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영어 강세의 인지와 발화의 정확도를 훈련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거라는 가설을 세우고 한국 대학생 46명에게 인지와 발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인 발화 실험과 원...
본 논문에서는 영어 강세의 인지와 발화의 정확도를 훈련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거라는 가설을 세우고 한국 대학생 46명에게 인지와 발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인 발화 실험과 원어민 발화의 차이를 살펴봄과 동시에 인지와 발화의 관계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음절수와 강세의 위치가 서로 다른 42개의 단어를 선정하였다. 또한, 통제 집단(Control Group) 20명과 실험 집단(Experimental Group) 26명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인지와 발화 실험을 한 결과, 사전 인지 실험에서 통제 집단의 정확률은 78.2%이었고 사후에서는 75.5%이었다. 실험 집단의 정확률은 사전 인지가 81.5%이었고 사후 인지는 80.6%이었다. 사전 발화 실험에서는 통제 집단의 정확률이 55.8%이었고 사후 발화는 64.8%이었다. 실험 집단의 정확률은 사전 발화에서 59.6%이었고 사후 발화는 66.5%이었다. 위의 결과에 의하면 두 집단 모두 발화보다는 인지가 더 우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사전 사후 실험과 훈련을 통해 발화가 인지에 비해 더 높은 정확률을 보임으로써 훈련이 인지에는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이나 발화에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두 집단의 각 음절별 강세의 인지와 발화 정확률을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통제 집단은 특히 3음절 3강세의 단어들에서 인지와 발화의 정확률이 감소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실험 집단의 3음절 3강세 발화 정확률은 향상되었다. 따라서 원어민 발음을 듣고 따라서 연습해 본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발화의 오류율을 감소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지와 발화 실험 결과 가장 낮은 정확률을 보인 단어 (정확률 50%미만) automobile, cigarette, guarantee, magazine, kangaroo 역시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오는 단어들이었다. 이는 대다수의 한국인이 마지막 음절에 강세를 인지하고 발화하는데 취약한 점을 보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외래어로 인식하며 사용하는 단어들 중에서 guarantee, magazine, kangaroo, ballet처럼 낮은 정확률을 보인 단어들은 올바른 영어 발음보다는 한국식 영어발음이 화석화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인지와 발화의 사전 사후 실험을 나누어서 비교해 보았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단어에 대한 학습력은 효과적이었으나 일상에서 외래어처럼 굳어져 버린 단어들은 큰 학습 효과를 볼 수 없었다. 게다가 외래어처럼 사용하는 단어들의 인지 능력 또한 매우 낮았으며 이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여 굳어진 잘못된 발화 습관의 영향으로 인지 실험의 정확률을 감소시켰다고 보인다. 따라서 올바른 영어발음을 습득하고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원어민의 발음을 듣고 발화하는 훈련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nglish word stress training on Korean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each test, both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the vowels were tested to see if the subjects were able to distinguis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nglish word stress training on Korean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each test, both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the vowels were tested to see if the subjects were able to distinguish the primary stress. Moreover, the study examines differences between Korean learners’ production and native speaker’s production, also relations with perception and production at the same time.
The study selects 42 words with different syllable numbers and different stress locations to perform. Likewise, the subjects were 46 Korean college students who were divided by two groups as control and experimental.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production because the overall accuracy rate of perception was 78.2%, 75.5% and control group of production amounted to 55.8%, 64.8% as well as the accuracy rate of percep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81.5%, 80.6% and production was 59.6%, 66.5% for the whole words.
After receiving training, th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roducing the target words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Thus, the results show that training has an effect in production but not in perception. Training using the audio-lingual teaching method for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s’production accuracy.
Compared to English, Korean has no stressed syllable in sentences. That could be one of the reasons why Korean learners make mistakes when they articulate the stressed words. They fundamentally recognize and pronounce the loan words such as, cigarette, guarantee, magazine, kangaroo, ballet which resulted in the five most common production errors. It is because of the fossilization of the loan words without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result, Korean learners particularly have significant improvement for the new words than loan wor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duction should be more emphasized for the teaching of English word stress to reinforce for learning.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