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차이는 사고방식이나 세계관의 차이를 반영한다. 분단 60년 동안 이질화된 남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통합하기 위해 남북 언어 차이에 대한 연구는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 언어의 차이는 사고방식이나 세계관의 차이를 반영한다. 분단 60년 동안 이질화된 남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통합하기 위해 남북 언어 차이에 대한 연구는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남북 통일이 머나먼 미래의 일이 아님을 생각할 때 더욱 그렇다. 북한 언어에 대한 연구는 1998년 이후 남북관계가 화해협력 진입기에 들어서면서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일상생활 용어 및 전문(학술) 용어, 외래어 등의 연구가 주를 이루는 반면 발음 및 담화 연구는 미미하였고, 상징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상징어는 남북한 어휘 중에서도 남북 언어의 동질성을 바탕으로 이질성을 알아가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우리말에는 의성어와 의태어가 풍부하게 발달되어 있으며, 거의 전부가 고유어인 상징어는 한자어나 외래어, 전문 용어나 호칭어 등에 비해 쉽고 친근하게 소통 및 교류될 수 있는 남북한 어휘이다. 남북한 상징어 연구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사전을 통한 연구를 통해서는 북한 상징어의 실제 사용 여부를 알 수 없어 여러 가지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상징어의 형태에 충실하고, 사전에 등재된 상징어 목록보다 실제적인 북한 동화 텍스트의 상징어를 중심으로 말뭉치 검색 및 모어 화자의 직관을 통해 남북한 상징어를 대조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남북한 상징어의 출현 빈도를 알아보고, 상징어 목록 대조를 통해 형태 및 의미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남북한 동화에 나타난 상징어 출현 빈도에 있어서 북한 동화에서 상징어 출현 빈도가 남한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출현 빈도수가 아닌 상징어 가지 수로 비교했을 때는 남북한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북한 동화에서 상징어 출현 빈도가 높은 것은 북한 상징어의 가지 수가 많기 때문이 아니라 고빈도로 사용되는 상징어가 많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북한 동화에 나타난 상징어의 이질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빈도수를 기준으로 할 때, 북한 상징어 중에서 남한에서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전체 상징어의 20% 가량을 차지했다. 가지 수를 기준으로 할 때는 30%로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것은 거의 전부가 고유어인 상징어에 있어서도 남북한 어휘의 이질화 현상이 예상했던 것보다 심화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셋째, 부분적으로 형태가 달라졌지만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이형유의 상징어와, 형태는 동일하지만 의미가 달라진 동형이의 상징어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상징어의 차이는 정치적 ? 정책적 영향 보다는 서로 다른 지역 문화권 아래서 시간적 흐름에 따라 어휘 형태 및 의미가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형태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남북한 상징어는 조어법 유형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남한에 비해 북한은 모음 교체형의 상징어 수가 적으며 북한에 비해 남한은 AA형의 상징어 수가 적게 나타났다. 또한 음절수에 있어서 2음절과 4음절의 상징어 개수가 높게 나타난 것은 공통적인 현상이었고, 북한에서는 1음절과 3음절의 상징어 개수가 남한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상징어를 포함한 남북한 어휘는 사전에 수록된 것과 실제 쓰임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남북한 어휘 연구에 있어서 사전 뿐 아니라 말뭉치 자료 및 모어 화자 직관에 따른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 후 충돌 상황을 최소화하고 남북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남북한 상징어 외에도 남북한 언어 전반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교류하여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