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의 분석과 전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1992년 한국과 중국이 수교한 이래 23년간 양국의 관계발전은 과히 괄목상대라 할 만하다. 상호협력과 우호를 바탕으로 한 동반자로서 21세기를 함께 나아가면서 양국의 발전에 상호 기여하고...

1992년 한국과 중국이 수교한 이래 23년간 양국의 관계발전은 과히 괄목상대라 할 만하다. 상호협력과 우호를 바탕으로 한 동반자로서 21세기를 함께 나아가면서 양국의 발전에 상호 기여하고자 하는 양국의 의지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김태완, “국제정치 시각으로 본 중국의 동북공정,”『국제관계연구 』제13권 제2호 (2008): 5-6쪽.
경제면에서 이미 중국은 한국의 제1의 무역대상국이 되었을 뿐 아니라, 그 규모는 한국의 제2의 무역상대국인 미국과 제3의 무역상대국인 일본의 무역 총액의 합을 훨씬 초과하기에 이르렀다. 김태완, “남북한 사이의 중국: 대 한반도정책 딜레마,” 『국제관계연구 』제16권 제2호 (2011): 39-40쪽.
양국 간의 인적 교류와 문화 교류는 물론이고, 정치·군사적인 관계도 긴밀해 졌다. 2015년 중국의 제2차 세계대전 전승 70주년 기념 열병식에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이 서구 및 미국의 주요 동맹국으로서는 유일한 국가 원수로 참여함으로써, 자칫 반쪽짜리 행사가 될 뻔한 중국의 국가 행사에 구색을 갖추게 하는데 기여했다.
하지만, 남북한 문제와 한국의 최대 동맹국인 미국과 중국의 동아시아에서의 전략적 갈등으로 인해, 한중관계는 그 한계를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경제적으로는 매우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지만, 정치적으로는 냉전적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는 소위 ‘아시아의 모순(Asian Paradox)’이 한중계의 한 특징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에 1992년 수교 이후의 한중관계 발전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그 미래를 전망하고 분석하는 것은, ‘아시아의 모순’을 극복하고 한중관계를 한층 긴밀한 단계로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