can display synergy through connecting the original distinct characteristics of Jeju and making the talent contribution of the cultural immigrants and information share of the residents natural.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regionality of Jeju and reviewed the local community and creative studio, and finally derived the characterization factor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is, it surveyed, compared and analyzed the status of creative studios inside and outside of the province, and this survey selected the commercial buildings of Jeju Dongmun Market as the research target for space design, and proceeded with design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ionality is applied as the basic notion of creation. Second, openness is expressed for free visit of the residents. Third, sales facilities and public space are composed to induce entry. Fourth, the diversity of public space is implemented to revitalize communities. Fifth, variable spaces that can accommodate complexity and diversity are prepared. Sixth, the space program is diversified and accordingly, corresponding operation contents are applie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e studio as a center of local culture, can be a driving force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in the course to create the creative studio space for revitalizing the community of the Jeju area.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