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의존 명사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같은 의미 영역에 위치한 어휘들 간의 시차 특성을 규명하여 의존 명사의 의미 체계를 완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 본고는 의존 명사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같은 의미 영역에 위치한 어휘들 간의 시차 특성을 규명하여 의존 명사의 의미 체계를 완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의미 분석 전단계로 의미 분석의 대상이 되는 의존 명사의 목록을 추출하고, 분석 시 요구되는 내용과 방법에 대해 고찰해보았다(2, 3장). 그리고 이를 토대로 사전의 기술과 대조해가며 의존 명사의 의미를 평정해보았다(4장).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동일한 의미 속성을 보이는 어휘들을 부류화 하여 이들 간의 시차 특성을 살폈다(5장). 우선 2장에서는 의존 명사가 자립 명사와 구분되는 문법적, 의미적 특징들을 살펴보고, 범주 내에서 문법적, 의미적 차이에 따라 다시 일반 의존 명사와 단위 의존 명사로 대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여타의 다른 요소들로부터 의존 명사를 식별해낼 수 있는 판정 기준을 마련하여 그에 따라 의존 명사의 목록을 추출하였다. 3장에서는 의존 명사의 의미 분석의 실제를 보이기에 앞서, 분석 시 요구되는 내용과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의존 명사와 같이 어휘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형식성이 두드러지는 부류를 분석할 때 분석의 내용과 방법에 엄밀성과 객관성을 기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의존 명사의 의미 분석에서 파악해야 할 의미 정보와 의미 분석 방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보았다. 4장에서는 분석의 실제를 보이는 장으로 3장에서 논의한 의미 분석의 내용과 방법을 원칙으로 하여 일반 의존 명사와 단위 의존 명사의 의미를 분석해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동일한 의미 속성을 보이는 어휘들 간의 시차 특성을 비교하여 의존 명사가 체계 내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구분되는지 고찰해보았다. 이상의 논의에 전제된 가장 기본적인 원칙 및 관점은 의미 분석 시 분석 방법과 절차에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여야 분석의 결과에 대해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개별 단어에 대한 철저한 의미 분석 없이 부류별 연구가 진행될 수 없고, 나아가 의존 명사 전반에 대한 의미 체계도 완성될 수 없으므로 개별 단어에 대한 의미 분석이 의미 연구의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whole Korean bound nouns. A second purpose is to establish the semantic system of Korean bound nouns by showing the difference semantic properties among the bound nouns that are in...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whole Korean bound nouns. A second purpose is to establish the semantic system of Korean bound nouns by showing the difference semantic properties among the bound nouns that are included into the same semantic class. Although the meaning of Korean bound noun can be founded out only in context because it's meaning is very abstract in general, but it is obvious that Korean bound nouns have a particular semantic system and they are linked by various semantic relations with one another. For these reasons, the Korean bound nouns deserve to be an area of lexical semantic like other lexical categories. The organization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age, so at first the list of Korean bound nouns that will be an object of semantic analysis is extracted , and the process and method of semantic analysis of Korean bound nouns are examined.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the meaning of Korean bound nouns is analyzed concretely by comparing the description of meaning that is presented in the dictionaries. In the last part of this study, the bound nouns that are sharing the same semantic properties are categorized and the difference semantic properties of each bound noun class are explained. In Chapter 2,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bound nouns and free nouns are examined and Korean bound nouns divided into two classes that is general bound noun and unit bound noun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differences. On the base of these properties, I establish a standard of judgment that make a decision the list of Korean bound nouns. In Chapter 3, as a theoretical bases of the semantic analysis,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of semantic analysis are examined before presenting the results of an actual analysis on the Korean bound nouns. When we analyze a meaning of lexical units that have a particular lexical meaning and grammatical meaning at the same time just like Korean bound nouns,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s that we maintain the consistency and the objectivity in every stage of meaning analysis. Following these principles, semantic informations and a method of meaning analysis of Koran bound nouns are explained as a theoretical study. In Chapter 4, the results of meaning analysis of Korean bound nouns are presented. The results are followed the process and principles that are offered in chapter 3 and also presented dividing the two sections, i.e. general bound nouns and unit bound nouns. In Chapter 5, a semantic system of the whole Korean bound nouns are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meaning analysis that are showed in chapter 4.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bound nouns that are sharing the same semantic properties, the distinctive features are compared to divide into subclasses. As we have see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has been to present the semantic analysis of Korean bound nouns meaning. The procedure and concrete methodology of semantic analysis also have been examined. In this process, strictness and objectivity of meaning analysis is the main principle that this study focused on. In addition, this study emphasizes on the meaning analysis of each word, because it is not only the base of lexical semantics but also the starting point that a lexical semantic is extend to the study on the semantic system.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