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in examining 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For that,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childcare teachers who work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do,...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in examining 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For that,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childcare teachers who work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do, using a self ed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270 cases were used to examine hypothesis. For th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and 3 steps of Baron and Kenny(1986) were examined and Sobel Test was performed to prove the mediating effec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labor's sub factor, natural acting and deep acting were high and surface acting was relatively low. And childcare teacher were experienced low level of burnou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support showed high from all sub factors.
Second, emotional lab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urnout. Natural acting and deep acting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surface acting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ynicism only. As wel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labor, and negative effects on burnout. This mean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support have mediating effects on lowering childcare teacher's burnout.
Third,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support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support increased, emotional labor's sub factors, namely natural acting and deep acting increased and surface acting decreased. As well, a childcare teacher who experienced high level of surface acting and low natural acting and deep acting tend to increase burnout.
This study carries theoretic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o prevent burnout, the statutory working hours must be enforced, and childcare teacher should be able to use vacation freely. Moreover, it is necessary to create workshops and programs to urge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with positive belief and attitude. Second, emotional labor has does not only influence burnout, but also present indirect influences on burnout via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support. Given these results, in order to prevent burnout by increase natural and deep acting, it is necessary to create fair and rational culture in childcare center. In addition, it implie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lationship among teachers and coworkers.
Despite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few limitations. First, the current result are hard to be generalized because the sample used this study is limited to certain area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ceed further researches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s effects on quality of service and interaction in the childcare center's. Third, parents has great influences on childcare teacher's performance, so parents should be included on further research as a vital source of social support. And finally,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using various ways to collect data, such as interview and observation.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 정서노동과 소진의 관계를 분석하고, 조직문화와 사회적 지지가 두 변수 사이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여 소진을 예방,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 정서노동과 소진의 관계를 분석하고, 조직문화와 사회적 지지가 두 변수 사이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여 소진을 예방,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27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서는 Pearson’s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 & Kenny의 3단계(1986)를 살펴보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보육교직원의 정서노동의 하위요인 중 자연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은 높고 표면적 행동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소진은 낮은 수준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와 사회적 지지는 모든 하위요인 유형을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직원의 정서노동은 소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연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은 정서노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표면적 행동은 소진의 하위요인인 냉소에만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직문화와 사회적 지지는 정서노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소진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는 정서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와 사회적 지지가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정서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와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직문화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정서노동 중 자연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은 낮아지고 표면적 행동이 높아지며, 자연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은 낮아지고 표면적 행동이 높아질수록 소진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직원의 소진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법정 근무시간을 준수하고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각종 워크샵과 연수 및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보육교직원의 정서노동은 조직문화와 사회적 지지를 통해서 소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노동의 자연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정하고 합리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어린이집 내의 인간관계와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할 때 소진을 예방하고 경감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연구의 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점과 둘째,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를 보육서비스의 질과 프로그램 전달의 질, 보육교직원의 상호작용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원천 중 학부모가 제외되었는데, 보육교직원의 업무수행과 소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학부모를 포함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기보고식으로 진행된 설문조사가 사회적 바람직성으로 인한 편향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심층 면담이나 관찰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