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인성교육 기반 미술 수업 지도안 개발과 현장 적용 사례 : 데이비드 위즈너 「구름공항」그림책 활용 중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인성교육을 공교육의 지향점으로 다루며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부터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개정 작업이 이루어지고 교과 교육을 통한 교실 수업에서의 인성교육 또한 강조되고 있다. 미술...

인성교육을 공교육의 지향점으로 다루며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부터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개정 작업이 이루어지고 교과 교육을 통한 교실 수업에서의 인성교육 또한 강조되고 있다. 미술과는 그 고유의 특성에 인성교육이 내재되어 있어 학생들의 바른 인성과 정서함양, 문화적인 소양을 갖추게 하는 핵심 교과이다. 따라서 미술과를 통한 인성교육의 내용과 방법 및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수업 사례 연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미술과에서 추구하는 가치덕목․인성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실천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여러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그림책은 미술 교육뿐만 아니라 인성교육에도 그 가치가 입증되었다. 그림책은 학생들의 시지각과 미적 안목, 창의성과 상상력을 개발하고 정서를 순화하며 친사회성과 자아존중감, 민주 시민의 소양 등을 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 수업을 통한 인성교육의 구체적인 실현을 위한 지도안을 개발할 때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수업 지도안을 구안하였고 이를 현장에 적용한 실제 사례를 들어 미술 수업을 통한 인성교육의 실천 방향에 대해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Ⅱ장에서 인성교육이 미술과 수업을 통해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지를 선행 연구를 통해 찾아보았다. 인성교육 기반 미술교육의 방향은 미술 교과를 통해 함양해야 할 가치덕목․인성역량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어 미술과와 관련된 가치덕목․인성역량이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어떻게 구체적으로 수업에 발현될 수 있는지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인성기반 미술 수업의 내용과 방법 및 평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그림책이 갖는 미술교육과 인성교육적 의의를 찾아보고, 미술 교과서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사례와 미술 수업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연구 사례 및 인성교육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연구 사례를 분석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을 통해 인성교육이 구현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모색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서 Ⅳ장에서는 「구름공항」그림책과 단원을 선정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미술수업 지도안을 구안하고 이를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안금희 외(2015) 5~6학년군 미술과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하여 상상의 세계를 다루는 단원을 선정하고 반응 중심 학습 모형을 활용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토대로 5학년을 대상으로 평면표현 중심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6학년을 대상으로는 입체표현 중심 수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5학년 여덟 개 학급 중 한 개 학급은 학부모 공개 수업으로 실시하여 학부모의 반응을 살펴보았으며 교육경력 5년 미만의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한 수업을 통해서도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렇게 대규모 도시형 학교에서 미술 수업을 통해 실시한 이 연구의 결과는 수업 과정의 상호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학생 작품과 소감문 등의 분석을 통한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미술수업은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고 미적 감수성과 존중과 배려 및 소통능력의 미술과 가치덕목․인성역량을 함양하게 하였으며 학생들의 상상력과 미술 표현력이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총 10회의 수업 사례를 통해 이 수업의 보완점을 찾아내어 학교현장에서 미술과 수업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이 연구에 의미가 있다 하겠다. 미술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구체적인 실천 사례를 제시한 이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로 이러한 수업이 미술과 평가와 상호 보완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미술과 평가의 방향과 내용 및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Personality education is dealt as the orientation of public education. Revision work is achieved, emphasizing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classroom education through subject matter educati...

Personality education is dealt as the orientation of public education. Revision work is achieved, emphasizing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classroom education through subject matter education is also emphasized. The subject of art has personality education in its own characteristics, which is the core curriculum that allows students to have good personality, cultivate emotions and have cultural refin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directions of practice that could cultivate the value/virtue and personality competence of the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 of art, pursued by the subject of art, for students, through a study of concrete cases of class. According to the studies by several scholars, picture books’ value has been proven in personality education as well as in art education. Picture books develop students’ visual perception, aesthetic perspective, creativity and imagination, refine emotions and cultivate prosociality, self-esteem and democratic citizens’ refinement. Thus, this study prepared a teaching guide for art class using picture books in developing a teaching guide for the concrete realiz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art class and sought directions of the practice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art class with the actual case in which this was applied to the field. In Chapter Ⅱ, I looked for a method of realizing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art class in the advanced research. Directions of personality education-based art education were examined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of the value/virtue and personality competence to be cultivated through the subject of art. Next,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on how the value/virtue and personality competence related to the subject of art can be expressed concretely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the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personality-based art class were examined. In Chapter Ⅲ I found the significance of picture books for art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Cases of the use of picture books in arts textbooks, research on art class using picture books and research on personalit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were analyzed to seek methods by which personality education could be realized through art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Through a discussion about the preceding studies, Chapter Ⅳ selected Picture Book Cloud Airport and units, prepared a teaching guide to personality education-based art class using picture books and presented the result applying this. Referring to art textbooks for fifth- and sixth-graders and guidebooks for teachers by Ahn, Geum-hee et al. (2015), units dealing with an imaginary world were selected, and based on a teaching guide and a learning guide using a response-based learning model, plane expression-centered classes were conducted with fifth graders while with sixth graders, three-dimensional expression-centered classes were conducted. In addition, a demonstration class for parents was conducted with one class out of eight classes of fifth graders to examine their responses, and teachers’ opinions were collected, also, through a class with 20 teachers with a teaching career of less than five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ducted through art class in a large urban school were presented wit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an analysis of concrete descriptions of the interaction of the curriculum and student works and reviews. A personality education-based art class using a picture book promoted the students’ immersion in the class, cultivated the value/virtue and personality competence of the subject of art such as aesthetic sensibility, respect, care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showed a possibility that the students’ imagination and artistic expressiveness could improve.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through the case of the class 10 times in total, it found things to be supplemented in this class and presented concrete directions and methods that could realize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art class in school scene. Hopefully, as follow-up research of this study that presented a concrete case of the practice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art education, a study that presents concrete directions, contents and methods of evaluation in the subject of art in which the supplementation between such a class and evaluation on the subject of art can be achieved.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