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고령자 주택정책 방향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rate of Korea’s economic growth reached up to 7.5% before the financial turmoil in 1997, after that time it became 4.4%. The world financial crisis in 2008 pushed down the growth rate to 3.4%, in 2012 2.3%, in 2013 2.9%, in 2014 3.3%. With recen...

The rate of Korea’s economic growth reached up to 7.5% before the financial turmoil in 1997, after that time it became 4.4%. The world financial crisis in 2008 pushed down the growth rate to 3.4%, in 2012 2.3%, in 2013 2.9%, in 2014 3.3%. With recent IMF’s downward adjustment to 2.7% the trend of low growth is going on.
In addition, Korea entered the aging society in 2000 with 7% of the population being 65 and older, and is expected to become an aged society in 2018 with 14% of the aged population. By 2026, the rate is predicted to be 20% as a super aged society and by 2060 40.1%. Korea is rapidly heading toward a aging society. The aging bring about various negative spin-off effects on the overall economy and society such as an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a decrease of the productive population, an increase of welfare demand, and a decrease of development demand. These negative facts may lead to an extended period of low growth of labor, capital and finance.
Therefore, the low growth and the aging will work as a new changing factor which causes a decreasing demand of physical develop, an encroachment of manpower, strain on investment resources, an increasing demand of social welfare, and a limitation on the creation of job and income.
During a high growth era, the government took an initiative to lead people and businesses, however the policies of low growth era should take a look at the underprivileged and take slow processes, which is the way to sustainable economic society.
A rapid aging and transformation of population structure may cause concern for severe social problems. Especially, many of the Baby Boomers who enter retirement age from 2010 and are not prepared for their retirement would be a big burden to the government. However the government also fall short of policy prepa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us, is to suggest the housing policy orientation for the aged which is tailored to Gyeonggi-do.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ousing preperence of the aged such as prepered locations, important parts of making a location decision, and prepered housing types and sizes.
First, the family played the primary role of protecting and nursing seniors, however with the trend toward the nuclear family accompanied by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ocial participations of woman was increased and the family’s nursing function of seniors became weak. In additio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s increasing, therefore, the housing policy need to change direction to the policies taking the aged into account from young people- oriented supply policies.
Second, the housings which are prepered by the aged should be provided in the format of the long-term lease. the prepered housings are a small and midium sized home which reflects the charicteristics of the aged, a housing adjacent to medical facilities, a rural housing commanding a fine natural environment, and a housing convenient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Third, a public rental housing such as Tabok Healthy Village is suitable for BTL method,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ake high return. With the rental revenue the BTL method is hard to guarantee the desired propit to investors, therefore public agencies should assume full charge of the operation.
Fourth, concerning Tabok Healthy Village, dilapidated urban apartments need to be developed to houses for the aged and comercial facilities as a complex concept which makes the property owners enjoy the rebuilding effects, make the private businesses secure the propitability, and make Gyeonggi-do gather the harvest of the aged housing supply.
As described above, under the situation which a deposit based lease system is rapidly changing into monthly rental system, and 45% of the total household are living in a rental house, the shortage of rental houses will make the price rise. To reduce the dwelling burden of the aged without a house, expansion of the supply of rental house such as Tabok Village should be continued.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1997년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평균 7.5%에 달했고 이후에는 4.4%였으나 2008년 세계 금융위기로 3.4%로 떨어지면서 2012년에 2.3%, 2013년에 2.9%, 2014년에는 3.3%였고, 2015년 최근 ...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1997년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평균 7.5%에 달했고 이후에는 4.4%였으나 2008년 세계 금융위기로 3.4%로 떨어지면서 2012년에 2.3%, 2013년에 2.9%, 2014년에는 3.3%였고, 2015년 최근 IMF에서 2.7%로 하향 조정하는 등 저성장의 기조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2000년에 7%를 초과하여 고령화사회가 되었고, 2018년 14%에 도달하여 고령사회가 되고, 2026년에는 20%가 되어 초고령사회가 되는 빠른 속도의 압축고령화 과정을 겪고 있는데 2060년에는 40.1%가 될 것이라고 통계청이 발표하였다. 고령화는 노령인구의 증가, 생산인구 감소, 복지수요 증가 감소 등을 초래하여 저성장을 고착화 시키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저성장, 고령화로 인한 국가의 경제사회는 물론이고, 지역의 발전과 관련된 투자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개발수요가 감소하고, 복지수요가 증가되며, 일자리가 늘어나기 어렵게 된다. 특히 최근 은퇴가 시작된 베이비부머들은 노후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은퇴하게 되어 고령층과 함께 정부의 부담으로 작용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를 포함한 고령자들이 선호하는 주택의 입지, 유형과 규모 등을 분석하여 주거복지 측면에 경기도 실정에 맞는 고령자 주택정책 방향을 FGI를 통해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고령층을 위한 소형 장기 공공임대주택의 공급을 확대하여야 한다. 2014년 6월 소형 아파트 건축 의무비율이 폐지됨에 따라 공공임대아파트를 제외하면 거의 없는 실정으로 저소득층 비율이 높고 주거환경이 열악한 고령층의 수요에 비해 부족하므로 고령층이 선호하는 도심지역이나 교통이 편리한 도시근교에 지속적으로 공급 하되 경기도 따복건강마을이 일정부분 역할을 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노후화된 아파트, 단독주택 및 경로당의 개보수비용을 실비수준으로 지원해야 한다. 고령층은 대부분 일반가구에 비해 생활·주거환경이 열악하고, 이동성이 낮으므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베리어 프리공사 및 창호교체 등 단열공사 비용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셰어하우스, 코하우징 등 공유주택의 확산을 지원해야 한다. 저성장 고령화 시대를 맞아 자산을 소유하기 보다는 빌려 쓰거나 공유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으므로 공유주택의 도입을 사회적기업, 주택협동조합과 협력하여 초기 계약금, 보증금, 중도금 등을 지원하거나 저리융자를 알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노후 중대형 아파트 리모델링 시 세대구분형 아파트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노후 아파트의 리모델링을 통해 금융자산이 부족한 고령층의 월세수입이 가능한 세대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이 활성화 되도록 주택법령 상 단지 내 전체호수의 1/3 이내 규정을 폐지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의료시설, 공원, 주민센터 등 공공부지 및 인근 지역에 따복건강마을을 신축 또는 복합개발 해야 한다. 도유지, 공유지로 한정하고 있는 후보지를 고령층이 선호하는 토지로 확대하고, 리츠 또는 BTL방식 등 민간투자방식을 통해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따복건강마을 추진방안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령자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경기도의 따복건강마을 등 장기 공공임대주택의 공급 확대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