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의 남한에서의 영어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체
성과 불안과 동기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서울 시내에 거주하는 탈북 청...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의 남한에서의 영어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체
성과 불안과 동기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서울 시내에 거주하는 탈북 청소년 세 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6개월 동안 매주 1회 또는 2회에 걸쳐 총 34회의 영어 문법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들과 학기 말에 이루어진 심층 면담,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학습 일지, 본 연구자인 교사의 참여관찰을 근거로 이들의
영어 학습 과정에서의 정체성과 불안과 동기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교육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첫째, 학습 초기 단계에 학생들의 불안과 동기는 매우 높았다. 높은 불
안은 언어 학습 상황과 관련된 것과 탈북 과정에서의 외상 경험과 이산의
현실 등과 같은 이들의 특수한 삶의 상황에서 비롯된 것도 있었다. 이는
모두 이들의 영어 학습에 방해가 되었다. 높은 불안을 가진 학생의 경우
영어 학습의 어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영어
학습 초기에 자신들의 낮은 영어 수준과 영어 학습의 어려움으로 인해 걱
정, 불안, 스트레스를 경험했다. 영어 학습 과정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은
언어 불안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영어 학습 과정에서 부정적인 경
험들을 많이 한 경우에는 이로 인한 긴장과 스트레스를 극복하지 못하고
영어 학습을 포기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탈북 과정과 남한 입국 초기에는 영어 학습에 대한 높
은 동기가 있었지만 영어 학습 과정에서의 부정적 경험을 통해 동기를 상
실하기도 하였다. 높은 동기가 반드시 영어 학습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학생들이영어 학습과 관련하여 가지고 있었던 동기는 고정된 것이 아니
라 이들이 처한 상황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에서 통합적 영어 학습 동기를 가졌던 학생의 경우, 남한에서는 통합
적 동기가 약화되고 도구적 영어 학습 동기가 강화되었고 북한에서 영어
학습 동기가 전혀 없었던 학생은 남한에 와서 높은 수준의 도구적 동기와
통합적 동기를 보였다. 남한 입국 초기에 높은 영어 학습 동기가 있었으
나 영어 학습의 어려움으로 인해 동기를 상실하는 경우도 있었다. 세 학
생들 모두에게서 나타난 영어 학습 동기는 의사소통에의 욕구로 영어 학
습을 하려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있었다. 자신이 북한 사
람이라는 것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기 원했다. 남한
사람과 남한 사회에 대해서 부정적인 학생의 경우 남한에서의 영어 학습
과 남한 사회 적응을 거부하였다. 그러나 남한 사람과 남한 사회에 대해
서 긍정적인 학생의 경우 남한 사회에서의 영어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영
어 학습에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였다.
넷째, 북한에서의 영어 교육 경험은 남한에서의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
지 않았다. 학생들은 말하기와 듣기 학습 경험이 없었고 문법과 단어의
수준 차이, 평가와 관련하여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마지막으로 남한과 북
한의 언어적 차이 특히 문법 용어의 차이와 외래어의 사용은 이들이 초기
영어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고 자신감을 잃게 하는 요인이었다. 탈북 학생
들은 남한에서의 영어 학습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의 수준에 맞는
별도의 영어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탈북 학생들은 언어 학습에 임하기에 매우 열악한 조건 속에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의 영향을
쉽게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이들의 정의적 측면과 학습 상황을 충분히 고
려한 교수 학습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남한과 북한의 영어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 과정 개발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은 탈북 학생들의 영
어 학습 성공과 학업 적응을 도울 것으로 보인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