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를 기반으로 한 현 방송통신 패러다임에서의 제품은 백색가전과 그 성격을 점점 달리하며 발전하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쳐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이미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 ICT는 ... ICT를 기반으로 한 현 방송통신 패러다임에서의 제품은 백색가전과 그 성격을 점점 달리하며 발전하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쳐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이미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 ICT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지식정보, SNS 로 대표되는 일상 정보, 문화 콘텐츠 등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스스로 또는 외부로부터 얻는 활동이 일상화되어 있다. 제품은 이러한 정보 환경을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전달 또는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구체화 되고 있다. 지식정보를 비록한 일상의 정보나 문화 정보는 멀티미디어 형태로 사용사가 수용하며 이는 디바이스의 다양화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는 디바이스의 형태는 거의 대부분이 시각전달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TV,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게임기 등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데 이는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한 시각전달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는 그때그때의 상황에 맞는 ICT 환경과 상황에 맞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소비하는 형태를 보이는 것이 현재의 콘텐츠 소비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콘텐츠 이용에 있어 다양한 디바이스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좋은 환경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러한 콘텐츠를 이용하의 디바이스 수단과 환경이 다양하다는 것은 또한 각각의 디바이스 환경을 개인이 소화 또는 구축해야 한다는 것과 각각의 디바이스마다 상이한 형식의 이용 방법에 대한 사전인지나 경험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과 같다. 나아가 콘텐츠 이용의 H/W적 환경에 S/W 채널 역시 다양하며 각각의 SVC형태로 저마다 다른 이용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콘텐츠를 둘러싼 ICT환경, 디바이스 다양성, SVC채널 다양성이 사용자를 중심으로 보다 개선되거나 발전된 형태로 제공 될 필요가 있다는 점에 그 문제의식을 두고 있다. 이는 UI 디자인 방법론에 입각한 사용자 인지, 사용 과정, UX 등의 개념을 근간으로 개발된 디자인 결과물이다. 그러나 글한 과정에서 서로 상이한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이에 따라 상이한 사용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결과적으로 각각 다른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사용성을 보일 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렇게 다르게 나타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 과정의 상이한 점을 기본적으로 인식하고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사용자 평가 방법에 입각하여 비교 검증하는 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전 연구를 통해 대표적 사례를 통한 체감적 문제의식을 알아보고 기존의 사용자 평가 시스템을 구조화된 평가방법론으로 재정립 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실증 과정을 거쳐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체적 조사, 분석 과정을 거쳐 보다 사용자 중심적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기 위한 평가 모델로써의 가능성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