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녀에게 큰 기대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자녀 지원활동을 하고 있는 중국 타이거 맘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자녀의 지원활동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며, 어떤 교육...
본 연구는 자녀에게 큰 기대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자녀 지원활동을 하고 있는 중국 타이거 맘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자녀의 지원활동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며, 어떤 교육이념에서 비롯되고, 자녀와 갈등을 겪었을 경우 어떻게 유지되고 변화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높은 교육열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부모의 자녀 학업지원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타이거 맘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중국의 교육 환경 속에서 중국 엄마들은 타이거 맘이 된 원인이 무엇이 있는가?
둘째, 타이거 맘들의 자녀교육 기대에 따라 어떤 지원활동을 하고 있는가?
셋째, 타이거 맘들의 기대로 인한 자녀와의 갈등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가?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내에서 자녀교육열이 높다고 알려진 강절후(江浙沪) 지역에 거주하는 학부모 중 사전 인터뷰를 통해서 자녀교육에 대한 열정과 관심도가 제일 높은 학부모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엄마들이 타이거 맘이 된 원인은 주로 중국 전통 가정교육문화, 학벌주의 사상, 중국식 체면문화, 전통적인 어머니 중심의 자녀교육문화 등 4가지로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교육을 받았던 타이거 맘들이 자녀의 좋은 미래를 도모하기 위해서 학벌 중심의 사고에 맞추어져 있고, 중국인의 체면문화의 영향을 받아 적극적으로 자녀 지원활동을 하였다. 전통적인 가정문화에서 자녀를 잘 키우는 일이 엄마의 기본이고 못하면 “가족의 죄인”이 된다고 생각한다.
타이거 맘들의 자녀에 대해 지나친 기대로 이루어지는 희생적인 지원활동은 그 내용에 따라 학업지원활동, 생활건강 지원활동, 여가생활 지원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타이거 맘들이 자녀에 대한 지원활동의 주요한 특징은 시간통제에 초점을 두었다. 타이거 맘들의 교육이념은 자녀 학업지원활동에 따라서 부모 중심의 교육이념과 아이 중심의 교육이념의 특징을 나타냈다. 철저한 시간 관리와 학업 내용 지원을 모두 강조하고 엄격하게 수행하는 타이거 맘들은 부모 중심의 교육이념을 보였고, 자녀의 특성과 적성을 다 고려해서 필요할 때마다 아니면 자녀가 요구할 때마다 지원해주는 타이거 맘들은 아이 중심의 교육이념을 보였다.
타이거 맘들의 높은 기대로 인한 통제적 행위는 자녀의 거부와 반항을 초래하였다. 자녀와 심각한 갈등을 겪었던 타이거 맘들은 자녀를 사랑하는 원초적 마음 때문에 갈등을 해소하는 방법을 시도하고,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부모 중심의 교육행동에서 아이 중심의 교육행동으로 방향전환을 시작하는 중요한 계기를 맞게 된다. 그러나 자녀의 학업이나 진로에 대한 불안한 마음은 여전해서 다시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아래와 같이 제시되었다. 중국 타이거 맘들이 자녀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다양한 지원활동을 하였다. 그 활동들은 타이거 맘들의 교육이념에서 기인하였다. 또한 타이거 맘들의 교육이념은 자녀와의 갈등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서 변화하고 있었으며 이 변화는 타이거 맘들이 자녀와 함께 성장하는 과정이기도 한다. 한국 학부모들은 중국 타이거 맘과 비슷한 특징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마치며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첫째, 타이거 맘들의 자녀들이 실제로 부모의 지원활동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고 생각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타이거 맘의 가족 구성원이 타이거 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타이거 맘의 자녀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iger moms, who have high expectations in their children and actively participate in supporti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these mothers support their children, and the base of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