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among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nd Supervision Effectiveness -Focused on Chinese Primary Schools Zhai Yi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Major Advisor :Kang Y... The Relationship among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nd Supervision Effectiveness -Focused on Chinese Primary Schools Zhai Yi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Major Advisor :Kang YoungTae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eachers toward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regarding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of members of the school, and examin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supervision effectiveness of the principal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relevant variables. For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First, what effects do background variables (gender, experience, grade of the class) of teachers have on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supervision effectiveness perceived by the teachers? Second, how do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supervision effectiveness influence one another? 1) What effects does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ve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supervision effectiveness? 2) What effect does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have on supervision effectiveness? Third, In the path via which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influence supervision effectiveness, what mediated effect does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hav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a research model for this study was established. To collect sampl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ianjin, Cangzhou, Wuxi, Baoji, Dingxi, and Laixi, China.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SPSS 20.0 and AMOS20.0, with the significance level set at p<.05, p<.01, and p<.001.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 ⍺),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goodness-of-fit test for the research model, and mediated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 in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gender, experience, grade of the class) of teachers on their perception toward instruc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Second,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explained 49.8%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In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more class improvement was related to stronger effects on innovation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which ar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better class evaluation on group culture. By contrast, vision proposal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class support had a low level of effects on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explained 80% of supervision effectiveness. More class improvement by the principalled to stronger effects on curriculum instruc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supervision guidance, and better class evaluation had a high level of effects on basic attainment and teacher training. However, vision proposal and class support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other variables than basic attainment, which is a sub-variable of supervision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explained 63% of supervision effectiveness. Group culture and innovation culture had stronger effects on sub-variables of supervision effectiveness. By contrast,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showed eith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r a low level of explanatory power on sub-variables of supervision effectiveness. Third,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supervision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on supervision effectiveness. Also, a par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d an indirect effect on supervision effectiveness via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was fond to be m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교 구성원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현황을 알아보고 더 효율성 있는 학교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 학교조직...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교 구성원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현황을 알아보고 더 효율성 있는 학교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 학교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수업지도성 및 장학효과성 차이와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경력, 학년)에 따라 지각한 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조직문화와 장학효과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조직문화, 장학효과성 간의 영향 관계는 어떠한가? 1)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문화와 장학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2) 학교조직문화가 장학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장학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학교조직문화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문헌을 고찰하고 본 연구의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표집 대상은 중국 천진시, 창주시, 무석시, 보계시, 정서시와 라이시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과 AMOS 20.0을 사용하며 유의수준은 p<.05, p<.01, p<.001에서 제시하였다. 사용한 통계방법은 기술 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Cronbach ⍺)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 량분석(ANOVA), 중다회귀분석,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위한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 분석 및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방법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경력, 담당학년)에 때라 수업지도성, 학교조직문화, 장학효과성에 대한 인식차이는 교직경력 15년 이상, 고학년(5-6학년)을 담당하는 남교사들이 여교사들보다 인식도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다고 나타났다. 수업지도성의 하위변인별로 보면 수업지원, 수업개선과 수업평가에 대한 인식은 고학년의 교사들이 제일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에 중학년 교사, 저학년 교사의 순이었다. 하지만 비전제시에 대한 인식은 고학년 교사가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에 저학년 교사, 중학년 교사의 순이었다. 학교조직문화의 하위변인별로 보면 남∙여 교사들은 집단문화가 가장 강한것으로 지각되었다. 혁신문화, 합리문화와 위계문화에 대한 인식은 고학년의 교사들이 제일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에 중학년 교사, 저학년 교사의 순이었다. 하지만 집단문화에 대한 인식은 고학년 교사가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에 저학년 교사, 중학년 교사의 순이었다. 장학효과성의 하위변인별로 보면 기본소양, 교육과정지도, 인사관리와 장학지도에 대한 인식은 고학년의 교사들이 제일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에 중학년 교사, 저학년 교사의 순이었다. 하지만 교사연수에 대한 인식은 고학년 교사가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에 저학년 교사, 중학년 교사의 순 이었다. 둘째,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학교조직문화에 49.8%의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교장의 수업지도성 중에 수업개선을 잘 할수록 학교조직문화의 하위변인인 혁신문화와 위계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고, 수업평가를 잘 수행할수록 집단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전제시는 각 학교조직문화 유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이지 않 았고 수업지원이 학교조직문화 유형별에 미치는 영향이 낮게 나타났다.교장의 수업지도성은 장학효과성에 80%의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교장이 수업개선을 잘 할수록 교육과정지도, 인사관리와 장학지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고, 수업평가를 잘 수행할수록 기본소양과 교사연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전제시와 수업지원이 장학효과 성의 하위변인인 기본소양외의 다른 변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학교조직문화는 장학효과성에 63%의 유의미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집단문화나 혁신문화일수록 장학효과성의 하위변인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합리문화와 위계문화는 장학효과성의 하위변인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나타내지 않았거나 낮은 설명력을 보인다. 셋째,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학교조직문화와 장학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영향을 미치고 학교조직문화는 장학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 또한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문화를 통해 장학효과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부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모형임을 나타냈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