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의 무용가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연구 : 이상만 무용아카이브 구축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Since dance is an art of an instant, which disappears at the moment of performance, it is difficult to record and conserve it. Nevertheless, many dancers have long made efforts to record and conserve dance as well as utilize recorded dance. The fru...

Since dance is an art of an instant, which disappears at the moment
of performance, it is difficult to record and conserve it. Nevertheless,
many dancers have long made efforts to record and conserve dance as
well as utilize recorded dance. The fruit of these efforts was
materialized by the establishment of notations specialized in dance, such
as Labanotation and Benesh Notation or dance libraries, dance resource
centers and dance museums specialized in archiving dancing material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media, a chance to
easily build a personal archive has been given to anyone, and an era of archives has come to the general public, too, can record their daily
lives. However, in South Korea, due to the lack of interest by
government agencies and dancers, the lack of dance archive experts and
poor financial and academic supports, it is not easy to establish an
archive specialized in dance or build a dancer’s personal archive.
This study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a dancer’s personal
archive using an Internet portal sit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built up a first-generation Ballerino Lee Sang-man’s personal dance
archive, using a cafe on an internet portal site. As for the method of
study, first, theoretical background was prepared through a literature
search. Second, a discussion was developed in an empirical case in
which the researcher directly designed and built the archive.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 of four chapters. Chapter 2 as 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ed the concept of a dance archive and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dancer‘s personal archive. Chapter 3 dealt
with Lee Sang-man’s life and arts, and the present status and value of
his materials, and discussed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his
dance archive. Chapter 4 discussed classification systems of the existing
art archives in order to present a classification system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Lee Sang-man Dance Archive, and then devised the
classification system suitable for his materials. Chapter 5 proposed
specific methods of opening and operation on the internet portal site in
order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ee Sang-man
Dance Archive.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ttempting to establish a
dancer’s personal archive using an internet portal site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of the preceding examples of the establishment of
a dancer’s personal archive. This study took Kim Cheon-heung
Collection at the Korea Dance Resource Center as a preceding example
and prepared a dance archive system for the characteristics of Lee
Sang-man’s materials, referr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database of this collection. Second, instead of stopping at the
establishment of dancers’ personal archives, there should be strategies
and activities to revitalize archives. The personal archive in this study
was established to reveal the recyclability of material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beyond listing life history and image data
pursued by existing dance archives. In other words, a plan for the
exhibition and rental of costumes and props that could be recycled in
the works of dance was sought for, and the dancer’s unique and
various characteristics could be captured simultaneously by preparing a
cyber-gallery that could reveal artistic or other talents.
It is expec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dancer’s personal archive
on the internet portal site proposed by this study will lead to the
realization of reasonable and efficient archives with the revitalization of
dance archive that is growing up rapidly.

춤은 공연되는 순간에 사라진다. 따라서 무용가들은 춤의 기록과 보존 및 활용을 위해 노력하여 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은 라바노테이션(Labanoation), 베네쉬노테이션(Benesh Noataion)과 같은 무...

춤은 공연되는 순간에 사라진다. 따라서 무용가들은 춤의 기록과 보존 및 활용을 위해 노력하여 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은 라바노테이션(Labanoation), 베네쉬노테이션(Benesh Noataion)과 같은 무용표기법이나 춤자료를 전문으로 아카이빙하는 무용도서관, 무용자료관, 무용박물관 등의 설립으로 구체화되었다. 최근에는 인터넷 매체의 발달로 누구나 쉽게 개인아카이브구축할 수 있는 길이 열렸으며, 일반인들도 자신의 일상을 기록할 수 있는 아카이브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정부 기관 및 무용가들의 무관심과 춤 전문 아키비스트의 부족, 재정적 및 학술적 뒷받침이 열악하여 무용아카이브의 설립이나 무용가 개인의 아카이브 구축은 그리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활용한 무용가 개인아카이브의 구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카페를 활용해서 1세대 발레리노 이상만의 개인아카이브를 구축해 보았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2차적으로 연구자가 직접 아카이브를 설계하고 구축하는 경험적 사례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총4장으로 구성되며,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 무용가 아카이브의 개념과 무용가 개인아카이브의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이상만의 생애와 예술, 그리고 이상만의 춤자료 현황과 가치를 다루며 이상만 무용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상만 무용아카이브 구축에서 필요한 분류체계를 제시하고자 기존 예술아카이브의 분류체계를 고찰하였고, 이상만의 춤자료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이상만 무용아카이브의 구축과 운영을 논의하기 위해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의 아카이브 개설 방법 및 운영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활용하여 무용가 개인아카이브의 구축을 시도했던 본 연구의 결과이자 제안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가 개인아카이브 구축의 선행사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한국춤문화자료원의 김천흥컬렉션을 선행사례로 삼고, 이 컬렉션의 분류체계 및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이상만 자료의 특성에 맞는 무용아카이브 시스템을 마련하였다. 둘째, 무용가의 개인아카이브 구축에 멈추지 않고 무용아카이브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과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개인아카이브는 기존의 무용아카이브들이 추구했던 생애사 및 무용작품의 이미지 자료의 나열을 넘어서 다양성과 개인의 특수성이 두드러지도록 하였다. 즉, 무용작품에서 재활용될 수 있는 의상 및 소품을 전시하고 대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미술이나 여타의 재능이 드러날 수 있는 사이버전시실을 마련하여 무용가의 특수성과 다양성이 동시에 포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이 제안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의 무용가 개인아카이브 구축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무용아카이브의 활성화와 함께 합리적이고 효율성 있는 아카이브의 실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