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의 교육체제는 학년 단위를 기반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다양한 교사 간 갈등 중에서도 동학년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갈등은 교사 개인에게 더욱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것은 직·... 초등학교의 교육체제는 학년 단위를 기반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다양한 교사 간 갈등 중에서도 동학년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갈등은 교사 개인에게 더욱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것은 직·간접적으로 교육의 대상자인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동학년 조직 내에서 갈등을 겪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중심의 연구를 통해 교사 간 갈등, 갈등의 원인, 갈등의 대한 대처방식에 대해 심층적으로 밝히고 적절한 해결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 간 갈등은 무엇인가? 둘째, 갈등을 일으키는 원인은 무엇인가? 셋째, 갈등에 대한 대처방안은 무엇인가? 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초등학교의 동학년 내 갈등을 경험한 교사 12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2015년 8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의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 간 갈등은 크게 학년 구성, 학년 운영, 교사 문화에 따른 3가지의 갈등상황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각 갈등상황에서 다양한 갈등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학년 구성에 따른 갈등에서는 성별, 나이, 가치관 등에 따른 갈등, 학년 운영에 따른 갈등에서는 ‘교육’, 행사, 역할수행, 연구실 사용에 따른 갈등, 교사 문화에 따른 갈등에서는 자기중심적 사고, 단짝문화, 소문, 익숙함 축구에 따른 갈등이 나타났다. 동학년 교사 간 갈등은 하나의 원인에 의해서도 이루어지지만 여러 가지 원인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갈등을 일으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하나의 갈등으로 인해 다른 갈등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모습도 관찰할 수 있었다. 갈등에 대한 대처 방법으로 교사들은 주로 순응, 무시, 표출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같은 갈등 상황에서도 교사들은 대상자에 따라 다른 대처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며, 같은 대상자에게도 갈등 상황에 따라 다른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교사들이 성별, 나이, 가치관 등의 갈등에는 순응, 무시의 대처 방법을 주로 사용하지만 교육과정, 운동회, 현장체험학습, 수업장학 등의 교육적 활동에는 표출의 대처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 간 갈등의 모습과 원인, 대처 방법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 초등학교의 동학년 갈등을 경험한 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들은 학년구성, 학년운영, 교사문화에 따라 갈등을 겪고 있으며 순응, 무시, 표출 등의 방법으로 갈등에 대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 간 갈등에 대해 살펴보면서 갈등해결을 위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간의 차이를 인정하고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의 동학년 구성과 관련하여 구성과 발표 시기를 앞당길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나 수업장학의 운영에 있어 방법의 변화가 요구된다. 넷째, 교사 스스로 ‘교육자’임을 인식하고 행동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 내에 민주적 의사결정이 가능한 환경을 구성하여야 한다. 여섯째, 교사들은 다양한 갈등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eachers are divided into work groups based on their particular grade. This means in practical terms that their working lives are spent almost exclusively within this small sub-set of teaching professionals. It is natura...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eachers are divided into work groups based on their particular grade. This means in practical terms that their working lives are spent almost exclusively within this small sub-set of teaching professionals. It is natural that working within these small teams that conflict situations arise. Many of these conflicts which often could be classified as negative can adversely affect individual teachers. This study attempts to advance some solutions to these conflict situations. We will consider the most common reasons for this conflict and offer some suggestions to how we might manage the adverse implications of inter-teaching conflict. As research for this I conducted interviews on 12 teachers who have personal experience of conflict with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All 12 were teachers at _________ Elementary School in Uiwang city Gyeonggi-Do. These interviews and the corresponding data analysis took place from August 2015 to April 2016. From these interviews it became apparent that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conflict experienced by these teachers under three broad headings. 1. Conflicts related to the individual personali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between the grade teachers Typically conflicts that fell under this heading were related to gender or age differences or individual value judgements. 2. Conflicts over the management of the grade Conflict situations that fell under this broad heading were often centred on educational perspectives, event planning and organization, day to day management issues and scheduling issues. 3. Conflicts related to teaching culture, style or practice The final broad heading is perhaps the most diverse. Conflicts that are filed under this heading are related to, teaching styles, rumours and gossip and other pedagogic issues. From the research it became apparent that frequently conflict between teachers was centred on one of the issues outlined above. However on occasion the conflict was complicated by additional issues becoming involved. Often the research showed that a sequential pattern emerged in which an initial issue triggered another issue which significantly complicated the conflict. Teachers adopted a number of strategies to handle and deal with conflict situations. On issues related to individual personalities the most common strategies involved trying to adapt to accommodate the other person or where this was not possible or feasible trying to minimize contact and interaction with this person. On conflict issues related to management of the grade or conflicts based on teaching culture teachers were much more likely to vocally express their feelings or opinions. My research in this area lead me to put forward the following conclusions or suggestions. Firstly teachers should invest more time and effort into understanding each other's differences. Secondly that individual schools might more successfully minimize conflict situations by determining earlier the grade teachers groupings. This would allow teachers more time to interact and get to know each other before the stresses of the new school year begin. Thirdly the Korean education system should consider the methods it employs to evaluate and monitor individual teachers performance. Fourthly teachers should recognise and appreciate their roles as public educators and act at all times in a professional manner. Finally it is my recommendation that teachers are more engaged and active in dealing with conflict when it arises. Where possible conflict should obviously be avoided but when it occurs it is to be recommended that teachers are positive and willing to resolve the situation.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