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a store’s sign is to inform customers of the store’s name, the products it sells, and its business. To accomplish this, a store uses signs in various ways, such as different scripts, sizes and colors. Sometimes, however, it does not... The purpose of a store’s sign is to inform customers of the store’s name, the products it sells, and its business. To accomplish this, a store uses signs in various ways, such as different scripts, sizes and colors. Sometimes, however, it does not shrink from using misleading expressions. This tells us that we are exposed, without protection, to examples of harmful and false language.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possible that we are becoming desensitized to the misuse of language, and it is a matter of great concern that we might use wrong expressions in real life. The many existing store signs reflect the language of life today, and they are important materials to research modern language and life style. Therefore, this aims to analyze the uses of signage in Tong-yeong and to understand the affect of language on the lives of residents in this area. Furthermore, it is an attempt to serve as a touchstone for people to understand appropriate and correct language. To collect consistent and practical data, I surveyed signs of shops in Tong-yeong by directly viewing them. The survey areas were chosen from the business district to the outskirts of Tong-yeong, and the final collected data includes 2,594 store signs. Basically, I analyze the entire data set by distribution of area, business, scripts and grammar. Separately, I also analyze characteristics by business and general tendency. First, the result of distribution of business by area shows that the density of distribution of restaurants and pubs is very high in both new and old downtown, while that of fashion is high in old downtown and that of education and cultural services is high in new downtown. Compared to Masan, Tong-yeong have education and cultural services about three times higher. Second, by classification of languages, the density of distribution ranked form Blends, Sino-Korean, foreign words to pure Korean. Comparison with previous research which showed the density of foreign words to be higher than Sino-Korean, my result reflects the mor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ong-yeong. Third, in distribution of language by area, both areas have high a density of signs with Korean, but the new downtown has a higher density of foreign words than the old downtown. Fourth, in distribution of grammar by area, both areas have a high density of signs with compound words. For signs with simplex words, density i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ld downtown area than in the new area, so I conclude that signs with phrases or paragraphs have become more widely preferred than before. Compared with these, however, signs with sentences are not popular yet. Fifth, in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es, restaurants claim ‘Original’ on their signs too much, and pubs in the old downtowns prefer to use ‘Silbi’ or ‘Dazi’ which means pub in Japanese but pubs in the new downtowns use ‘Bar’ on their signs. Sixth, in general, a sign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population. I also confirmed that signs overuse particular words or apply the name of the region and dialects. Based on research on language life and language awareness from signs in the downtowns of Tong-yeong, I discovered that the language on the signs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reality of the period. Moreover, the language is selected based on the preferences of the residents. The language of signs is one of the language text books that we can easily access in our daily lives, so its influence cannot be ignored. If this text book is wrong it carries a lot of negative impact and it should be fixed, but this might be easier said than done. All in all, to solve this problem, changing the way we understand things is a priority.
간판은 이름이나 판매 상품, 업종 등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각 상점에서는 간판의 문자, 크기, 색깔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그 시대에 잘못된 ... 간판은 이름이나 판매 상품, 업종 등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각 상점에서는 간판의 문자, 크기, 색깔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그 시대에 잘못된 표현이라도 서슴없이 간판 상호에 활용하고 있다. 이는 바로 우리가 오염된 언어 환경에 무방비의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말하는데, 오염된 언어 환경 속에서 우리는 자칫 잘못된 언어에 무감각해지면서 이를 실생활에도 사용하게 되는 것은 큰 문제이다. 이렇듯 오늘날의 언어생활을 반영하고 있는 간판 상호 언어는 그 지역 주민들의 언어생활을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통영시의 간판 상호 언어를 대상으로 하여 간판 상호 언어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대중들의 언어생활 실태를 파악하고 나아가 올바른 국어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시금석으로 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간판 상호의 조사는 자료 선택의 일관성과 실증적 자료의 수집을 위해 본 연구자가 직접 방문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지로 삼은 곳은 통영의 대표 상권을 이루고 있는 지역으로 중심가에서 동심원으로 확대하여 가는 방식으로 조사하여 수집한 총 2,594개의 간판 언어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간판 상호 전체 분석을 원칙으로 하였고, 이것들의 어종별, 문자별, 문법 단위별 분포를 지역과 업종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간판 상호에 나타나는 특징을 업종별 특징과 일반적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지역별 업종 분포를 살펴본 결과, 구번화가와 신번화가 모두 음식점과 주점업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번화가는 의류업이, 신번화가는 교육·문화 서비스업의 분포가 높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마산 지역과 비교한 결과 교육·문화 서비스업에서 통영의 신번화가 지역이 약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종별 지역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혼합어, 한자어, 외래어, 고유어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기존 연구는 외래어의 분포가 한자어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통영의 지역적 특성이 간판 상호에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문자별 지역 분포를 살펴보면, 한글로 된 간판이 두 지역 모두 절대적으로 높으며, 외래어로 된 간판의 경우 신번화가의 분포가 구번화가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문법 단위별 지역 분포를 살펴보면, 복합어 형태의 간판이 두 지역 모두 절대적으로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단일어 형태의 간판은 구번화가 지역이 신번화가 지역보다 압도적으로 높으며, 구(절) 형태의 간판은 점차 사용 분포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문장 형태의 간판은 아직까지 다른 형태의 간판 보다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간판 상호의 업종별 특징으로, 음식점의 간판에 ‘원조’라는 특정 단어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과 주점업의 외래어 간판의 경우 구번화가는 실비나 다찌가 많고, 신번화가는 bar 간판이 많은 것 등을 들 수 있다. 여섯째, 간판 상호의 일반적 특징으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간판 언어, 보편적 성격을 반영한 간판 언어, 특정 단어를 과도하게 활용한 간판 언어, 지역명과 방언을 활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간판 상호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통영 지역의 번화가에 나타난 간판 언어를 통해 통영 지역의 주민들의 언어생활 실태와 언어 의식을 살펴 본 결과, 간판 언어가 그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고, 그 지역 주민의 취향에 맞게 선택되어지며 그 시대의 언어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판 언어는 우리의 실생활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언어 교과서로서, 간판 언어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과서가 잘못되어 우리의 언어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면 고쳐야 하나, 이를 고친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인식의 전환’을 가져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