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입성운미 소실 원인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국한자음은 고대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현대 표준중국어 역시 고대중국어에서 발전하여 현재의 모습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한국한자음과 표준중국어는 하나의 조어를 가지고...

한국한자음은 고대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현대 표준중국어 역시 고대중국어에서 발전하여 현재의 모습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한국한자음과 표준중국어는 하나의 조어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한자음과 표준중국어는 음운 방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그 중 가장 두드러진 차이가 입성운미의 유무이다. 한국한자음에는 중고중국어의 흔적인 입성운미가 여전히 남아있지만, 표준중국어에서 입성운미는 이미 완전히 소실된 상태이다. 그렇다면 왜 한국어에 남아있는 입성운미가 표준중국어에서는 사라진 것일까? 이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방면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첫 번째 연구방면은 선행연구에 대한 검증이다. 허 웨이(贺巍 1995)와 조우 레이(周磊 2003)는 교설음화 -儿과 같이 음운 방면에서 자질성분으로 허화된 접미사의 발달이 입성운미를 탈락시켰을 것이라 주장하였다. 그들이 제시한 예는 다음과 같다. 허난 지위앤 말(河南济源话): 插[tsʰaʔ] → 门插儿[mən tsʰæ] 본문에서는 가설의 검증을 위해 두 가지 측면에서 접미사와 입성운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선 현대 중국어 방언에서 접미사와 입성운미의 모습을 조사하였다. 표준중국어(普通话), 창사말(长沙话), 메이시앤말(梅县话), 시아먼말(厦门话), 쑤조우말(苏州话), 꾸앙조우말(广州话)를 조사한 결과, 경성접미사가 존재하는 표준중국어와 창사말은 입성운미가 완전히 소실하였고, 경성접미사가 존재하지 않는 나머지 방언들은 입성운미가 잘 보존된 모습을 보였다. 즉 현대 중국어방언들에서 접미사와 입성운미가 서로 대립적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으로 역사적인 측면에서 접미사의 출현, 발달과 입성운미 소실의 선후관계를 조사하였다. 선행연구가 타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접미사의 출현과 발달이 선행되고, 입성운미 소실이 후행되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조사결과 접미사의 출현과 발달이 입성운미의 소실보다 이른 시기 현상이라는 증거가 있었다. 종합하자면 현대중국어에서 입성운미와 접미사가 대립적인 발전을 하고 있으며, 역사적인 측면에서는 접미사의 출현과 발달이 입성운미 소실 시기보다 이르다. 이를 근거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타당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두 번째 연구방면은 입성운미 소실의 또 다른 원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필자는 경성의 발달이 입성운미를 소실시킨 주요원인이라고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경성은 해당음절 축약시키거나 혹은 주변음절에 여러 가지 영향을 끼친다. (2) 현대중국어에서 경성접미사가 발달한 방언은 입성운미가 소실되었다. (3) 경성은 사용범위가 넓기 때문에 음운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4) 경성의 등장은 입성운미의 소실시기보다 이르다. (5) 경성은 남방방언보다 북방방언에서 더욱 보편적인 언어 현상이다. 필자는 남방과 북방에서 입성운미 소실 양상이 다른 원인을 언어교류의 차이로 보았다. 북방은 이른 시기부터 다른 이민족, 특히 알타이어족과의 언어교류가 빈번하였다. 반면 남방지역은 이민족의 침입이 드물었기 때문에 언어접촉의 기회가 적었다. 이런 배경아래 북방방언은 경성과 교설음화 -儿이 발달하였고, 이 두 요소가 입성운미의 소실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이상 이 논문에서는 현대 중국어의 입성운미 소실 원인을 탐구하였다. 기존 학계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던 입성운미 소실 원인을 다루었다는 점과 소실 원인에 대해 새로운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여긴다. 향후 이 논문이 입성운미 소실의 원인을 밝히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韩国汉字音受到古汉语的影响而形成独立的体系。直到现代,韩国的很多汉字音仍然保留着古汉语的痕迹,而现代汉语普...

韩国汉字音受到古汉语的影响而形成独立的体系。直到现代,韩国的很多汉字音仍然保留着古汉语的痕迹,而现代汉语普通话是从古汉语发展而来的。所以说现代韩国汉字音和汉语普通话有着共同的源头。随着时代的发展,韩语毕业论文,两者之间出现了很多差异,其中最具代表性的是入声韵尾的有无。现代韩国汉字音保留着入声字的-p、-t、-k韵尾,所以接受过汉字教育的韩国人能区分入声字;而包括现代汉语普通话在内的一部分北方方言中的入声韵尾已经消失,甚至在南方方言中也处于消失的阶段, 所以很多中国人无法区分入声字的-p、-t、-k韵尾。那么汉语中的入声韵尾消失的原因是什么?本论文就这个问题展开研究。 本文从两个方面进行研究。第一方面是检验现有的研究成果。贺巍(1995)和周磊(2003)提出了词尾的虚化是入声韵尾消失的主要原因之一。例如部分方言中,把儿化附加在入声字后面,入声韵尾就消失。 河南济源话: 插[tsʰaʔ] → 门插儿[mən tsʰæ] 然而他们只是提出假设,不具备普遍意义。为了检验这个假设,笔者就两方面展开了调查研究。首先,通过考证现代汉语方言之间的入声韵尾和词尾的差异,来观察两者的关系。简单地调查了普通话、苏州话、长沙话、梅县话、厦门话、苏州话、广州话的入声和词尾。调查结果显示:存在轻声词尾的普通话和长沙话中,入声韵尾完全消失;不存在轻声词尾的其他方言中,入声韵尾保存得相当完整。即现代汉语方言中,入声韵尾的消失与词尾虚化呈现对立关系。其次,从历史的角度调查词尾的出现、发展与入声韵尾消失的先后关系。贺巍(1995)和周磊(2003)提出的假设成立的前提条件是词尾出现、虚化的时间要比入声韵尾消失的时间更早。而调查结果中出现了这样的证据。综合这两方面来看,韩语论文题目,既存研究中提出的假设是合理的。 可是这个假设有一个问题。因为词尾的使用范围比较受限制,所以不是每一个入声字都可以带词尾。那么这些入声字的韵尾是怎么脱落的?周磊(2003)也提出了同样的问题。 为了解决这个问题,笔者同时探究了入声韵尾消失的其他原因。从南方和北方的语言差异来看,可以得出‘儿化’和‘轻声’的发展是导致入声韵尾消失的主要原因的结论。其证据如下: (1) 普通话儿化音中,原辅音韵尾消失。 (2) 部分北方方言儿化音中,原塞音韵尾-p、-t、-k、-ʔ消失。 (3) 儿化能附加在名词、动词、形容词、量词后面,这说明儿化对音节的影响力比其他 词尾更强。 (4) 轻声弱读导致韵母脱落。 (5) 轻声词尾多的方言中存在入声韵尾消失的状况。 (6) 轻声的出现比入声韵尾消失更早。 (7) 轻声和儿化在北方方言中频繁出现,在南方方言中极少使用。 由此,笔者推测因语言交流的差异导致南北方入声韵尾出现差异。很早以前,北方地区与其他民族,特别是与阿尔泰语系民族间的语言交流相当频繁。相反,但南方几乎没经历过外族的侵入,所以语言交流的机会就很少。在这样的背景下,北方方言的轻声和儿化比南方发达得多。因此,北方方言中入声韵尾消失得更早。 本论文就汉语入声韵尾消失的原因进行了研究。当前学界很少探讨这个问题,笔者尝试从新的角度研究入声韵尾消失的原因,在此抛砖引玉,期望为探究现代汉语普通话入声韵尾消失的原因作出微小的贡献。

免费论文题目: