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는 압축 경제성장과 산업화를 거쳐 짧은 시간동안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경제, 노동활동 중심의 사회에서 문화, 예술, 여가활동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이러... 한국사회는 압축 경제성장과 산업화를 거쳐 짧은 시간동안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경제, 노동활동 중심의 사회에서 문화, 예술, 여가활동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속적인 노동시간의 단축과 소득수준의 증가로 이어지면서 문화예술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참여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들의 일상적 예술참여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주목되면서, 많은 종류의 지역문화시설들이 늘어나고 추세이다. 특히 창작스튜디오는 초기에는 예술가들의 창작공간지원이라는 목적으로 시작된 정책이지만 점차 지역문화시설이라는 목적에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그 숫자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사례를 보면 아직까지는 창작스튜디오의 활용이 초기의 목적인 예술가의 창작 공간지원 위주로 되어있어 지역주민들에게 열린 문화예술참여 공간으로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창작스튜디오는 창작 공간지원이라는 단일 목적을 넘어 다양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해야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의 문화 커뮤니티로서 지역주민에게 예술에 대한 문턱을 낮추어 일상 속에서 예술을 통해 여가·취미활동으로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나아가 지역 고유의 정체성이 있는 문화 활성화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민참여중심의 지역문화공간으로서의 창작스튜디오를 제안하기위하여 지역문화에 있어 주민참여의 의의와 창작스튜디오의 역할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주민들의 자발적 예술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공간프로그램과 디자인표현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창작스튜디오의 현황을 조사, 비교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서울시에서 지역문화예술 커뮤니티를 표방하며 운영하고 있는 금천예술공장을 선정하여 공간계획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대상지역의 역사성과 대상지의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지역의 폭넓은 세대가 공감할 수 있으며, 타 지역과 차별화된 맥락성이 있는 공간을 제안하였다. 둘째, 자연요소의 직접적인 활용과 그 형태를 모티브로 사용하여 정서적 친숙함과 안정감을 주며, 새로운 방향감각을 자극하여 상상력과 유연한 사고를 돕는 창작환경을 제시하였다. 셋째, 주민의 예술참여가 단순한 감상과 소비의 영역에서 제한되는 것을 극복하고 생산적, 주체적 참여를 도모하기 위한 주민 참여기반의 공간프로그램을 확장시켰다. 넷째, 공간을 통한 소통과 공동의 유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열린 공간표현과 자연스러운 만남과 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구성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지역사회의 폭넓은 구성원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시도와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변적이고 다목적인 공간을 제안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창작스튜디오는 단순히 예술가들의 창작공간지원이라는 목적을 뛰어넘어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구현되는 지역문화 중심지로써 그 존재의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술가와 지역주민(관람객)이라는 이분법적 구도가 아닌, 참여 주체들 간의 공동의 유대를 위해 지역주민을 공간으로 끌어들임과 동시에 예술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체험을 하게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통을 유도하게 되는 점들이 창작스튜디오 공간계획 시에 공간 프로그램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현대사회의 변동과정에서 자발적인 주민참여로 인하여 지역문화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창작스튜디오의 자리메김과 그 과정에서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s the national life standard has been improved within a short time going through the compressed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in Korean society, it is on the way of changing from the economy/labor activity-centered society to the culture/art/... As the national life standard has been improved within a short time going through the compressed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in Korean society, it is on the way of changing from the economy/labor activity-centered society to the culture/art/leisure activity-centered society. Such changes are led to the continuous reduction of working hours and increase of income level while the public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 are gradually increasing. Especially, as the positive influence of local residents' daily participation in art on local society grabs lots of attention, many types of local culture facilities are increasing. Especially, creative studio is a policy initially start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creative space for artists, and currently, its number is rapidly increasing as a part of coping with the purpose of local culture facilities. However, the existing cases show that the use of creative studio is still mainly focusing on the initial purpose of supporting creative space for artists, so that it is insufficient to consider it as a space for participating in culture and art, open to local residents. As cultural diversity increases and the importance of culture & art education is emphasized, it is highly needed to accept diverse social demands, exceeding the existing single purpose of creative studio as supporting creative space for artists. Providing local residents with hobby/leisure activities in daily life by generally opening art to them in local culture community, it also should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culture with the regional identity. Thus, in order to suggest creative studios as a local culture space focusing on residents participation, this study understood the significance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local culture and importance of creative studios' roles, and then drew a space program and design expression methods that could induce resi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in art. Research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foreign creative studios, a space plan was suggested like below by selecting Seoul Art Space Geumcheon claiming to stand for local culture & art community in Seoul as its target. First, a space that could draw empathy from wide generations in the region, with context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the targeted region was suggested. Second, a creative environment helping imagination and flexible thinking by using natural elements, giving emotional familiarity and stability, and also stimulating a sense of new direction was suggested. Third, a space program based on residents participation to promote their productive and independent participation without limiting their artistic participation to simple appreciation and consumption was extended. Fourth, a spatial composition generating open spatial expressions and natural meeting/communication to induce a bond of communication through space was suggested. Fifth, a variable and multipurpose space that could have diverse types of new attempts and use in accordance with local members' diverse demands was suggested. This study revealed the meaning of creative studio as a local culture center realizing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exceeding the simple purpose of supporting creative space for artists. Instead of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artists and local residents(audience), when planning(spatial set-up of program) a space model of creative studio, it would be necessary to preferentially consider that local residents should be induced to the space for diverse attempts,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 for the community bond between participating entities.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roper space & environment plan by developing a program in the physical,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satisfying all the artists and local resident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