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기반의 지지체계가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소셜미디기반의 지지체계가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신체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 연구이다. 연구...

본 연구는 소셜미디기반의 지지체계가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신체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의 A 종합대학에서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는 여대생 총 64명을 편의표집하여 무작위배정을 통해 실험군 32명과 대조군 32명으로 선정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29일부터 12월 9일까지 였다. 본 연구의 중재로 실험군의 월경주기(평균 32.28±.59일)동안 소셜미디어(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문자, 이메일)를 기반으로 월경전증후군의 완화와 신체활동의 증진을 위한 지지체계를 제공하였다. 월경전증후군 증상은 Halbreich, Endicott와 Schacht (1983)가 개발하고 강현정(1997)이 번안한 월경전기평가서를 이용하였으며 신체활동은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개발하고 오지연, 양윤준, 김병성, 강재헌 (2007)이 번안한 한국어판 국제신체활동설문인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IPA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및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인‘소셜미디어 기반의 지지체계를 제공받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월경전증후군 변화 정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검증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월경전증후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t=-3.04, p=.003)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 2 가설인‘소셜미디어 기반의 지지체계를 제공받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활동 변화 정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검증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신체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t=2.70, p=.010) 2 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소셜미디어 기반의 지지체계 적용으로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완화와 신체활동의 증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일대일의 만남이 요구되었던 기존의 중재보다 시공간 제약을 완화시키고 대상자와의 접근성을 높여 월경전증후군 완화와 신체활동의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media based support system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physical activit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The study design was equivalent pretest-posttest cont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media based support system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physical activit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The study design was equivalent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S city. To screen the female students for premenstrual syndrome,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S-PAF) was used. A total of 64 female stud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32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to the experimental group or to the control group each. For the experimental group, social media based support system (smartphone application, text message, and e-mail) was provided for one menstrual cycle (32.28±.59 days) to alleviate premenstrual syndrome and promote physical activity.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and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short form.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6.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Inferential statistical analysis which included the chi-square test, independent and paired t-tests were utilized with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tudy hypothesis 1 was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remenstrual syndrom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greater reduction in premenstrual syndrom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3.04, p=.003). Therefore, Study hypothesis 1 was supported. Study hypothesis 2 was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hange in physical activity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supporting system based on social media.”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2.70, p=.010). As a result, Study hypothesis 2 was supporte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experienced decrease in premenstrual syndrome and increase physical activity through social media based support syste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unlike previous interventions which regarded one-on-one meeting, the intervention in this study which social media which allowed the participants to be free from time and space for managing their premenstrual syndrome and physical activity.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