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 속 여성상의 변화 양상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는 옛 이야기와 이를 원천으로 한 애니메이션 및 영화에 나타난 여성상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아동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는 대중매체 속 ‘성 고정관념’에 대한 정확한 인식의 필...

본고는 옛 이야기와 이를 원천으로 한 애니메이션 및 영화에 나타난 여성상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아동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는 대중매체 속 ‘성 고정관념’에 대한 정확한 인식의 필요성에서 출발한 문제제기는 아동이 성 차별적인 시선을 지닌 문화콘텐츠를 무분별하게 흡수할 경우, 부정적인 ‘성 인식’이 형성될 수 있다는 우려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에서는 그림책에 나타난 성 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가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고, 국내의 경우 1990년대에 이르러 그림책과 아동의 성 고정관념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문화콘텐츠와 관련하여 아동의 성 인식에 대한 논의를 본고에서 추가적으로 다루고자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아동기는 인간이 사회화되는 과정 중에 가장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에 형성되는 편견적 인식의 위험성과 그 파급효과 때문이다. 둘째, 최근 아동들이 문화콘텐츠 속 인물을 롤 모델(Role Model)로 삼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림책에서 다루는 옛 이야기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와 같은 문화콘텐츠 속 여성상이 현대의 아동들에게 끼치는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분석적 연구가 요구된다.
그림형제와 페로가 수집하여 기록한 옛 이야기는 가부장제에 억압된 여성상을 의도적으로 제시해왔다. 여성의 모험담은 남성의 모험담과 달리 유형화된 서사구조를 따르고 있으며, 여성의 욕망과 호기심은 남성의 그것과 달리 금기시되는 화소로 사용되었다. 옛 이야기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의 경우 이러한 과거의 틀을 벗어나려 시도하는 여성상을 제시하기도 했지만 대부분 기존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지 못한 제한적 여성상을 묘사하는데 그쳤다. 옛 이야기를 원천으로 하여 제작된 영화는 다양한 개성을 지닌 여성상을 탄생시켰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방해자인 주인공의 언니들과 조력자인 대모요정의 역할적 변화가 있었으며, 주인공 여성상은 기존의 가부장적 틀을 깨고 나와 자신의 자아를 찾고자 노력하는 적극적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영화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은 옛 이야기 속 수동적인 모습과 달리 악녀인 적수와 동등하게 대적할 만큼 성숙하였다. 주인공의 적수 역할을 하는 마녀와 계모의 변화양상은 특히 주목할 만했다. 과거에는 못생기고 이유 없이 괴팍한 성질을 지닌 것으로 묘사됐던 이들 여성상은 영화 속에서 서사구조상의 타당성을 획득한다. 한층 현실적이고 친숙한 모습으로 변화하여 관객들의 동정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최근의 문화콘텐츠 속 여성상은 이름과 시대적 배경은 옛 이야기의 것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성격과 행동양상에 있어서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여성상의 변화양상에 대한 이러한 분석은 당대가 바라고 요구하는 여성상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도 시대의 요구에 따라 콘텐츠 속 여성상은 더 다양하게 변모해갈 것이기에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ing modality of female characters in tales and tale-based animations and movies. Discussions on the need of correct recognition of 'gender stereotype' in mass media of which influence on children is 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ing modality of female characters in tales and tale-based animations and movies. Discussions on the need of correct recognition of 'gender stereotype' in mass media of which influence on children is enormous have been brought forth with the fear of children's forming negative 'gender perceptions' when they recklessly absorb gender discriminative cultural contents from mass media. Regarding this concern, studies on the stereotype of gender roles, presented in picture books, were initiat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70s. In Korea, a variety of researches on children's gender stereotype in picture books have been carried out from the 1990s.
This study's additional dealing with cultural contents-related children's gender perceptions has two reasons in general: First, childhood is the most crucial time in the course of human socialization, and the prejudicial perception formed in this period is very dangerous and has riffle effects. Second, recently children increasingly present the trend of making the character in cultural contents their role model.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female characters in tales, animations and movies on children of today becomes strong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nalytical studies on it.
tales collected/presented by Brothers Grimm and Perrault intentionally suggested repressed female characters by patriarchy. Different from male adventure stories, female adventure stories adopt a stereotyped descriptive structure, and female desires and curiosities are used as a taboo element of narration. Some tale-based animations tried to get off this traditional frame of past and presented new female characters, but most of them could not overcome those stereotyped female characters completely. Some tale-based movies are worthy of notice in that they created new female characters of diverse personalities. There are changes in the roles of older sisters, namely trouble makers, of leading characters, and in godmother fairies, namely helpers. And some female leading characters take an aggressive action to break the shackle of patriarchy and find out their real identity and self. Different from the passive dispositions of female characters in tales, filmic female characters matured enough to fight against femme fatale in an equal stance. The changing modality of witches and stepmothers who play the role of leading character's enemy is especially worthy of notice. In the past, they were described to be ugly and fastidious causelessly. But in the movies, they have validities in relation to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the story. They take a more realistic and familiar looks and even arouse audience's sympathy.
Female characters in the cultural contents of today still maintain the traditional names and backgrounds of tales, but their dispositions and behavioral modalities are changed diversely. Analysis on the changing modality of female characters seems to be meaningful in that it increases the understanding of female characters which are desired and needed in the contemporary society. Since the female characters in contents will be changed diversely in the future with the stream of time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udies on them continuously.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